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무개혁 ()

목차
관련 정보
근대사
제도
대한제국 시기, 광무 정권이 추진한 근대화 개혁.
제도/법령·제도
시행 시기
1897년
폐지 시기
1904년
주관 부서
궁내부
내용 요약

광무개혁은 대한제국 시기에 광무 정권이 추진한 근대화 개혁이다. 대한제국 고종 황제 재위시절의 연호인 광무(光武)를 따라 광무개혁이라 한다. 대한제국은 자주 · 자강의 근대적 주권 국가를 지향하며 부국강병을 목표로 근대적 상공업 진흥 정책을 추진했으나, 개혁의 성격과 성과를 두고 역사학계에서 ‘광무개혁 논쟁’이 있었다.

목차
정의
대한제국 시기, 광무 정권이 추진한 근대화 개혁.
내용

1897년에 고종 황제가 대한제국을 선포하고 궁내부(宮內府)를 중심으로 추진한 근대화 개혁이다. 일본의 지원을 받은 개화파 정권이 추진한 갑오개혁과 비교하여 광무개혁은 주1을 이념으로 하는 자주적인 개혁이라는 평가와 그 성과를 둘러싸고 역사학계에서 ‘광무개혁 논쟁’이 있었다.

먼저 개혁의 추진 이념인 ‘구본신참’은 갑오개혁의 급진적 측면으로 생긴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신구절충’을 표방한 데서 유래한다. 1897년 3월에 교전소(校典所)를 설치하고, 1899년 6월에 법규교정소(法規校正所)를 설치한 것은 모두 갑오개혁 이후의 신제도와 구제도의 혼란을 해결하기 위하여 신구 제도를 절충한 법규 제정을 목표로 하였다.

갑오개혁 때 도입된 근대적 제도는 대체로 광무개혁에서도 계승되었지만, 정치체제의 측면에서는 황제의 절대군주권을 강화한 보수적인 모습을 보였다고 할 수 있다. 참정권 확대를 주장하였던 독립협회 · 만민공동회를 해산한 후, 1899년 8월 17일에 선포한 「 대한국국제(大韓國國制)」는 근대 주권 국가로서 자주독립을 선언한 것이며, 동시에 입법 · 행정 · 외교 · 군대 통솔 등 모든 분야에 걸쳐 황제의 절대군주권을 구체적으로 명시한 것이다.

따라서 광무개혁의 추진 주체는 황제와 그 측근의 주2 세력이었으며, 독립협회와 대립하였던 보수적인 정부 대신들은 정권의 핵심이 아니었다. 황제와 궁내부를 중심으로 한 친위 세력들은 주3을 목표로 근대적 상공업 진흥 정책을 추진하였으나 재정 부족, 개혁 추진 방식의 문제, 일본을 비롯한 외세의 간섭 등으로 큰 성과를 보지 못한 채 러일전쟁을 맞이하게 되었다.

광무개혁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가장 먼저 거론되는 것은 광무양전 · 주4 사업이다. 1898년 7월 양지아문(量地衙門)을 설치하고 1899년 여름부터 본격적으로 실시한 양전사업(量田事業)은 전국 토지의 약 3분의 2에 해당하는 218군(郡)에 대한 토지 측량을 완료하였다. 조세 부과 대상인 토지를 정확히 파악하기 위하여 미국인 측량기사까지 고용하여 근대적인 토지측량 방법을 도입하기도 하였다.

