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말 띄여쓰기규범

목차
정치·법제
제도
2000년에 북한 국어사정위원회에서 제정하여 발표한 우리글 띄어쓰기 규정.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2000년에 북한 국어사정위원회에서 제정하여 발표한 우리글 띄어쓰기 규정.
내용

『조선말 띄여쓰기규범』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어사정위원회에서 2000년에 제정하여 발표한 우리글 띄어쓰기 규정이다. 총칙과 9개 항, 전체 12쪽으로 간단히 구성되어 있는데, 책자의 체계는 ‘1. 조선말 띄어쓰기 규범’과 ‘2. 자료’로 되어 있다.

북한에서는 전통적으로 띄어쓰기 규정을 중시해 왔다. 보통 철자법 규정으로 『조선어 신철자법』(1948), 『조선어 철자법』(1954), 『조선말 규범집』(1966, 1987, 2010) 등 총 다섯 차례를 들곤 하지만, 띄어쓰기 규정에 대해서만은 2000년과 2003년 두 차례 따로 『조선말 띄여쓰기규범』을 발표하였다.

본래 북한에서는 남한에 비하여 붙여 쓰는 경우가 많다. 북한은 남한과 달리 특히 의존 명사(불완전 명사)를 선행 관형어와 붙여 쓴다든가 용언과 용언을 붙여 쓰도록 하고 있다. 특히 『조선말 규범집』(1966) 이래로 용언과 용언, 특히 본용언과 보조 용언이 연이어 올 때에 둘을 붙여 써 왔다. 물론 현행 『조선말 규범집』(2010)에서도 마찬가지다.

“조선어의 글에서는 단어를 단위로 하여 띄여쓰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자모를 소리마디 단위로 묶어쓰는 특성을 고려하여 특수한 어휘 부류는 붙여 쓰도록 한다.”(『조선말 규범집』, ‘띄여쓰기’(1987) 총칙)

“단어를 단위로 하여 띄여쓰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특수한 어휘 부류는 붙여 쓴다.”(『조선말 띄여쓰기규범』(2000) 총칙)

“단어를 단위로 띄여쓰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글을 읽고 리해하기 쉽게 일부 경우에는 붙여 쓴다.”(『조선말 띄여쓰기규정』(2003) 총칙)

“단어를 단위로 띄여쓰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글을 읽고 리해하기 쉽게 일부 경우에는 붙여 쓴다.”(『조선말 규범집』, ‘띄여쓰기규정’(2010) 총칙)

그런데 유독 『조선말 띄여쓰기규범』에서만은 다른 띄어쓰기 규정을 보이고 있다. 왜 2000년 규정에서만 띄어 쓰고 있을까? 또 단어마다 띄어 썼다가 왜 2003년에 다시 용언과 용언이 올 때 붙이게 되었을까? 북한의 전산학 발달에 따라 엄격한 띄어쓰기 원칙 준수를 지향하였으나 전통적인 붙여쓰기 관행과 마찰이 생김에 따라 속도 조절 차원에서 원위치한 것으로 보인다.

참고문헌

『조선말 띄여쓰기 규범』(국어사정위원회, 동경: 학우서방, 2000)
「남북 띄어쓰기 규범의 통일을 대하여」(최호철, 『한국어학』 25, 한국어학회, 2004)
「남북한 언어 통일과 정보화」(최호철, 『한국어와 정보화』, 태학사, 2002)
집필자
이관규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