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창정 ()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후기에, 순천부사, 동래부사, 양주목사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중번(仲蕃)
화음(華陰), 무구옹(無求翁)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573년(선조 6)
사망 연도
1625년(인조 3)
본관
연안(延安, 지금의 황해도 연백)
주요 관직
순천부사|동래부사|양주목사
관련 사건
이괄의 난
정의
조선 후기에, 순천부사, 동래부사, 양주목사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연안(延安). 자는 중번(仲蕃), 호는 화음(華陰) 또는 무구옹(無求翁). 이말(李煞)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이경종(李慶宗)이고, 아버지는 정언(正言) 이주(李澍)이며, 어머니는 군수 사필(師弼)의 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603년(선조 36) 진사시에 합격하여 내시교관에 발탁되어 재행(才行)이 겸비되고 학술이 정심(精深: 정밀하고 깊음)함을 인정받았다. 1608년(광해군 즉위년) 별시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였으며 은율현감이 되어 선정을 베풀어 정부로부터 표리(表裏) 일습을 하사받았다.

1611년 행호군이 되고, 순천부사·동래부사에 이어, 1617년 양주목사 등을 역임하면서 선치수령(善治守令)으로 알려졌다. 같은해 전적·사예, 이듬해 사성이 되어 대비를 폐하자는 논의에 참여하였다. 1623년(인조 1) 충청수사(忠淸水使)가 되어 문무재겸(文武才兼)의 실력을 발휘하였고, 이듬해 이괄(李适)의 난이 일어나자 공주까지 인조를 호종하였다.

그 당시 함경도관찰사 권반(權盼)이 명나라 장수 모문룡(毛文龍)과 서로 의견이 맞지 않아 문제를 일으키자, 권반의 후임으로 이원익(李元翼)과 이귀(李貴) 등의 추천을 받아 후임으로 임명되어 명나라 군대의 노략질을 금지시키는 데 큰 공을 세웠다. 1625년 선위사로 안변에 가서 명나라 사신을 기다리던 중에 죽었다. 문집으로 화음집(華陰集)이 있다.

참고문헌

『광해군일기(光海君日記)』
『인조실록(仁祖實錄)』
『국조방목(國朝榜目)』
『용주유고(龍洲遺稿)』
『국조인물고(國朝人物考)』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집필자
공원영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