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타령 (소)

목차
구비문학
작품
소가 지니는 유다른 미덕과 희생으로 일관된 삶을 노래한 타령.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소가 지니는 유다른 미덕과 희생으로 일관된 삶을 노래한 타령.
내용

소를 제재로 한 가사로 민요화한 사설도 보인다. 소의 삶을 제재로 한 타령이기 때문에 일정한 기능은 없다. 겸손하고 부지런하며 점잖으면서 남을 위해 철저히 몸 바치는 소의 미덕을 찬양하는 내용이 대종을 이룬다.

사람들이 주는 먹이는 변변하지 못한데, 밤낮 사람들은 벅찬 일만 시키면서 모질게 때리니, 매를 맞을 수밖에 없는 서글픔과 언제 어디에서라도 사람이 시키는 대로 모진 일을 치러야 하는 소의 숙명을 노래하였다.

더구나 죽고 난 다음에도 살과 뿔과 뼈 및 가죽이 사람들의 소용으로 요긴하게 쓰이는 서러움도 더불어 사설로 드러난다. “살아서 고생이고/죽어 또한 고생이지/나라님의 고륜상에/너비산적 기리산적/이내살이 아닐소냐/호반님의 정녕활이/이내힘줄 아닐소냐.”(황해도 황주)

전국에 드물게 보이는 이 「소타령」의 사설은 예전에 핍박과 시달림으로 일관된 서민들의 삶의 진통을 소의 한평생에 투영시켜 불렀으리라고도 볼 수 있다. 희귀한 타령이면서 소의 실정을 절실하고 어련하게 드러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참고문헌

『한국구비문학대계』(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0∼1988)
『조선민요연구』(고정옥, 수선사, 1949)
『조선구전민요집(朝鮮口傳民謠集)』(김소운, 제일서방, 1933)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