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흥발 ()

과학기술
인물
17세기 중엽, 경상도 밀양에서 활동한 장인(匠人).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미상
출생지
경상도 밀양
주요 작품
자명종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유흥발(劉興發)은 조선 중기 17세기 중엽 경상도 밀양에서 활동한 장인(匠人)이다. 그는 일본에서 제작된 자명종을 얻어 그 구조와 작동을 터득한 뒤, 직접 자명종을 제작하였다. 유흥발이 만든 자명종은 조선에서 서양식 기계 시계를 스스로 제작한 가장 이른 사례 중 하나이다.

정의
17세기 중엽, 경상도 밀양에서 활동한 장인(匠人).
가계 및 인적사항

유흥발(劉興發)은 17세기 중엽 밀양(密陽)에서 활동하였다는 사실 외에는 알려진 것이 없다.

주요 활동

유흥발(劉興發)에 관한 기록은 17세기 중엽의 관료이자 문신인 잠곡(潛谷) 김육(金堉)이 『잠곡선생필담(潛谷先生筆譚)』에 남긴 것이 유일하다. 그에 따르면, “유흥발은 ‘밀양의 솜씨 좋은 장인[교장(巧匠)]’으로서, 일본에서 파는 자명종(自鳴鐘)을 얻어 깊이 연구한 끝에 그 움직이는 이치를 스스로 깨우치고는 그 기계를 회전하게 하여 12 시진(時辰) 모두 스스로 울리게 하였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자명종으로 대표되는 서양의 기계 시계는 서양 세력이 진출하는 16세기 중엽부터 일본과 중국에 전해졌다. 관련 소식은 조선에도 전해져 17세기 초 이수광(李睟光)『지봉유설(芝峯類說)』에서 중국과 일본의 자명종에 관해 기록을 남겼다. 조선에 실물이 유입된 것은 1731년(영조 7) 명나라에 사신으로 갔던 정두원(鄭斗源)이 가져온 것이 기록상으로 처음이다. 유흥발은 조선의 기술자가 자명종의 구조와 작동을 터득하여 제작 운영한 가장 빠른 사례 중의 하나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그는 중국이 아니라 일본을 경유해서 자명종을 접하였는데, 아마도 부산의 왜관(倭館)을 통해 얻은 것으로 보인다.

김육은 유흥발이 만든 시계의 구조와 작동에 대해서도 간단한 기록을 남겼다. 시계의 바깥에는 둥근 ‘윤도(輪圖)’가 있어서 12 시진이 새겨져 있었다. 매 시각마다 종 치는 횟수가 달랐는데, 자시(子時)와 오시(午時)에는 9회를 치고, 점차 줄어들어 사시(巳時)와 해시(亥時)에는 4회로 줄어들었다가, 이후 다시 늘어나는 방식이었다. 매 시의 정중(正中), 예를 들어 자정(子正)과 같은 시각에는 한 번씩만 울렸다. 김육은 “‘윤도’의 가운데에는 해와 달의 모형이 설치되어 회전하였는데, 차고 기울어짐과 운행의 늦고 빠름이 (천체의 운행과) 조금의 차이도 없었다.”라며 감탄하였다.

참고문헌

원전

『잠곡선생필담(潛谷先生筆譚)』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소장, 21b-22a)

단행본

강명관, 『조선에 온 서양 물건들』 (휴머니스트, 2015)
박성래, 『인물 과학사 1: 한국의 과학자들』 (책과 함께, 2011)

기타 자료

박성래, 「역사 속 과학인물: 한국 최초의 기계시계 기술자 ‘유흥발’」 (『과학과 기술』 2006년 2월호)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