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성 홍주읍성 ( )

건축
유적
문화재
충청남도 홍성군 홍성읍에 있는, 조선 전기에 돌로 쌓은 읍성.
이칭
이칭
홍성 홍주성
유적
건립 시기
15세기
관련 국가
조선
높이
약 4~4.5m
둘레
약 1.5km
면적
196,381㎡
소재지
충청남도 홍성군
국가지정문화재
지정기관
문화재청
종목
사적(1972년 10월 14일 지정)
소재지
충청남도 홍성군 홍성읍 오관리 200-2번지
내용 요약

홍성 홍주읍성은 조선 전기에 돌로 쌓은 읍성으로, 충청남도 홍성군 홍성읍에 있다. 조선 초 기존에 있던 성을 그대로 사용한 평지형 읍성으로 북쪽보다 남쪽이 높은 지형을 잘 이용하여 백월산에서부터 흐르는 하천을 자연 해자로 삼고, 읍성으로의 주 출입은 동문을 통하도록 하여 도로와 읍성 안 공간을 구획하였다. 전체적으로 읍성은 북향한 형식을 취하되 객사를 포함한 주요 공해 건물은 남향하도록 하여 풍수와 기능을 동시에 해결한 독특한 구성을 하고 있다.

키워드
정의
충청남도 홍성군 홍성읍에 있는, 조선 전기에 돌로 쌓은 읍성.
건립 경위 및 변천

현재 남아 있는 홍성 홍주읍성의 성벽 둘레는 약 810m 정도이고, 성안에는 동문인 조양문(朝陽門)과 외삼문(外三門)인 홍주아문(洪州衙門), 동헌(東軒)인 안회당(安懷堂), 여하정(余何亭) 4동의 건물이 현존한다. 처음 읍성이 축조된 연대는 확실하지 않지만 『세종실록지리지(世宗實錄地理志)』에 둘레가 533보 2척이고, 여름과 겨울에도 마르지 않는 이 하나 있다고 하였다.

조선 초 문종 때 충청 전라 경상도 체찰사(體察使)였던 정분(鄭苯)은 각 지역의 읍성을 구별하여 일부는 그대로 사용하고, 일부는 새로운 규식(規式)대로 고쳐 쌓거나 혹은 물려 쌓아 규모를 확대하는 등의 차이를 두기를 청하였다. 그 중 홍성 홍주읍성은 충청도의 비인, 남포, 보령, 해미, 당진, 면천 읍성과 더불어 그대로 사용하도록 한 읍성의 하나였다. 당시 실록의 기록에는 둘레 4,856척, 높이 11척, 여장(女墻) 높이 2척, 주12 24곳 중 18개소는 아직 쌓지 않았고, 성문 4곳 중 1곳에는 주13을 두지 않았다고 하였다. 또한 성 안에 우물 2곳이 있고, 성 안에는 작은 천(川)이 흐르고, 해자(垓子)는 아직 파지 않았다고 하였다. 이후 임진왜란 이전까지 홍주성의 규모는 대체로 큰 변화가 없었는데, 성종 때 편찬된 『신증동국여지승람』에 둘레 4,915척 높이 15척이라 하고 세 개의 우물이 있다고 한 것으로 보아 높이를 약간 높이는 정도의 주3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 뒤로 영조 때의 기록인 『여지도서(輿地圖書』에 성의 둘레와 높이가 각각 주척으로 5,850척, 16척이라 하고, 3칸 규모의 동문과 서문 외에 누각이 없는 북문을 언급하면서 남문이 없다고 한 것으로 보아 임진왜란 이후 둘레를 조금 넓히되 남문은 폐쇄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그와 더불어 주4 386개소와 7개의 주5이 설치되었고, 읍성 내 경사당(景士堂)의 서쪽으로 길이 15척, 너비 10척의 연못이 조성되어 있었다고 한다.

