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사수 ()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전기 중종~명종 대 의정부 좌참찬, 사간원 대사간, 성균관 대사성, 사헌부 대사헌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계임(季任)
송강(松岡)
시호
문정(文貞)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502년(연산군 8)
사망 연도
1558년(명종 13)
본관
양주(楊州)
주요 관직
사헌부 대사헌|홍문관 부제학
내용 요약

조사수는 조선 중종~명종 대 의정부 좌참찬, 사간원 대사간, 성균관 대사성, 사헌부 대사헌 등을 역임한 문신이다. 중종 대 과거에 급제하면서 관직 생활을 시작하였다. 대간 직을 두루 거쳤으며 문장 실력과 인품 등에서 동료 관료들에게 높을 평가를 받았다. 명종 대에는 더욱 중용되어 성균관 대사성, 사간원 대사간, 사헌부 대사헌, 홍문관 부제학 등을 모두 역임하였다. 종계변무(宗系辨誣) 문제 해결을 위해 주청사(奏請使)로 중국 명나라에 파견되었다.

정의
조선 전기 중종~명종 대 의정부 좌참찬, 사간원 대사간, 성균관 대사성, 사헌부 대사헌 등을 역임한 문신.
가계 및 인적 사항

조사수(趙士秀)의 본관은 양주(楊州), 자는 계임(季任), 호는 송강(松岡)이다. 1502년(연산군 8) 태어났다. 증조할아버지는 조선(趙選), 할아버지는 조수견(趙壽堅), 아버지는 조방좌(趙邦佐)이다. 어머니는 신형(申炯)의 딸이다. 형은 조언수(趙彦秀)이다. 중종~ 명종 대에 여러 관직을 역임하였다.

주요 활동

1528년(중종 23) 식년시 생원 · 진사시에서 전체 6등, 39등으로 각각 합격했다. 3년 뒤 1531년(중종 26) 식년시 문과(E0019419)에서 주1 3등 주2으로 입격하면서 관직 생활을 시작하였다.

기록에서 확인되는 첫 관직은 사간원(司諫院) 정언(正言)이다. 이후 사헌부(司憲府) 지평(持平)을 거쳐 헌납(獻納), 교리(校理), 장령(掌令) 등의 관직을 맡았다.

1540년 제주목사(牧使)에 제수되었다. 당시 대간 직을 주로 맡았고 성품과 주3)에서 좋은 평가를 받았던 조사수가 바다를 건너 이동해야 하는 제주목사로 임명되자 당시의 여론이 이상하게 여겼다고 한다.

다음 해 제주도 변경 지역에 일본인들과 문제가 발생할 여지가 생기자 제주 목사를 무신이었던 윤중형(尹仲衡)으로 교체하면서 내직이었던 예조 참의(參議)에 제수되었다. 같은 해 11월에는 진향사(進香使)로 명나라에 파견 되었다. 1543년 황해도관찰사로 임명되면서 다시 외직을 수행하게 되었다.

명종 대에는 성균관(成均館) 대사성(大司成), 병조 참의, 사간원 대사간(大司諫), 겸동지의금부사(兼同知義禁府事), 이조 참판, 사헌부 대사헌(大司憲), 홍문관(弘文館) 부제학 등의 중요 관직들을 역임하였다. 1557년(명종 12) 종계변무(宗系辨誣) 문제 해결을 위해 명나라에 주청사(奏請使)로 파견되었다. 1558년 57세의 나이로 죽었다. 시호는 문정(文貞)이다.

참고문헌

원전

『국조방목(國朝榜目)』
『명종실록(明宗實錄)』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중종실록(中宗實錄)』
『청선고(淸選考)』
주석
주1

조선 시대에, 과거 합격자를 성적에 따라 나누던 세 등급 가운데 첫째 등급. 정원은 세 명으로, 일 등인 장원랑(壯元郞)은 종6품, 이 등인 방안(榜眼)과 삼 등인 탐화랑(探花郞)은 각각 정7품의 품계를 받았다.    우리말샘

주2

조선 시대에, 과거 시험에서 갑과에 셋째로 급제한 사람. 정칠품의 품계를 주었다.    우리말샘

주3

글을 잘하여 세상에 알려진 이름.    우리말샘

집필자
이규철(성신여대 교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