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장보살본원경 ()

불교
문헌
국가유산
1453년(단종 1) 전라도 화암사에서 찍어낸 불교 지장신앙의 기본 경전.
이칭
이칭
지장본원경, 지장경, 지장본행경, 지장본서력경
문헌/고서
간행 시기
1453년
편저자
실차난타(實叉難陀)
권책수
3권 1책
판본
목판본
소장처
서울역사박물관
시도지정문화재
지정 명칭
지정기관
서울특별시
종목
시도유형문화재(2003년 12월 30일 지정)
소재지
서울특별시 종로구 새문안로 55(신문로2가) 서울역사박물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지장보살본원경(地藏菩薩本願經)은 1453년(단종 1) 전라도 화암사에서 찍어낸 불교 지장신앙의 기본 경전이다. 이 불경은 불교 지장신앙(地藏信仰)의 기본 경전으로 당나라 때 실차난타(實叉難陀)가 한역(漢譯)한 것을 1453년 전라도 화암사(花巖寺)에서 목판에 새겨서 찍어냈다. 지장보살(地藏菩薩)이 지옥에서 고통 받는 중생을 구제하는 내용과 의식을 담고 있는 것으로 상 · 중 · 하 3권을 1책으로 묶었다.

정의
1453년(단종 1) 전라도 화암사에서 찍어낸 불교 지장신앙의 기본 경전.
서지사항

이 책은 3권 1책이다. 크기는 세로 29.6㎝, 가로 18.2㎝이다. 원래 선장(線裝)으로 만들었으나 후에 개장(改裝)하였다. 제1~8장 다음에 제18장, 제16장, 제17장의 순서로 편집되어야 하는데, 개장하는 과정에서 착오로 권중(卷中)의 페이지를 뒤섞여 장정하였다.

판식(版式)은 상하단변(上下單邊) ‧ 무계(無界) ‧ 무판심(無版心)이고, 한 판에 15행 16자로 새겨 글자가 좀 큰 편이다. “ 지장보살본원경(地藏菩薩本願經)”이라 쓴 제첨(題簽)은 개장할 때 쓴 것으로 품위가 떨어진다.

이 책은 각 권마다 장차(張次) 표시가 있다. 상권은 지상 2장(地上 2丈)~13장(丈), 중권은 지중 2장(地中 2丈)~13장(丈), 하권은 지하 2장(地下 2丈)~11장(丈)으로 표시되어 있다. 장차 표시가 ‘장(丈)’으로 되어 있는 것으로 미루어 판서자가 고려시대의 권축장(卷軸裝) 형식의 판본을 답습하여 그대로 필서하여 새긴 것임을 알 수 있다.

책의 하권(下卷) 뒤 부분에는 「무의자찬(無衣子贊)」이 실려 있고 이어 간행 기록이 나타난다. “경태사년계유팔월화암사개판(景泰四年癸酉八月花巖寺開板)”이라 되어 있어 1453년 전라도 고산(高山)화암사에서 새겨 찍은 책임을 알 수 있다. 그리고 간행 기록과 함께 간행에 참여한 사람의 명단도 실려 있다.

이 명단에 따르면 비구(比丘) 혜준(惠俊)의 권유를 받아 부사정(副司正) 구현(具顯) 부부 이하 68명이 시주(施主)를 하였고, 시주를 받아 공암(空菴)이 글씨를 쓰고 대선사(大禪師) 의명(義明)이 새겼음을 알 수 있다. 시주자 명단 끝에는 “주이(主李)”라는 소장자의 수결(手決)이 적혀 있다.

본문 전체에 걸쳐서 구결(口訣)로 된 토가 적혀 있고, 시주자 이름 가운데는 이두(吏讀)로 표기된 토박이 이름도 다수 포함되어 있어 조선 전기 국어 연구에 큰 도움이 된다.

편찬 및 간행 경위

이 책은 불교 지장신앙의 기본 경전으로 지장경(地藏經), 지장본원경(地藏本願經), 지장본행경(地藏本行經), 지장본서력경(地藏本誓力經)이라고도 부른다. 중국 당나라 때 중앙아시아 출신 승려인 실차난타가 한역한 것을 1453년 전라도 고산의 화암사에서 목판에 새겨서 찍어냈다.

공암이 글씨를 쓰고 의명이 새겼다. 현재 서울역사박물관에 소장되어 있으며 동일한 판본이 현담문고에도 소장되어 있는데, 현담문고 소장본 ‘지장보살본원경(1989)’은 보물로 지정되어 있다.

구성과 내용

『지장보살본원경』은 부모나 조상들을 지옥으로부터 천도(薦度)하여 극락에 오르게 하는 내용과 의식 방법을 다룬 것이다. 우리나라에서 죽은 부모를 천도하는 지장재(地藏齋) 의식과 사찰에 보이는 명부전(冥府殿)이 바로 이 경전에 근거하여 이루어지기 때문에 빈번하게 간행되었다.

의의 및 평가

이 책은 간행시기와 간행처가 분명하고, 조선 전기 달필가인 공암의 판서본(版書本)을 바탕으로 새긴 독자적인 판본이며, 글자의 새김이 정교하고 인쇄도 선명하여 국가유산으로서의 가치가 높다. 2003년 12월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참고문헌

단행본

『서울의 문화재』(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2003)

인터넷 자료

국가유산청 국가유산포털(https://www.heritage.go.kr/heri/idx/index.do)
불교기록문화유산 아카이브(https://kabc.dongguk.edu)
집필자
안미경(성균관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