19세기 들어 홍성 홍주읍성은 몇 차례 부분적인 수리가 있었으며, 가장 큰 변화는 1867년 홍주 목사로 부임한 한응필(韓應弼)에 의하여 진행되었다. 1870년 2월부터 10월까지 진행된 공사에는 한응필의 연봉금 3천 냥과 결세부가금 3만 5천 냥 등 총 6만 3천 냥을 투입하여 성벽 567척을 새로 쌓고 615개의 성가퀴(堞)를 설치하는 외에 동문인 조양문(朝陽門), 서문인 경의문(景義門), 북문인 망화문(望華門)과 문루를 신축하였다. 당시 공사는 이와 같이 읍성을 수축하는 외에도 객사 42칸을 보수하고, 관아 224칸을 신축하는 등의 대규모 정비 사업이었다.

1907년 내각령 1호가 발효된 이후 일제강점기에 들어 읍성 안을 흐르는 천(川)의 북쪽으로 동문과 서문 및 북문을 연결하는 도로를 직선화하고 그 폭을 넓히기 시작하였고, 성 내외를 연결하는 도로가 신설되기 시작하면서 읍성의 북쪽 지역 성벽이 철거되고 해체되기 시작하였다. 지목과 지번이 부여되지 않았던 성벽이 토지대장에 기록되면서 일본인들이 소유하였던 성벽을 중심으로 직교형 가로망으로의 변화를 수용하기 위해 성벽을 철거하게 되고, 이로써 읍성의 물리적 공간을 한정하였던 북쪽의 성벽이 점차 사라지고 성벽 밖으로부터 안으로 도시화가 진행되었다.

1972년에 홍성 홍주읍성이 사적으로 지정되면서부터 본격적인 보수 정비가 시작되었다. 1975년에 동문인 조양문을 완전 해체 · 보수하여 현재의 모습을 갖추고, 2006년부터 시작한 학술 조사 및 발굴 조사를 통하여 성벽의 주14 구간과 규모를 확인한 후, 이를 토대로 2013년 남문인 홍화문과 문루를 복원하였다. 또한 2008년 북문지 발굴 조사와 2015년 수구지 발굴 조사를 토대로 성벽을 정비함과 동시에 2020년에 옹성을 갖춘 북문을 복원함으로써 현재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형태와 특징

홍성 홍주읍성의 전체적인 형태는 남북 방향이 길고 동서의 폭이 좁은 형태로 남북의 경우 북쪽이 넓고 남쪽으로 가면서 점차 좁아져 남문 쪽에 이르면 회절점이 형성되어 쐐기와 같은 형상을 하고 있다. 풍수적으로는 주15으로 분류된다. 읍의 서쪽 백월산으로 흘러내리는 두 갈래 물길인 월계천과 홍성천이 읍 전체를 감싸 돌며 합쳐져 동쪽으로 흘러 자연 해자를 이루고, 읍성 서쪽에서 동쪽으로 이들 하천을 연결하는 소하천이 성을 가로지르며 금천(禁川)의 역할을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읍성 내 도로는 일반적인 조선시대 읍성의 도로가 ‘T’자 모양으로 되어 있는 것에 반하여 홍주성은 ‘ㅗ’자 모양으로 되어 있다.

공공건물인 객사가 읍성의 북쪽 중앙에 위치하고 남쪽 아래로 두 개의 동헌이 동서로 배치되었다. 서쪽에는 군수가 행정을 집행하던 안회당(安懷堂)을 포함한 동헌이, 동쪽에는 군사 목적의 진영(鎭營) 동헌이 배치되어 균형을 이루었다.

현재 발굴 조사를 토대로 읍성의 둘레와 높이를 실측한 결과는 각각 1,528m, 4.5m 정도로 조선 전기 및 임진왜란 이후의 기록에 비하여 그 규모가 큰 편인데, 이는 19세기 말 대대적인 수축을 통하여 읍성의 규모가 확대된 결과로 볼 수 있다. 성벽을 쌓은 방법은 쌓은 시기와 구간에 따라 다르긴 하지만 대체로 성벽 밑에서 위로 갈수록 점점 작은 돌을 사용하되 주16으로 돌을 가공하여 주1이 생기지 않도록 하였으며, 85° 정도 안으로 기울여 쌓았다. 성벽 내부는 규격이 같은 돌로 주2을 하여 흙이 유입되어 주6이 증가하지 않도록 하였다. 또한 성벽 몸체 위에는 주7을 설치하였고, 읍성의 성벽을 따라 치(雉)를 설치하여 벽이 무너지지 않도록 하고 방어에 유리하도록 하였다.

