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연사 ()

각연사 전경
각연사 전경
불교
유적
충청북도 괴산군 칠성면 보개산(寶蓋山)에 있는 삼국시대 신라의 승려 유일이 창건한 사찰.
정의
충청북도 괴산군 칠성면 보개산(寶蓋山)에 있는 삼국시대 신라의 승려 유일이 창건한 사찰.
개설

대한불교조계종 제5교구 본사인 법주사(法住寺)의 말사이다.

역사적 변천

신라 법흥왕 때 유일(有一)이 창건하였다. 창건설화에 따르면, 유일은 사찰을 짓기 위하여 현재의 칠성면 쌍곡리 사동 근처에 자리를 잡고 공사를 시작하였는데, 갑자기 까마귀 떼가 나타나서 대패밥과 나무 부스러기를 물고 날아갔다. 이를 이상하게 여겨 까마귀를 따라가니, 조그마한 못에 물고 온 대패밥을 떨어뜨리고는 못가에 앉아 쉬고 있었다. 유일이 물속을 들여다보니 한 석불이 있었으므로 깨달은 바 있어 못을 메워 절을 짓고 각연사라 하였다 한다. 그 뒤 이 불상에 지성으로 기도하면 영험이 크다 하여 참배자들이 끊이지 않았다. 고려 초기에 통일(通一)이 중창하여 대찰의 면모를 갖추었고, 혜종 때에도 중수하였다. 조선시대에도 1648년과 1655년의 중수를 거쳐서 1899년에는 비로자나불의 주1가 이루어졌다. 그 뒤인 1927년과 1954년, 1965년, 1975년에 각각 중수하였다.

내용

현존하는 주2로는 비로전 · 대웅전 · 칠성각 · 산신각 및 요사채 2동 등이 있다. 이 중 비로전은 1982년에 충청북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이 곳에는 1966년에 보물로 지정된 비로자나불좌상이 봉안되어 있다. 정면 3칸, 측면 3칸으로 주3의 형식을 갖춘 주4이며, 1975년에 보수하였다. 1982년에 충청북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된 대웅전은 정면 3칸의 주5이다. 주6 · 주7 · 주8 연간과 1768년에 중수되었다. 대웅전에는 석가여래좌상과 아미타여래좌상 · 약사여래좌상이 봉안되어 있는데 1771년에 개금한 기록이 전한다.

대웅전내 동편에는 승려상이 있는데, 이 절의 창건자인 유일이라는 설과 중국의 주9라는 설이 있다. 흙으로 만들었는데 높이는 130㎝이다. 머리에는 건모를 썼다. 결가부좌한 채 양 무릎 위에 놓은 손에는 주10이 들려있다. 이 절에는 무게 937.5㎏의 범종(梵鐘)법고(法鼓) · 운판(雲板)이 있다. 그밖에도 1999년에 보물로 지정된 통일대사탑비와 2003년에 보물로 지정된 통일대사탑, 조선시대의 작품으로 추정되는 선적당(善跡堂)의 부도, 이름이 밝혀지지 않은 부도가 있다. 비로전 동쪽에는 2001년에 충청북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된 석조귀부와 팔각옥개석 등이 있다.

참고문헌

『사지(寺誌)』(충청북도, 1982)
『한국사찰전서(韓國寺刹全書)』(권상로, 동국대학교출판부, 1979)
『조선금석총람(朝鮮金石總覽)』(조선총독부, 1919)
『여지도서(輿地圖書)』상
주석
주1

불상에 금칠을 다시 할 때 행하는 의식. 우리말샘

주2

정당(正堂)과 옥우(屋宇)라는 뜻으로, 규모가 큰 집과 작은 집을 아울러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3

기둥머리 위와 기둥과 기둥 사이의 공간에 짜 올린 공포(栱包). 주로 조선 전기부터 많이 썼다. 우리말샘

주4

네 귀에 모두 추녀를 달아 지은 집. 우리말샘

주5

박공지붕으로 된 집. 우리말샘

주6

중국 명나라 목종 때의 연호(1567~1572). 우리말샘

주7

중국 청나라 세조 때의 연호(1644~1661). 우리말샘

주8

중국 청나라 성조(聖祖) 때의 연호(1662~1722). 이를 본떠 성조를 강희제라고도 한다. 우리말샘

주9

중국 남북조 시대의 양나라 승려(?~534?). 중국 선종의 시조로, 반야다라에게 불법을 배워 대승선(大乘禪)을 제창하였다. 우리말샘

주10

짧은 지팡이. 우리말샘

집필자
장충식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