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2년 경상남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용화사(龍華寺) 대웅전에 봉안되어 있다. 새로 만든 대좌 위에 결가부좌한 석불상으로 불두(佛頭) 역시 새로 제작하였다. 그러나 신체의 보존 상태는 비교적 좋은 편이다.
넓은 어깨에 법의(法衣 : 중이 입는 가사나 장삼 따위의 옷)는 우견 편단(右肩偏袒 : 오른쪽 어깨가 드러남.)식으로 걸쳤다. 약간 두텁게 표현된 법의에 비해 신체의 굴곡은 잘 드러나 있는 편이다.
옷주름은 왼쪽 어깨에서 가슴을 지나 오른쪽 겨드랑이로 이어지는 4∼5단의 밀집된 주름과, 어깨 위에서 팔뚝까지 직선으로 이어지는 띠 모양 주름으로 구성된다.
왼쪽 어깨에서 뒤로 넘어가던 법의 자락은 측면에서 그 흐름을 중단하고 뒷면은 표현하지 않아 정면관(正面觀 : 앞에서 바라본 모습) 위주의 조형임을 알 수 있다. 오른손은 무릎 위에 얹어 촉지인을 결한 듯하며, 왼손은 엄지와 장지를 맞닿아 마치 옷자락을 끌어당기는 듯이 가슴 앞에 대었다.
불신(佛身)의 풍부한 양감과는 매우 대조되게 왼손을 얕은 돋을새김하였다. 둘레에 약간의 파손이 있는 주형 거신(舟形擧身) 광배(光背 : 회화나 조각에서 인물의 성스러움을 드러내기 위해서 머리나 등의 뒤에 광명을 표현한 둥근 빛)에는 원형의 두광(頭光 : 부처나 보살의 정수리에서 나오는 빛)과 신광(身光 : 부처나 보살의 몸에서 발하는 빛)을 표현하였다.
두광은 두 개의 동심원으로 구성하여 동심의 두 원 사이에 당초문(唐草文 : 덩굴무늬)을 배치하였다. 광배 둘레는 불꽃무늬로 장식하였다.
하체는 무릎 폭이 넓어 안정감을 주지만 길상좌(吉祥坐 : 왼발을 오른쪽 넓적다리 위에 놓은 다음 오른발을 왼쪽 넓적다리에 놓는 자세)인지 항마좌(降魔坐 : 길상좌의 반대)인지 명확히 구별하기 어렵다.
넓은 어깨와 당당한 가슴, 잘록한 허리에 전체적으로 양감이 풍부하고 균형 잡힌 신체 표현 등 통일신라 불상의 특징을 잘 갖추고 있다. 그러나 손과 발 등의 조법이 빈약하고 세부 조각에까지 신경을 쓰지 않았으며, 옷주름을 평행 층단식으로 처리하는 등 조성 시기를 고려 초기까지 내려 볼 수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