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국빈 ()

과학기술
인물
조선 후기 영조 시대에, 관상감의 중인(中人) 관원으로 활동한 천문학자.
이칭
관보(觀甫)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699년(숙종 25)
사망 연도
1770년(영조 46) 이후
본관
순흥(順興)
주요 저서
누주통의(漏籌通義)
주요 작품
황도남북양총성도(黃道南北兩總星圖)
주요 관직
관상감정, 장현현감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안국빈은 조선 후기 영조 시대에 관상감의 중인(中人) 관원으로 활동한 천문학자이다. 3차례 북경에 파견되어 『역상고성후편(曆象考成後編)』, 『의상고성(儀象考成)』 등 청나라의 새로운 역법을 배워오고 이를 토대로 일월식 계산법, 야간 시각 체제 등을 비롯한 조선 정부의 역법을 개선하였다.

정의
조선 후기 영조 시대에, 관상감의 중인(中人) 관원으로 활동한 천문학자.
가계 및 인적사항

안국빈(安國賓)은 본관순흥(順興)이고 자는 관보(觀甫)이다. 1699년(숙종 25)에 출생하였으며, 1770년(영조 46)까지의 활동 기록이 문헌에 남아 있다. 친가와 외가 모두 관상감(觀象監) 관원을 배출한 중인(中人) 천문학자 집안으로서, 할아버지 안필원(安必遠), 아버지 안중태(安重泰), 외할아버지 송섬(宋暹) 모두 역서(曆書)의 제작 등 관상감의 핵심 업무를 담당하는 삼력관(三曆官)이었으며, 그의 아들 안성신(安聖臣)도 관상감 관원으로 삼력관, 천문학 교수 직을 맡았다.

주요 활동

안국빈은 16세인 1714년(숙종 40) 식년시(式年試)음양과(陰陽科)에 급제하였으며, 1721년(경종 1) 관상감정(觀象監正)을 역임하였다. 그가 관상감의 천문학 사업에서 두드러진 성과를 낸 것은 1742년(영조 18)부터였다. 지난해 그의 사촌 동생 안국린(安國麟)이 북경에서 일월식 계산법을 탐문하고 서적을 구해 왔으나 곧 사망하자, 그 임무가 안국빈에게 주어졌다. 이후 안국빈은 관상감 역법(曆法) 사업의 주도자로 활약하였다. 1743년(영조 19), 1744년(영조 20), 1753년(영조 29) 북경에 파견되어 이그나티우스 쾨글러(Ignatius Koegler, 중국명 戴進賢, 1680~1746) 등 청나라 천문관서 흠천감(欽天監)에서 활동하던 예수회 선교사로부터 『역상고성후편(曆象考成後編)』과 『의상고성(儀象考成)』 등 최신 역법을 배우고 관련 서적을 구해 돌아온 뒤, 일월식 계산법, 야간 시각 체제 등 조선의 역법 체계를 개선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그 공로를 인정받아 1749년(영조 25) 황해도 장연(長淵) 현감(縣監)에 임명되었으며 1758년(영조 34) 즈음에는 관품이 종1품 숭정대부(崇政大夫)에 올랐다. 1759년에는 핼리 혜성(Halley彗星)과 일식 등 주요 성변(星變)을 관측하고 그에 관해 영조에게 조언하는 모습이 문헌에 기록되어 있다. 1770년(영조 46) 5월 1일 일식의 구식례(救食禮)에 호출되어 영조에게 보고한 것이 안국빈에 관한 마지막 기록이다.

학문과 저술

안국빈은 관상감이 주도한 여러 편찬 사업에 주도적으로 참여하였다. 이는 대부분 청나라에서 도입한 지식을 재현 · 적용하는 일이었다. 1743년에는 그의 사촌 동생 안국린이 북경에서 구해 온 쾨글러의 「황도총성도(黃道總星圖)」를 관상감이 베껴 병풍으로 제작한 「황도남북양총성도(黃道南北兩總星圖)」에 제작자로 이름을 올렸다. 중국에서 들여온 시각 체제에 관한 서적을 탐구하고 1744년부터 1년간 많은 별을 관측하여 이듬해 8월, 야간 시각 체제를 새로이 규정한 『누주통의(漏籌通義)』를 편찬하였다.

참고문헌

원전

『영조실록(英祖實錄)』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

단행본

이용범, 『한국과학사상사연구』 (동국대학교출판부, 1993)
황원구, 이종영 편, 『조선후기 역산가보·색인』 (한국문화사, 1991)

논문

김슬기, 「18세기 중 후반 관상감 관원의 정치적 지위 변화: 안국빈(安國賓, 1669-?)의 활동을 중심으로」 (『한국과학사학회지』 43-3, 한국과학사학회, 2021)
박권수, 「조선 후기 역서 간행에 참여한 관상감 중인 연구」 (『한국과학사학회지』 37-1, 한국과학사학회, 2015)
안상현, 「신구법천문도 병풍의 제작 시기」 (『고궁문화』 6, 국립고궁박물관, 2013)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