또 1901년에는 지계아문(地契衙門)을 설치하고 토지 소유자의 소유권을 근대적인 방식으로 확인해 주는 지계를 발급해 주었다. 외국인의 토지 소유는 인정되지 않았다. 토지에 대한 정확한 파악은 근대적인 조세행정을 시작으로, 근대화 사업을 추진하기 위한 재정 자금을 확보하고, 근대적 소유권을 확립하여 자본주의 경제 제도 수립의 기본 전제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근대화 사업의 성과를 가장 가시적으로 보여주는 분야는 수도 한성의 근대적 도시 개조 사업이다. 새 황궁인 경운궁(지금의 덕수궁)을 중심으로 주5 도로망을 개설하고 전기 · 전차 · 전신 · 전화 · 철도 부설 사업을 추진하였다. 1899년부터 동대문에 발전소를 건설하여 서대문 · 청량리 간 전차 노선을 개통하고 전등도 보급하였다. 1899년 궁내부 산하 통신사에 전화과와 철도과를 설치하여 사업을 주관하고, 1900년에는 궁내부에 다시 철도원서북철도국을 설립하여 직접 경의 철도 부설을 추진하기도 하였다.

1900년에 설립된 통신원에서는 우체와 전신, 선박 및 선원 관련 업무를 주관하였고, 1902년에는 「전화세칙(電話細則)」도 반포하였다. 근대적인 기술 인력 양성을 위하여 실업학교를 설립하는 일도 활발하였다. 각종 외국어학교, 주6, 상공학교(商工學校), 광무학교(鑛務學校) 등의 졸업생과 외국 유학생을 관직에 채용하였고, 우무학당(郵務學堂), 전무학당(電務學堂)에서 우체와 전신 사업 인력을 배출하였다. 외국인 기술고문들이 다수 초빙되어 근대적인 기술 교육과 사업 경영에 관여하였다.

상공업 진흥 정책에 따라 각종 회사의 설립도 활발하였다. 황실이 직접 투자하여 주7 회사를 설립하거나 고위 관료 출신들이 회사나 은행을 설립하는 일이 많았다. 수공업자들이 기계를 도입하여 근대적인 생산 방식을 채택한 철가공업, 요업, 유기 제조업, 주8, 면방직업, 견직업 분야가 있고, 그 밖에 주9, 양조업, 담배 제조업, 성냥 제조업 등 소비재 생산 공장들도 생겨났다.

한성은행, 대한천일은행, 대한철도주식회사, 인한윤선주식회사 등은 주로 고위 관료들이 투자한 경우이다. 대규모 자본을 가진 특권 상인들은 궁내부 내장원에 납세하는 대신 특정 영업에 대한 독점권을 확보하고 소상공인들을 지배하는 일이 많았다. 내장원과 특권 상인들에 의해 전국 각지의 소상품 생산자나 소상인에 대해 영업세, 유통세 성격의 잡세 수취가 강화되면서 민간의 불만이 확대되었다.

그런데 본격적인 자본주의 경제체제 건설을 위해서는 중앙은행 설립과 근대적인 화폐제도 실시가 시급하였다. 갑오개혁 때 「 신식화폐발행장정」을 채택하고도 주10를 주조하지 못한 채 악화인 백동화만 남발하고 있던 상황에서 황제의 핵심 측근인 전환국장 이용익(李容翊)이 화폐금융 개혁을 추진하였다.

1901년 2월에 「화폐조례」를 반포하고, 1903년 3월에 「중앙은행조례」 및 「태환금권조례」가 제정되었다. 하지만 본위화 주조와 중앙은행 설립에 필요한 막대한 자금을 구하지 못하여 제도만 마련하고 실행은 미룬 채 러일전쟁을 맞이하였다.

근대적인 군비 증강의 측면에서는 매년 국가 전체 예산의 40% 정도를 군사비에 배정하며 신식무기 구입, 친위대시위대 등 중앙군 증설, 지방군인 진위대 증설 등을 추진하였다. 1898년에 설립된 무관학교에서 장교를 육성하고 일본 육사에 유학생을 파견하였으며, 1899년에 원수부 설치로 황제의 군 통수권을 강화하였다.

1903년에는 상비군 양성을 목표로 17세 이상 40세 이하의 장정을 모집하는 「징병조례」를 반포하였다. 그러나 결국 실시하지 못한 채 러일전쟁을 맞았고, 전시 중립 주11에도 불구하고 한반도에 진주한 일본의 군사적 주12을 막아내지 못하였다.

