높이 1.8m. 1972년 경상남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원래 망가사(望迦寺)라는 절이 있었다는 이은리의 냇가에 있던 불상을 현재의 자리로 옮겨 놓은 것이다.
광배(光背 : 회화나 조각에서 인물의 성스러움을 드러내기 위해서 머리나 등의 뒤에 광명을 표현한 둥근 빛)와 한 돌로 조성한 원각(圓刻)에 가까운 고부조(高浮彫 : 높은 돋을새김)의 입상(立像)이다. 신체 하부와 대좌를 잃고 자연 암석 위에 상체만 모셔져 있으며 양팔의 손목 부분도 절단되어 있다.
소발(素髮 : 민머리)의 머리에 낮고 평평한 육계(肉髻 : 부처의 정수리에 있는 뼈가 솟아 저절로 상투 모양이 된 것)가 단정하게 얹혀졌다. 넓적하고 큰 얼굴에 귀도 크고 긴 편이다. 이마에는 백호공(白毫孔)이 남아 있고 얼굴은 마멸되어 이목구비가 뚜렷하지는 않다.
그러나 남아 있는 흔적으로 보아 반개한 두 눈은 옆으로 길게 표현하고 입은 작아 고려시대 불안(佛顔) 표현의 기법을 찾아볼 수 있다. 코는 마모되어 형체를 전혀 알아볼 수 없으며 굵은 목에는 삼도(三道)가 뚜렷하다. 좁은 어깨에는 통견(通肩 : 어깨에 걸침)의 법의(法衣 : 중이 입는 가사나 장삼 따위의 옷)를 걸쳤다.
양어깨에서 가슴 밑으로 V자형에 가까운 U자형을 그리며 길게 늘어져 흘러내리고 있다. 불신(佛身)의 하부는 없어졌기 때문에 현재는 배 앞에 늘어지는 6줄의 음각 주름만 보일 뿐이다. 평행하게 밀집된 주름은 깊은 선각(線刻 : 선으로 새김)으로 처리되었으며 법의는 두꺼운 편이다.
팔에 걸쳐 흘러내리는 옷주름은 가슴에 형성된 주름과 연결되어 있어 특이하다. 이는 양팔과 가슴의 유기적인 구조를 조각적으로 표현해 내지 못한데서 오는 현상으로 보인다. 양손은 따로 만들어 끼웠던 흔적만 남아 있으며 오른팔을 약간 치켜들고 있다.
역 U자형의 거신 광배에 두광(頭光 : 부처나 보살의 정수리에서 나오는 빛)은 동심원 2개를 돋을새김하고 작은 원에는 좁고 넓은 연판(蓮瓣 : 연꽃잎)을 반복하여 채웠다. 두광 바깥 원의 돋은 선으로부터 내려오는 신광(身光 : 부처나 보살의 몸에서 발하는 빛) 좌우에는 고사리 모양의 초화문을 새겼다. 위로 뻗어 올라가는 모습에 약간 차이가 있다.
머리에 비해 신체 표현이 빈약해 보이며 좁은 어깨에서 내려오는 양팔을 신체 측면에 붙여 몸 앞쪽으로 표현하였기 때문에 위축되어 보인다. 치밀하지 못하고 형식적인 조각 수법 등으로 보아 고려시대의 불상으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