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월관음 ()

수월관음보살도
수월관음보살도
불교
개념
33관음 중 하나로 물에 비친 달을 내려다보는 형상의 보살.
내용 요약

수월관음은 33관음보살 중 하나로 물에 비친 달을 내려다보고 있는 보살이다. 『화엄경』 「입법계품」에서 “산골짜기에 냇물이 굽이쳐 흐르고, 수목이 울창하며 부드러운 향초가 땅에 깔린 금강보석 위에 관음보살이 앉아 있다.”는 내용이 있다. 이로 보아 수월관음은 보타락산에 있는 관음을 나타낸 것임을 알 수 있다. 『화엄경』을 보면, 선재동자가 찾아다니는 53인의 선지식(善知識) 가운데 28번째로 만나는 존재가 관음으로 나온다. 고려를 중심으로 널리 유행한 「수월관음도」는 보타락산에 거주하는 관음진신 신앙이 시각적으로 표출된 예이다.

정의
33관음 중 하나로 물에 비친 달을 내려다보는 형상의 보살.
개설

수월관음은 물가의 기암괴석 위에 주1라고 불리는 편한 자세로 앉아 아래를 내려다보는 모습의 관음을 말한다. 배경에는 푸른 대나무와 수목(樹木) · 화초가 있고, 발아래로 냇물이 흐르는 가운데 연꽃이 피어있으며, 한쪽에는 주2주3를 하고 있다.

수월관음이라는 명칭 자체는 불교 경전에 나오는 관음의 특수한 화신(化身)이나 응신(應身)이 아니며 관음의 자태를 문학적으로 비유한 것이다. 관음의 등 뒤로 달처럼 크고 둥근 주4가 있고, 관음은 발아래 물과 선재동자를 굽어보는 형상이기 때문에 마치 물에 비친 달을 보는듯하다는 의미이다. 인도에는 수월관음의 이름과 도상이 전혀 알려지지 않았으므로 수월관음은 중국에서 창안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연원 및 변천

가장 이른 중국의 수월관음 기록은 847년경에 쓰인 장언원(張彦遠)의 주5이다. 유명한 당(唐)의 궁정화가 주6이 수월관음의 모습을 창안했다는 이 기록은 이미 이전에 수월관음이라는 명칭이 쓰였음을 알려준다. 그러나 주방이 수월관음의 외형을 창안했는지는 확실하지 않다.

현장(玄奘)의 주7에는 보타락산이 말라야산 동쪽에 있으며 경사가 급하고 험준하다고 했다. 말라야는 말레이시아 중부 지역을 가리키므로 보타락산의 관음 신앙은 중국에서 인도로 가는 남해 항로와 관련이 있다. 즉, 『법화경』의 제난구제(諸難救濟) 관음 신앙 가운데 해난(海難) 구제의 기원과 보타락산 관음 신앙이 결합하여 수월관음이 만들어진 것이다.

『삼국유사(三國遺事)』에서 비롯된 우리나라의 낙산(落山) 관음굴 신앙과 티벳의 포탈라, 중국 절강성 보타산(普陀山) 조음동(潮音洞) 관음 신앙은 관음 신앙이 아시아 전역에 전해지면서 보타락산의 관음진신(眞身) 신앙이 다양하게 현지화한 것이다.

내용

험한 바위에 편한 자세로 걸터앉아 선재동자를 바라보는 수월관음의 명칭은 『역대명화기』, 주8 등 당의 문헌에서부터 나오기 시작하며 우리나라에서는 대각국사(大覺國師) 의천(義天)『대각국사문집(大覺國師文集)』에 처음 등장한다. 그 외에 이색(李穡)『목은집(牧隱集)』, 이규보(李奎報)『동국이상국집(東國李相國集)』에도 단편적인 기록이 실려 있다.

수월관음의 형상은 일본 교토 청량사(淸凉寺)의 「수월관음경상(水月觀音鏡像)」(985년 하한), 대장경에 수록된 유백(惟白)의 「문수지남도찬(文殊指南圖讚)」(1101년 하한), 일본 나라 도다이지(東大寺) 소장 「화엄해회선지식도(華嚴海會善知識圖)」(13세기)에서 찾아볼 수 있다. 이는 동아시아에서 수월관음의 신앙과 도상을 공유했음을 알려주는 예들이다.

