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동 법성선원 선원제전집도서 ( )

불교
문헌
문화재
1493년(성종 24) 전라도 고산현 화암사에서 중각한 목판본을 인출한 불서.
이칭
약칭
도서(都序)
문헌/고서
편찬 시기
조선 전기
간행 시기
1493년(성종 24)
저자
종밀(宗密)
권책수
2권 1책
판본
목판본
표제
도서(都序)
소장처
법성선원
시도지정문화재
지정기관
경상남도
종목
경상남도 시도유형문화재(2019년 04월 18일 지정)
소재지
경상남도 하동군
내용 요약

하동(河東) 법성선원(法成禪院) 『선원제전집도서(禪源諸詮集都序)』는 1493년(성종 24) 전라도 고산현 화암사에서 중각한 목판본을 인출한 불서이다. 이 불서는 중국 화엄종의 제5조인 규봉 종밀이 자신의 『선원제전집』 101권에 대하여 지은 서문이다. 고려 중기에 전래되어 지눌의 선 사상에 영향을 주었고, 17세기경에는 강원의 사집과(四集科) 교재로 수용되어 승가 교육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법성선원 도서는 1493년(성종 24) 중각이라는 명확한 간기가 있어서 이른 시기의 판본 형태로 귀중본에 속한다.

정의
1493년(성종 24) 전라도 고산현 화암사에서 중각한 목판본을 인출한 불서.
저자 및 편자

중국 화엄종(華嚴宗)의 제5조인 당(唐)나라의 규봉(圭峯) 종밀(宗密, 780~841)이 자신의 『선원제전집(禪源諸詮集)』 101권에 대하여 지은 서문이다.

서지사항

하동 법성선원 『선원제전집도서』는 첫 장 등 일부가 훼손되어 한지를 덧대어 수리한 흔적이 있다. 겉표지(전면)에는 ‘도서(都序)’라고 주1되어 있고, 안면으로 ‘여시사유 여시현현(如是思惟 如是顯現)’이라 묵서되어 있다. 서문과 함께 과표(科表)가 들어 있고, 주2도 갖추어져

광곽(匡郭)주3 형태는 사주단변(四周單邊), 광곽 종류는 반곽(半郭)이다. 크기는 세로 18.4㎝, 가로 13.1㎝, 계선(界線)은 무계(無界), 행자수는 10행 20자, 책 크기는 세로 26.6㎝, 가로 15.6㎝이다.

장정은 주4으로 목판본이다. 지질은 주5이다. 55장(張)의 구성은 선원집 서(序) 장차 제1~3장, 선원집 권상 장차 제1~26장, 선원집 권하 장차 제27~49장, 선원집 후서(後序) 장차 제50장, 발심수행장 장차 제1~2장으로 편차되어 있다.

편찬 및 간행 경위

『선원제전집도서』는 최소한 10세기 말 중국 절강성(浙江省) 항주(杭州)에서 간행된 후, 고려에 전래되어 보조국사 지눌(知訥, 1158~1210)의 선 사상(禪思想)에 많은 영향을 준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고려에서는 이후 지눌의 수선사(修禪社) 및 선원사(禪源社) 문도들과 백련사(白蓮社) 요세(了世, 1163~1245)의 문도들을 중심으로 유통되었다.

조선시대에는 벽송(碧松) 지엄(智嚴, 1464~1534)이 초학자를 지도하는 방법으로 이 『선원제전집도서』를 다시 주목하기 시작했으며, 이후 17세기경에 그의 문도에 의하여 강원의 주6에 수용되었다. 이후로 지금에 이르기까지 사찰 주7의 교재로 채택되어 승려의 교육에 활용되고 있다.

하동 법성선원 도서인 『선원제전집도서』는 하권 말에 있는 간기에 “홍치육년 계축칠월유일 전라도 고산지 불명산 화암사 중각(弘治六年 癸丑七月有日 全羅道 高山地 佛各山 花岩寺 重刻)”이라고 되어 있어서, 홍치 6년에 해당하는 1493년(성종 24) 전라도 고산현(高山縣) 불각산(佛各山) 화암사(花岩寺)에서 중각(重刻)했음을 알 수 있다.