의의 및 평가

홍성 홍주읍성은 처음 축조된 시기를 알 수는 없지만 기록을 통해서 조선 초기에 이미 잔존하고 있던 성으로, 기존에 구축되었던 그대로 유지되었음을 알 수 있다. 평지에 위치한 읍성으로 북쪽보다 남쪽이 높은 지형을 잘 이용하여 백월산에서부터 흐르는 하천을 자연 해자로 삼고, 읍성으로의 주 출입은 동문을 통하도록 하여 도로와 읍성 안 공간을 구획하였다. 읍성의 전체적인 공간 구성은 다른 읍성과 달리 남쪽을 비우고 북쪽에 민가를 배치하였지만 객사를 포함한 주요 주9 건물은 남향하도록 하여 풍수와 기능을 동시에 해결한 독특한 구성을 하고 있다. 그밖에 시간의 주10에 따라 다양한 석축 쌓기 방식이 혼재되어 있는 것도 홍주읍성의 가치를 높이는 데 도움을 주고 있다.

참고문헌

원전

『세종실록지리지』
『문종실록』
『여지도서』

단행본

『홍성군지』(1925)
『문화재대관』(문화재관리국, 1976)
『홍성 홍주읍성 종합정비기본계획』(홍성군, 2015)

논문

박준형·이찬희, 「홍성 홍주읍성 성벽의 보존상태 및 축성유형과 안정성 고찰」(『문화재』 51권 3호, 국립문화재연구소, 2018)
이재희·안정근, 「조선시대 읍성의 도시공간구조 특성연구」(『한국지역개발학회지』 25권 1호, 한국지역개발학회, 2013)
최상식·한삼건, 「일제시대 홍주읍성의 토지이용 변화에 관한 연구」(『대한건축학회논문집』 19원 8호, 대한건축학회, 2003)
주석
주1

벽돌 쌓기에서, 여러 켜의 세로줄눈이 상하로 일직선으로 이어진 줄눈. 우리말샘

주2

돌이나 벽돌을 쌓을 때에 그 틈서리에 시멘트나 모르타르를 채워 다지는 일. 우리말샘

주3

집이나 다리, 방죽 따위의 헐어진 곳을 고쳐 짓거나 보수함. 우리말샘

주4

성 위에 낮게 쌓은 담. 여기에 몸을 숨기고 적을 감시하거나 공격하거나 한다. 우리말샘

주5

성문을 밖으로 둘러 가려서 구부러지게 쌓은 성. 우리말샘

주6

쌓인 흙이 누르는 힘. 우리말샘

주7

성 위에 낮게 쌓은 담. 여기에 몸을 숨기고 적을 감시하거나 공격하거나 한다. 우리말샘

주8

성벽 일부를 돌출시켜 적의 접근을 조기에 관찰하고 성벽에 접근한 적을 정면이나 측면에서 공격할 수 있는 시설물. 알기쉬운한국건축용어사전

주9

관가(官家)의 건물. 우리말샘

주10

포개어진 물건의 하나하나의 층. 우리말샘

주11

성 위에 낮게 쌓은 담. 여기에 몸을 숨기고 적을 감시하거나 공격하거나 한다. 우리말샘

주12

성문 양옆에 외부로 돌출시켜 옹성과 성문을 적으로부터 지키는 네모꼴의 대(臺). 우리말샘

주13

쇠로 만든 독처럼 튼튼하게 둘러쌓은 산성이라는 뜻으로, 방비나 단결 따위가 견고한 사물이나 상태를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14

헐어서 치워 버림. 우리말샘

주15

풍수지리에서, 배가 떠나가는 듯한 지세. 우리말샘

주16

내각(內角)이 모두 직각인 사각형. 주로 정사각형이 아닌 것을 이른다. 우리말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