현재 남아있는 전형적인 「수월관음도」에서 관음이 앉아있는 울퉁불퉁하고 험한 바위는 “산골짜기에 냇물이 굽이쳐 흐르고, 수목이 울창하며 부드러운 향초가 땅에 깔린 금강보석 위에 관음보살이 앉아있다”는 『화엄경(華嚴經)』 「입법계품(入法界品)」의 내용과 일치한다. 그러므로 수월관음은 보타락산(Potalaka)에 주처하는 관음 진신(眞身)을 나타낸 것임을 알 수 있다.

이를 뒷받침하는 것이 그의 발밑에 있는 선재동자이다. 『화엄경』에서 선재동자가 찾아다니는 53인의 선지식(善知識) 가운데 28번째로 만나는 존재가 관음이다. 수월관음이 앉아있는 험난한 바위와 선재동자는 보타락산에 있는 관음 진신을 상징한다. 따라서 당대 이후 고려를 중심으로 널리 유행한 「수월관음도」는 보타락산에 거주하는 관음진신 신앙이 시각적으로 표출된 예이다.

의의와 평가

수월관음은 중국에서 창안됐지만 중국에는 돈황 막고굴(莫高窟)에서 발견된 당말오대(唐末五代)의 「수월관음도」가 일부 전해질 뿐이며 고려의 「수월관음도」가 세계적으로 유명하다. 가늘고 유려한 필선과 화려하면서 섬세한 채색이 돋보이는 고려의 「수월관음도」는 약 40여점으로 대부분 14세기의 그림이며 일본에 전해진다.

참고문헌

『중국 고대 관음보살상 연구: 남북조시대에서 당까지』(강희정, 일지사, 2004)
「고려 수월관음도상의 연원에 대한 재검토」(강희정, 『미술사연구』 8, 미술사연구회, 1994)
「敦煌寫本<水月觀音圖>硏究」,『敦煌硏究』(王惠民, 1992年 第3期, 1992)
「高麗時代の水月觀音について」(林進, 『美術史』 102, 1977)
주석
주1

결가부좌에서 한쪽 다리를 풀어 대좌 밑으로 내린 자세.    우리말샘

주2

화엄경의 입법 계품(入法界品)에 나오는 젊은 구도자의 이름. 깨달음을 얻기 위하여 53명의 선지식을 차례로 찾아갔는데, 마지막으로 보현보살을 만나 진리의 세계에 들어갔다고 한다.    우리말샘

주3

절하는 예(禮). 또는 절하여 예를 표함.    우리말샘

주4

회화나 조각에서 인물의 성스러움을 드러내기 위하여 머리나 등의 뒤에 광명을 표현한 원광. 두광(頭光), 신광(身光), 거신광(擧身光) 따위가 있다.    우리말샘

주5

중국 당나라의 장언원(張彦遠)이 835년경에 편찬한 회화사서(繪畫史書). 중국 최초의 회화 역사책으로, 회화의 원류(源流), 서(書)와 화(畫)의 관계, 여러 대가의 필법과 태고 이래의 화가 371명의 전기가 수록되어 있다. 10권.    우리말샘

주6

중국 당나라 때의 화가(?~?). 선주 장사(宣州長史)를 역임하였다. 조정 내 여러 계층의 여인을 주로 그렸으며 초상화에도 실력이 뛰어나 한간(韓幹)보다 더 뛰어났다는 평을 받았다. 또한 불화에도 뛰어나 수월관음상(水月觀音像)을 창안하였다.    우리말샘

주7

중국 당나라 때에, 승려 현장(玄奘)이 서역에서 불경을 구한 행적을 기록한 견문록. 불교사의 기본 사료로 138개 국가의 불교 상황, 불교 고적, 제도, 풍속 따위가 상세히 기록되어 있다. 12권.    우리말샘

주8

중국 당나라 때의 화가 97명의 전기. 당나라 후기의 주경현(朱景玄)이 840년 무렵에 편찬하였다.    우리말샘

집필자
강희정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