영월부 관아 ( )

건축
유적
문화재
강원특별자치도 영월군 영월읍에 있는 조선시대 영월부 치소에 건축된 관아.
유적/건물
건립 시기
조선 초기
정면 칸수
관풍헌 5칸|서익헌 4칸|정청 3칸|자규루 3칸
측면 칸수
자규루 2칸
소재지
강원도 영월군
국가지정문화재
지정기관
문화재청
종목
사적(2016년 03월 08일 지정)
소재지
강원도 영월군 중앙로 61 (영월읍, 관풍헌)
내용 요약

영월부 관아는 강원도 영월군 영월읍에 있는 조선시대 영월부 치소에 건축된 관아이다. 영월부 관아의 객사는 조선 초기에 건립되었으며, 1456년(세조 2)에는 청령포에 머물던 단종이 홍수가 나자 이곳으로 옮겨 거쳐하기도 하였다. 단종이 기거하던 관풍헌은 객사의 동익헌에 해당하며, 단종의 승하 이후 폐허로 방치되다가 18세기 말 정조에 의해 중수되었다. 현재는 객사 건물 3동과 자규루만 남아 있다.

정의
강원특별자치도 영월군 영월읍에 있는 조선시대 영월부 치소에 건축된 관아.
건립 경위

대부분의 주1 건물의 구성은 지방 수령이 정무를 보는 동헌과 생활하는 내아, 향리육방들이 집무를 보던 작청 등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동헌 가까이에는 객사를 두어 임금의 위패를 모시고 망궐례를 행하였으며 오고 가는 사신들이 머물 수 있도록 하였다.

변천

현재 영월부 관아는 동헌 영역은 모두 사라지고, 객사 영역의 건물들만 남아 있는 상태이다. 영월부 관아의 모습은 1791년(정조 15)에 그려진 『 월중도(越中圖)』에 잘 표현되어 있다. 『월중도』는 영월에 있던 단종의 유적지를 그린 것으로 장릉뿐만 아니라 관아를 포함한 주변 시설을 상세하게 그렸다.

기문에는 "읍치에서 장릉까지는 6리이고, 사직단은 서쪽으로 2리 거리에 있으며, 향교는 동쪽으로 1리, 창절사는 서북으로 2리, 낙화암은 동으로 2리, 사창은 서남으로 1리에 있고 고을의 호수는 123호"라고 하였다.

영월부 관아의 객사는 조선 초기에 건립되었으며, 1456년(세조 2)에는 청령포에 머물던 단종이 홍수가 나자 이곳으로 옮겨 거쳐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불과 1년 후인 1457년(세조 3) 세조가 내린 사약을 받고 17세로 승하하였다. 단종이 기거하던 관풍헌은 객사의 동익헌에 해당하며, 단종 승하 이후 폐허로 방치되다가 18세기 말 정조에 의해 중수되었다.

현재 객사 건물은 불전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외삼문은 전면의 아스팔트 도로에서 그 위치가 확인되고 있어서 원 위치에 복원하지 못하고 안쪽으로 들여 복원하였다. 중문과 부속건물, 담장 및 백운루는 복원하지 못하였다.

관풍헌 동남쪽 모서리에는 자규루(子規樓)가 있고, 자규루 남쪽으로 외삼문이 별도로 있었으나, 자규루는 최근에 복원하였고 삼문은 복원하지 못하였다. 객사 바로 북쪽에는 동헌 영역인 아사로 표현된 건물군이 『월중도』에는 그려져 있으나 현재는 도시화되면서 근현대 건물들이 있어서 복원되지 못하고 있다.

형태와 특징

『월중도』 중 「관풍헌도」에는 중앙의 정청에 해당되는 부분을 객사라고 기록하였고, 동익헌을 관풍루(觀風樓), 서익헌을 망경헌(望京軒)이라고 기록하였으며 각각 팔작지붕으로 별동 건물처럼 그렸다. 관풍루 앞에는 문루인 백운루(白雲樓)가 있고, 객사와의 사이에는 남북으로 담장이 있어서 별도 영역으로 구분하였다.

객사는 서익헌인 망경헌과 연결되어 있으며 전면으로는 중삼문과 외삼문이 있고, 중삼문과 외삼문 영역은 별도의 담장으로 구획되어 있으며 부속건물이 측면에 표현되어 있다.

관풍헌은 객사 건물의 익헌에 해당되지만 단종이 잠시 기거하였다는 역사적인 의미도 있고 기거를 위해 일반적인 익헌과 다른 평면 구성을 했다는 것이 특징이다. 「관풍헌도」의 기문에 따르면 "관풍헌은 객관의 동대청으로 5칸이며 전후에 퇴가 있고 분합문이 달려 있으며 중앙에 침방이 있고 대청 동쪽으로는 소루 2칸을 설치했다."고 되어 있다. 최근 발굴을 통해 기록과 같이 복원공사를 진행하였다.

의의 및 평가

영월부 관아는 조선 후기 중수된 이후 현재까지 그 터와 건축물을 유지하고 있으며, 단종의 역사를 품고 있는 역사적 가치를 지니고 있다고 할 수 있다. 2016년 3월 8일 사적으로 지정되었다.

참고문헌

원전

『월중도(越中圖)』

단행본

박경립, 『한국의 건축문화재』 -강원편(기문당, 1999)
주석
주1

군아(郡衙)가 있던 곳.    우리말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