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석탑 ()

목차
관련 정보
합천 해인사 원당암 다층석탑 및 석등
합천 해인사 원당암 다층석탑 및 석등
고려시대사
개념
검푸른 빛을 띠는 청석(점판암)으로 조성한 고려시대 석탑.
정의
검푸른 빛을 띠는 청석(점판암)으로 조성한 고려시대 석탑.
개설

청석탑은 통일신라시대 말기에 조성된 해인사 원당암 다층석탑 (보물, 1970년 지정)에서 그 기원을 찾고 있는데, 고려시대에 많이 유행하였다. 청석탑은 규모가 작은 대신에 9층·12층·16층 등 다층(多層)으로 만들었다. 더욱 가공이 쉽고 표면이 아름다웠다. 그래서 청석탑은 대웅전보다는 부속 전당이나 말사의 작은 암자 앞에 세워져 주변경관과 조화를 잘 이룰 수 있었다. 또한 기단부가 화강암으로 조성된 것이 있는데, 이는 커다란 석재를 확보하기 어렵거나, 탑이 옮겨지고 훼손되면서 보충된 석재로 볼 수 있다.

내용

청석탑이 조성된 사례로는 충북 충주 창룡사, 보은 법주사의 여적암, 원주 보문사(강원도 유형문화재, 1985년 지정), 경북 고령 반룡사(경상북도 유형문화재, 1979년 지정), 예천 용문사, 의성 대곡사, 김제 금산사, 대구 동화사의 염불암(대구광역시 유형문화재, 1988년 지정), 영산 법화암(경상남도 유형문화재, 1972년 지정) 진주 두방암(경상남도 유형문화재, 1982년 지정) 등을 들 수 있다. 더욱 문집에 전하는 사례로서 풍세현(豐歲縣: 천안)의 개천사(開天寺), 고창현(高敞縣)의 상원사(上院寺), 금강산의 유점사(楡岾寺)와 신림암(神琳菴) 등이 있다.

의의와 평가

청석탑은 색상은 물론 표면을 세밀하고 아름답게 가공할 수 있는 좋은 소재였다. 이는 고려시대 귀족들이 세밀하고 섬세한 취향에도 일부 부합되는 것이었다. 따라서 고려시대에 청석탑의 조성이 유행하는 것은 청석이 지닌 특성과도 일정 관련이 있다고 볼 수 있겠다.

참고문헌

『검재집(儉齋集)』
『백헌선생집(白軒先生集)』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동국이상국집(東國李相國集)』
「고려시대 청석제 다층석탑 고찰」(홍대한, 『문화사학』 32, 2009)
집필자
곽승훈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