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전체 ()

목차
관련 정보
조선시대사
개념
역사를 군주의 정치 관련 기사인 본기와 신하들의 개인 전기인 열전, 통치 제도 · 문물 · 경제 · 자연 현상 등을 내용별로 분류해 쓴 지와 연표 등으로 기록하는 편찬 체재.
내용 요약

역사를 군주의 통치 행위와 관련된 기사인 본기(本紀)와 신하들의 개인 전기라고 할 수 있는 열전(列傳), 각종 제도와 문화·문물, 경제와 사회, 군사와 자연 현상 등을 내용별로 분류해 정리한 지(志)와 연표(年表) 등으로 나누어 기록하는 역사 편찬 체재를 말한다.

목차
정의
역사를 군주의 정치 관련 기사인 본기와 신하들의 개인 전기인 열전, 통치 제도 · 문물 · 경제 · 자연 현상 등을 내용별로 분류해 쓴 지와 연표 등으로 기록하는 편찬 체재.
내용

기전체는 전한시대 주1의 『사기(史記)』에서 시작되었으며, 정형적인 모습은 후한시대 주2가 편찬한 『한서(漢書)』에서 갖추어졌다. 이후 중국 역대 왕조의 정사(正史)인 『25사(史)』가 모두 기전체로 편찬되었다. 중국의 경우, 정사의 편찬은 한 왕조가 멸망한 뒤 후속 왕조에 의해 전 왕조의 실록을 기본 자료로 이용하여, 기전체로 편찬하는 것이 정례였다.

우리나라 기전체 역사서는 고려 초기에 편찬된 『삼국사(三國史)』가 처음이지만 현재 전하지 않으며, 고려 중기 김부식(金富軾)『삼국사기(三國史記)』가 현전하는 최초의 기전체 사서이다. 조선 건국 이후 『고려사(高麗史)』가 기전체로 편찬되었는데, 국가에서 주도한 관찬 사서이다.

조선 후기 개인 학자들에 의해 고려 이전의 역사를 기전체로 편찬하는 경향이 확산되었다. 16세기 말 오운(吳澐)『동사찬요(東史纂要)』, 17세기 후반 허목(許穆)의 『동사(東事)』, 18세기 후반 이종휘(李鍾徽)『동사(東史)』 등이 대표적이라고 할 수 있다.

오운은 권근(權近)『동국사략(東國史略)』에 의거해 신라를 위주로 삼국시대를 서술하였다. 신라 왕을 표제로 내세우고, 그 밑에 고구려 · 백제의 역사를 부기하는 형식을 취하였다. 삼한의 위치에 관해서는 처음에 최치원설과 권근설을 모두 소개하였다. 그러나 한백겸(韓百謙)의 비판을 받고, 뒤에 개찬할 때 한백겸의 삼한설을 따로 수록하였다. 지리지 역시 한백겸의 충고에 의해 보완하여 간행했는데, 신라 · 고구려 · 백제 · 고려의 순으로 서술하였다.

허목은 단군 · 기자 · 위만 · 신라 · 고구려 · 백제는 세가(世家)로 하여 정통 국가의 역사로 서술했고, 부여 · 숙신 · 삼한 · 가락 · 예맥 · 말갈 등은 부용적인 국가로서 열전에 기록하였다. 이종휘는 단군 · 기자 · 삼한 · 후조선(위만)은 본기로, 부여 · 발해 · 가야 등은 세가로, 예맥 · 옥저 · 비류 · 낙랑 등은 역사적 인물과 함께 열전으로 기술하였다. 이는 세력의 크기에 따라 구분한 것이었다.

특징

기전체는 역사를 군주와 그를 보필한 신하, 그리고 통치 제도를 삼원적으로 파악하는 역사 기술이었다. 하나의 자료가 내용에 따라 분류 · 서술되어 참고하기에 매우 긴요하지만, 역사를 총체적으로 이해하는 데 불편한 점도 없지 않다. 그러나 연대가 없는 자료까지 모두 실을 수 있는 장점도 확인된다.

참고문헌

원전

『삼국사기(三國史記)』
『고려사(高麗史)』
『사기(史記)』
『한서(漢書)』
허목, 『동사(東事)』
이종휘, 『동사(東史)』
『동사찬요(東史纂要)』

단행본

정구복, 『한국중세사학사』(경인문화사, 2014)
정구복, 『한국근세사학사』(경인문화사, 2008)
한영우, 『역사학의 역사』(지식산업사, 2002)
박인호, 『한국사학사대요』(이회, 1996)
한영우, 『조선후기 사학사 연구』(일지사, 1989)
한영우, 『조선전기 사학사 연구』(서울대출판부, 1981)
이기백, 『한국사학의 방향』(일조각, 1978)

논문

김난옥, 「『고려사』의 편찬과 조선전기 전조사 인식」(『사학연구』 116, 한국사학회, 2014)
김남일, 「조선초기 관찬 역사서에 있어서 『자치통감강목』 서법의 편찬」(『한국사학사학보』 29, 한국사학사학회, 2014)
김영심, 정제훈, 「조선후기 정통론이 수용과 그 변화-수산 이종휘의 『동사』를 중심으로」(『한국문화』 26,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00)
안예선, 「『자치통감』과 『사기』 비교-기사의 증보와 축소·삭제를 중심으로」(『중국문학연구』 77, 한국중문학회, 2019)
오항녕, 「조선초기 『고려사』 개수에 관한 사학사적 검토」(『태동고전연구』 16,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1999)
최준하, 「『사기』를 통해 본 역사교육-기전체와 논찬을 중심으로」(『역사와 역사교육』 21, 웅진사학회, 2011)
한영우, 「허목의 고학과 역사인식-『동사』를 중심으로」(『한국학보』 11-3, 중화민국한국연구학회, 1985)

인터넷 자료

기타 자료

주석
주1

중국 전한(前漢)의 역사가(B.C.145?~B.C.86?). 자는 자장(子長). 기원전 104년에 공손경(公孫卿)과 함께 태초력(太初曆)을 제정하여 후세 역법의 기초를 세웠으며, 역사책 ≪사기≫를 완성하였다. 우리말샘

주2

중국 후한 초기의 역사가ㆍ문학가(32~92). 자는 맹견(孟堅). 아버지 표(彪)의 유지를 받아 기전체 역사서인 ≪한서≫를 편집하였다. 작품에 <백호통의>, <양도부(兩都賦)#GT#따위가 있다.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1)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