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종 ()

열성어필 / 문종대왕 어필
열성어필 / 문종대왕 어필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의 제5대(재위: 1450년~1452년) 왕.
이칭
휘지(輝之)
시호
공순(恭順)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414년(태종 14)
사망 연도
1452년(문종 2)
본관
전주(全州)
관련 사건
계유정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문종은 조선전기 제5대 왕이다. 재위 기간은 1450∼1452년이며, 세종의 맏아들이다. 세종 재위시에 세자로서 섭정을 하면서 실제적인 정치 경험을 쌓았다. 학문을 좋아했고 학자들을 아꼈으며 많은 서적들을 편찬했다. 『고려사』 개찬과 『고려사절요』 편찬은 조선왕조의 정치·제도·문화의 정리를 위해서도 중요한 의의를 가진 사업이었다. 군제도 스스로 개혁안을 마련해 정비했다. 유학뿐 아니라 천문·역수·산술에도 정통했고 서도에도 능했다고 한다. 그러나 몸이 허약해 재위 2년 4개월 만인 39세에 병사하고 나이 어린 세자 단종이 즉위했다.

정의
조선의 제5대(재위: 1450년~1452년) 왕.
내용

재위 1450년(문종 즉위년)∼1452년(문종 2). 본관은 전주(全州). 이름은 이향(李珦), 자는 휘지(輝之). 세종의 맏아들이며, 어머니는 소헌왕후 심씨(昭憲王后沈氏)이다. 비는 화산부원군(花山府院君) 권전(權專)의 딸인 현덕왕후(顯德王后)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421년(세종 3)에 왕세자로 책봉되었고, 1450년 37세로 왕위에 올랐다.

문종은 학문을 좋아했고 학자(집현전 학사)들을 아끼고 사랑하였다. 부왕인 세종은 각종 질환으로 인해 1437년 일찌감치 세자(문종)에게 서무(庶務)를 결재하게 하려 했으나 신하들의 반대로 뜻을 이루지 못하였다.

그러나 세종은 1442년 군신(群臣)의 반대를 무릅쓰고 세자가 섭정(攝政)을 하는 데 필요한 기관인 첨사원(詹事院)을 설치, 첨사(詹事) · 동첨사(同詹事) 등의 관원을 두었다.

또한, 세자로 하여금 왕처럼 남쪽을 향해 앉아서 조회(朝會)를 받게 했고(南面受朝), 모든 관원은 뜰 아래에서 신하로 칭하도록 하였다. 또한 국가의 중대사를 제외한 서무는 모두 세자의 결재를 받으라는 명을 내리기도 하였다.

그리하여 마침내 ‘수조당(受朝堂)’을 짓고 세자가 섭정을 하는 데 필요한 체제를 마련했으며, 1445년부터 세자의 섭정이 시작되었다.

섭정은 세종이 죽기까지 계속되었으며 이로 인해 문종은 즉위하기 전부터 실제적인 정치 경험을 쌓을 수 있었다. 따라서, 문종 시대의 정치 방법과 분위기는 세종 후반기의 그것과 크게 변함이 없었다.

문종이 즉위하면서 왕권은 세종대에 비해 약간 위축되었다. 수양대군(首陽大君) · 안평대군(安平大君) 등 종친 세력의 심상하지 않은 움직임도 이미 이때부터 나타나고 있었으며, 이를 견제하기 위한 언관(言官: 臺諫)의 종친에 대한 탄핵 언론으로 상호 긴장된 분위기가 조성되기도 하였다.

이 시대 언관의 언론은 정치 전반에 걸쳐 활발히 전개되었으나, 특히 척불언론(斥佛言論)이 눈에 띈다. 그것은 세종 말기 왕의 호불적(好佛的) 경향에 대한 유신(儒臣)의 반발로 해석된다.

즉, 세종 말기 세종과 왕실에 의해 이루어진 각종 불교 행사와 내불당(內佛堂)의 건설 등 불교적 경향을 방지하는 데 실패한 유자적(儒者的)인 언관(言官)들은 문종이 즉위하자 왕실에서의 불교적 경향을 불식하고 유교적 분위기를 조성하려 노력하였다.

당시 언관의 언론은 왕권이나 그 밖의 세력에 구애되지 않고 활발했음에도 불구하고 문종은 자주 구언(求言)했고, 언로(言路)가 넓지 못하다고 생각하여 조신(朝臣) 6품 이상에게 모두 윤대(輪對)를 허락하였다. 또한 비록 벼슬이 낮은 신하일지라도 부드럽게 대하면서 그들의 말을 경청하였다.

문종 조에 편찬된 서적으로는 『동국병감(東國兵鑑)』 · 『고려사(高麗史)』 ·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 『대학연의주석(大學衍義註釋)』 등이 있다. 『고려사(高麗史)』는 정도전(鄭道傳) 등의 『고려국사(高麗國史)』 이래 여러 차례 개수(改修) · 교정이 있었으나, 만족할만한 것이 못되어 1449년 김종서(金宗瑞) · 정인지(鄭麟趾) 등에게 개찬(改撰)을 명해 1451년(문종 1)에 완성을 본 것이다.

또한 기전체의 『고려사(高麗史)』 편찬이 완성된 직후 새로이 편년체로 편찬에 착수하여 1452년에 완성된 것이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이다. 『고려사(高麗史)』와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의 편찬은 전 왕조의 역사의 정리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조선왕조의 정치 · 제도 · 문화의 정리를 위해서도 필요한 작업으로 중요한 의의를 가진 사업이었다.

군사제도에 있어서도, 1445년에 10사(司)에서 12사로 개정되었던 것을 1451년에 5사로 개편하였다. 문종은 세자로 있을 때부터 진법(陣法)을 편찬하는 등 군정(軍政)에 관심이 많았다.

즉위 후 군제의 개혁안을 스스로 마련해 제시했고, 재위 2년여에 걸쳐 이루어진 군제상의 여러 개혁은 매우 중요한 내용을 가진 것이었다.

문종은 유학(儒學: 性理學)뿐 아니라 천문(天文)과 역수(曆數) 및 산술(算術)에도 정통했고, 예(隷) · 초(草) · 해서(楷書) 등 서도에도 능하였다. 그러나 몸이 허약해 재위 2년 4개월 만에 39세로 병사하였다. 그 뒤를 이어 나이 어린 세자 단종이 즉위함으로써, 계유정난, 세조의 찬위(纂位), 사육신 사건 등 정치적으로 불안한 사건을 초래하는 계기가 되었다.

시호는 공순흠명인숙광문성효대왕(恭順欽明仁肅光文聖孝大王)이고, 묘호는 문종(文宗)이며, 능호는 현릉(顯陵)으로 경기도 구리시 인창동에 있다.

참고문헌

『고려사(高麗史)』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세종실록(世宗實錄)』
『문종실록(文宗實錄)』
『선원계보(璿源系譜)』
『국조보감(國朝寶鑑)』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조선초기 언관·언론연구』(최승희, 서울대학교한국문화연구소, 1976)
『한국군제사』근세조선전기편(육군본부, 한국군사연구실, 1968)
「양반유교정치의 진전」(최승희, 『한국사』9, 1974)
「집현전연구」(최승희, 『역사학보』32·33, 1966·1967)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