구성과 내용

『선원제전집도서』는 당나라 규봉 종밀이 선교일치(禪敎一致)를 주장하기 위해 찬술했으며, 현재 상 · 하 2권본과 4권본이 전해지고 있다.

이 도서의 체제는 홍주자사(洪州刺史) 겸 어사중승(御史中丞) 배휴(裴休)의 서문[洪州刺史兼御史中丞裴休述]인 『선원제전집도서』 3장을 먼저 배치하고, 규봉 종밀이 서술한 내용을 상권 26장, 하권 23장, 「대수근발(大叟謹跋)」과 간행기(시주자 포함) 1장, 복주사문(福州沙門) 계현(契玄)이 기록한 후기(後記) 1장[大宋錢塘嚴明男嚴楷勾當雕開板 後序], 분황사 사문 원효(元曉)가 서술한 『발심수행장(發心修行章)』 2장으로 총 56장으로 이루어져 있다.

의의 및 평가

『선원제전집도서』의 중요 판본으로는 송광사 판본(1608년, 선조 41), 천관사(天冠寺) 판본(1634년, 인조 12), 운흥사(雲興寺) 판본(1681년, 숙종 7) 등 48여 판본이 전하고 있는데, 화암사 판본은 이들보다도 앞선 중각본이다.

『선원제전집도서』는 중당시대 본각묘심(本覺妙心)을 중심으로 선교 일치를 주장했던 종밀의 선 사상이 잘 나타나 있다. 비록 중국에서 찬술되었지만 고려 중기에 전래되어 보조국사 지눌의 선 사상에 큰 영향을 주었다.

우리나라 선교겸수(禪敎兼修) 사상과 어울려 널리 유통되다가 조선 중기 이후 전통적인 전문강원에서 이수하는 사집과의 한 과목으로 학습되었다.

법성선원 도서는 우리나라에 전래된 『선원제전집도서』의 초기 형태를 보여 주고 있어서, 선불교 사상 연구에 귀중한 자료로 평가된다. 문화재적 가치를 인정받아 2019년 4월 18일 경상남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참고문헌

원전

『선원제전집도서(禪源諸詮集都序)』(『대정신수대장경(大正新脩大藏經)』 48)
『선원제전집도서과문(禪源諸詮集都序科文)』

단행본

김호귀, 『선과 교의 통로: 선원제전집도서』(한국학술정보, 2010)
동국대학교 한국불교전서편찬위원회, 『한국불교전서』(동국대학교 출판부, 1989)

논문

서수정, 「『선원제전집도서』의 간행과 유통판본 고찰-중국과 한국 유통본을 중심으로-」(『한국불교학』 59, 한국불교학회, 2011)
최동원, 일기, 「선원제전집도서의 판본 연구」(『서지학보』, 한국서지학회, 2008)
최동원, 「『선원제전집도서』의 전래와 사집과 수용에 대한 연구」(『서지학보』 31, 한국서지학연구, 2007)

기타 자료

「경상남도 문화재 지정 고시」(경상남도공고 제2019-124호, 2019. 4. 18)
주석
주1

먹물로 글씨를 씀. 또는 그 글씨.    우리말샘

주2

동양의 간행본에서, 출판한 때ㆍ곳ㆍ간행자 따위를 적은 부분.    우리말샘

주3

서책 책장의 사주(四周)를 둘러싸고 있는 검은 선. 사주 단변(四周單邊), 사주 쌍변(四周雙邊), 좌우 쌍변(左右雙邊) 따위가 있다.    우리말샘

주4

인쇄된 면이 밖으로 나오도록 책장의 가운데를 접고 책의 등 부분을 끈으로 튼튼하게 묶는, 책의 겉모양을 꾸미는 방법의 하나.    우리말샘

주5

닥나무의 껍질을 원료로 하여 만든 종이.    우리말샘

주6

사미과를 마친 학인이 사집(四集)을 배우는 과정.    우리말샘

주7

경(經)과 논(論)을 연구하고 학습하는 곳. 재래식 불교 학교를 이른다.    우리말샘

집필자
이기운(동국대학교 교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