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성 안사동 석조 여래 좌상 ( )

목차
관련 정보
의성 안사동 석조여래좌상
의성 안사동 석조여래좌상
조각
유물
문화재
경상북도 의성군 안사면 안사리에 있는 불상.
목차
정의
경상북도 의성군 안사면 안사리에 있는 불상.
내용

1984년 경상북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전체 높이 157㎝, 불상 높이 76㎝, 어깨 너비 76㎝, 무릎 너비 76㎝, 광배 높이 110㎝.안사리 안심마을에서 북동쪽 고도산(高道山) 계곡 대곡지(大谷池) 안쪽의 완만한 경사지에 위치한다. 원래 봉안되었던 곳은 알 수 없으나, 현 위치 주변에 기와 조각과 석탑재들이 많이 있어 현 위치가 원래 자리거나 인근에 있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불상은 항마촉지인(降魔觸地印)을 결하고 연화대좌 위에 결가부좌를 하고 있다. 현재, 대좌의 중대석만이 결실되었을 뿐, 다소 마모는 되어 있지만 불신과 광배는 온전한 상태이다. 불상과 광배가 한 돌로 이루어져 있어 전체적인 느낌은 커다란 광배와 불상이 조화를 이루고 있다.

불상의 경우 얼굴에는 입체적인 느낌이, 불신에는 평판적인 느낌이 강하며, 또한 무릎의 폭을 상당히 벌려서 불상 자체에 안정감을 주고 있다. 마모상태가 심각하여 육계(肉髻)나 두발의 형태를 정확히 알 수는 없으나, 불두(佛頭) 자체는 상당히 입체적으로 조각되어 있다.

목이 짧아 전체적으로 움츠리고 있는 듯하며, 삼도(三道)의 표현은 확인할 수 없다. 불신은 어깨가 비교적 넓게 조각되었고 양 무릎의 폭 역시 어깨와 적당한 비례를 이루고 있으나 불신이 주는 입체감이나 볼륨감은 찾아보기 어렵다고 하겠다.

착의 형식은 우견편단식으로 법의(法衣)를 착용하였고, 의습선은 가는 평행음각선으로 묘사하였다. 광배(光背)는 주형거신광으로 정상부분에서 양측으로 약간 내려온 부분에 살짝 안으로 파여 있으며, 거신광 안에 다시 원형 두광을 양각기법으로 새겼다. 두광 내부는 연화문을 조각하고 주연에는 화염문이 있다.

대좌는 연화좌로서 불상과 광배에 비해 매우 둔중한 느낌을 준다. 불상은 어깨가 올라간 움츠린 자세에 상체가 짧고 조각의 형식화가 진전된 것 등 조각기법이나 광배의 형식으로 보아 나말여초에 조성된 작품으로 추정된다.

참고문헌

『文化財大觀. 3 : 有形文化財, 無形文化財 篇』(경상북도, 2003)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배진달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