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동 건설붐 ( boom)

경제
사건
1973년, 석유파동(石油波動) 이후 한국 건설업체들이 중동 국가들의 오일 달러를 벌기 위해 1970년대 후반과 1980년대 초에 그 건설시장에 진출하여 수많은 공사를 수주하고 성공적으로 완수하여 외화 획득에 크게 이바지한 사건.
사건/사회운동
발생 시기
1974년
종결 시기
1983년
발생 장소
중동
관련 국가
중동 국가
관련 인물
박정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중동 건설붐은 1973년의 석유파동(石油波動) 이후 한국 건설업체들이 중동 국가들의 오일 달러를 벌기 위해 그 건설시장에 진출하여 수많은 공사를 수주하고 성공적으로 완수한 사건이다. 1973년의 제1차 석유파동 이후,사우디 등 중동 국가들이 풍부한 오일 달러로 사회간접자본의 건설에 나섰는데 한국 건설업체들이 그 국가들의 도로, 항만, 주택, 플랜트 건설 시장에 적극 참여하여 수많은 공사를 수주하고 성공적으로 마침으로써 외화를 획득하고 인력 및 기술 개발과 국제 경영 노하우 획득, 국가 브랜드 상승의 성과를 거두었다.

정의
1973년, 석유파동(石油波動) 이후 한국 건설업체들이 중동 국가들의 오일 달러를 벌기 위해 1970년대 후반과 1980년대 초에 그 건설시장에 진출하여 수많은 공사를 수주하고 성공적으로 완수하여 외화 획득에 크게 이바지한 사건.
발단

1973년, 중동 전쟁(中東戰爭) 이후에 산유국(産油國)들의 담합으로 석윳값이 4배로 폭등하자 세계 경제에 불황(不況)이 닥치고 한국의 석유 수입 대금이 급증하여 경상수지(經常收支) 적자가 급증하여 외화 확보에 비상이 걸렸다. 그 직전, 한 민간 건설사(삼환기업)가 사우디에서 164km의 고속도로 건설공사를 수주한 일이 있었다. 이에 박정희 정부는 오일 달러가 풍부한 중동의 건설 시장에 진출키로 하고 여러 위험에도 불구하고 한국 건설업체의 공사 이행을 은행이 보증하는 내용 등을 담은 「해외건설촉진법」을 제정하였고, 이 지원 덕분에 한국 건설업체의 중동 건설 수주가 활발해졌다.

경과 및 결과

중동 진출 초기에는 도로 공사를 주로 수주하였고, 이어서 그보다 난이도가 높은 항만 공사를 수주하였다. 특히 현대건설이 1976년에 당시 세계 최대 공사인 9억 4000만 달러 규모(당시 환율로 4500억 원 규모이며 한국 정부 1년 예산의 25%에 해당)의 사우디 주베일 산업항 공사를 수주하여 성공적으로 완수하였다. 갈수록 건축 공사도 많아져 건축 공사가 수주한 공사의 전체의 절반을 차지하였고, 이어서 고난도의 플랜트(plant) 공사도 수주하였다.

해외 건설 수주액은 19651973년의 9년간 총 4억 2270만 달러였으나, 19741981년의 8년간 434억 6600만 달러였고, 중동 건설 수주액은 그 94%나 되었다. 같은 시기 중동 건설 수주액은 수출액의 절반 가까이에 달하여, 중동 건설 진출이 석유파동을 극복하는 데 큰 역할을 하였다. 또 해외에 송출된 건설 인력도 급증하여 1979년에는 10만 명을 넘었고 1981~1983년간에는 매년 15만 명을 넘었다. 다만, 1977년의 사상 최초 경상수지 흑자와 같이 해외 부문의 통화 증발로 인플레가 생기고 인력이 부족해지는 사태로 인해 국내 노동 임금이 급등하는 부작용도 있었다.

의의 및 평가

중동 진출을 통하여 한국 건설 산업이 세계적 수준으로 발전하였고 중동 건설 현장에 수많은 근로자가 진출하여 기술을 익히고 재산도 일구어 돌아왔다. 무엇보다 한국 기업이 해외의 입찰에 도전하여 공사를 수주하고 악조건 속에서 건설 공사를 완공한 경험, 한국 근로자가 사막의 열사(熱沙)와 열풍을 이겨낸 경험은 현대 한국인의 정체성을 형성하는 데 기여하였다.

참고문헌

단행본

오원철, 『에너지 정책과 중동건설』 (한국형경제연구소, 1997)

논문

심의섭, 정성화 엮음, 「70년대 한국 건설업의 중동진출에 대한 역사적 평가」 (『박정희 시대와 중동건설』 1, 선인, 2014)
조수종, 정성화 엮음, 「70년대 중동진출에 대한 재조명」 (『박정희 시대와 중동건설』 1, 선인, 2014)
집필자
주익종(이승만학당(주))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