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3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1매의 판석에 양각한 전체 높이 1.98m의 불상이다. 직사각형의 판석 자체가 광배가 되었다. 무릎 아래는 파손되어 전체 크기와 형태를 추측하기 어렵고, 남은 부분은 마멸로 인해 세부수법이 자세히 보이지는 않는다.
광배와 불상이 하나의 석재로 이루어진 것으로, 직사각형의 석재를 다듬어 광배 모양을 만들고, 다시 불상을 양각하였다. 이러한 석상 조각은 감산사(甘山寺) 아미타불입상이나 미륵보살상에서 나타나는 방식이며, 고려 초기에 제작된 남원 만복사지석불입상(萬福寺址石佛立像)에서도 볼 수 있다.
배 모양[주형(舟形)] 광배에 비하면 불상이 작은 편이라서 상대적으로 광배의 공간이 넓으며 가장자리에 새겨진 불꽃무늬만 희미하게 확인되는 것 외에는 장식문양이 별로 보이지 않는다. 다른 불상의 광배에 불꽃무늬와 연꽃무늬 등이 정교하게 새겨진 것과는 달라 이례적이며, 이 상주 증촌리 석조여래입상의 조성시기가 통일신라시대보다 더 내려갈 가능성을 시사한다.
불상의 정수리 부근에는 상투 모양의 머리[肉髻]가 분명하게 솟아있으며, 소라처럼 말린 머리카락[나발(螺髮)]은 보이지 않는다. 갸름하고 살집이 없는 얼굴에는 이목구비가 매우 간략하게 표현되었다. 어깨 넓이는 적당하지만 가슴과 배에 양감이 없고 신체가 평면적으로 조각되어 왜소한 인상을 준다. 얼굴의 크기에 비해 팔이 짧고 뻣뻣하게 만들어졌다. 각기 신체 쪽으로 어색하게 구부린 두 팔은 손 모양을 알아볼 수 없으며 왼쪽 팔이 훨씬 길어서 균형을 잃었다. 양 어깨에 걸쳐진 통견(通肩)의 법의(法衣) 옷 주름은 길쭉한 타원형을 이루며 무릎까지 흘러내렸다. 적당한 두께의 옷자락은 신체에 밀착되어 간결하게 표현되었다.
광배와 함께 무릎 아래가 완전히 파괴되어 전체적인 신체 비례와 두 발, 다리 아래의 옷자락 처리를 알 수 없으나 남아있는 부분으로 미루어 신체는 장신(長身)의 늘씬한 체구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다소 왜소해 보이는 신체에 간략하게 표현된 얼굴, 이상적인 인체 대신 경직되고 현실적인 면모를 보여주는 이 불상은 기본적으로 남원 만복사지석불입상과 유사한 형식적 특징을 보여준다. 아무런 도상의 특징을 보여주지 않으며, 양식적으로도 퇴화의 일면을 보이고 있어서 통일신라 말기 지방화한 석불 조각의 경향을 알려주는 조각이라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