광무개혁은 고종 황제와 이용익 등 소수의 근왕 세력 중심으로 추진되어 그 지지 기반이 협소하였다. 대한제국 광무정권의 핵심을 차지한 근왕 세력들은 양반 출신이 아닌 주13 혹은 그 이하의 신분 출신이지만 근대적인 실무능력을 바탕으로 황제에게 발탁된 인물이 많았다. 고종은 황제권에 도전하는 개화 세력이나 양반 출신 정부 대신, 보수적인 유생층보다 이들을 신뢰하였다.

각종 근대화 사업도 의정부가 아닌 궁내부를 중심으로 추진하였다. 갑오개혁 때 왕권을 제한하기 위하여 왕실업무 전담 기관으로 설치된 궁내부가 대한제국기에는 오히려 국정 운영의 핵심기구로 부상하였다. 궁내부 내장원은 황실의 사유재산 관리에 머물지 않고 막대한 규모의 재원을 관리하면서 근대화 사업에

역둔토주14 지주 경영, 홍삼전매사업, 전국의 광산 개발과 경영뿐 아니라 전국 각지의 영업 · 유통 현장에서 잡세 수취를 강화하였다. 철도와 광산에 외국인 합동을 금지한다는 규칙을 제정한 후 전국의 주요 광산을 궁내부에 이속시키고 자력으로 철도 부설도 추진하였다.

외세의 간섭을 배제한다는 명분으로 황제권을 배경으로 한 궁내부가 전면에 나섰지만, 황실 재정의 운영이 불투명하고 비효율적인 요소가 많아 보수적인 원로대신과 개화 세력 양측으로부터 비판에 직면했다. 근본적으로는 재정 부족 문제로 큰 성과를 거두지 못한 채 러일전쟁을 맞이함으로써 개혁은 중단되었다.

일제는 1904년부터 고문정치를 실시하면서 대한제국의 내정을 간섭하고, 궁내부를 대폭 축소하여 근대화 관련 기구들을 폐지하였다. 국권 침탈 과정에서 황제권을 제한하기 위하여 재정 개혁 혹은 황실 재정 정리라는 이름으로 모든 개혁 사업을 중단시켰다. 이로써 광무개혁은 실질적 성과를 맺지 못한 실패한 개혁이 되었으며, 대신 일제에 의한 식민지적 근대화가 시작되었다.

참고문헌

단행본

한영우 외 저, 한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편, 『대한제국은 근대국가인가』(푸른역사, 2006)
교수신문 편, 『고종황제 역사청문회』(푸른역사, 2005)
서영희, 『대한제국정치사연구』(서울대학교출판부, 2003)
이영호, 『한국근대 지세제도와 농민운동』(서울대학교출판부, 2001)
이태진, 『고종시대의 재조명』(태학사, 2000)
한국역사연구회 토지대장연구반, 『대한제국의 토지조사사업』(민음사, 1995)
신용하, 『독립협회연구』(일조각, 1976)
김용섭, 『한국근대농업사연구』-상, 하(일조각, 1975)

논문

도면회, 「황제권 중심의 국민국가체제의 수립과 좌절: 1895~1904」(『역사와현실』 50, 한국역사연구회, 2003)
서영희, 「광무정권의 형성과 개혁정책 추진」(『역사와현실』 26, 한국역사연구회, 1997)
이영학, 「대한제국의 경제정책」(『역사와현실』 26, 한국역사연구회, 1997)
이윤상, 「대한제국기 황제주도의 재정운영」(『역사와현실』 26, 한국역사연구회, 1997)
조재곤, 「대한제국기 군사정책과 군사기구의 운영」(『역사와현실』 19, 한국역사연구회, 1996)
주진오, 「대한제국과 독립협회」(『한국역사입문』 3, 한국역사연구회, 1996)
이민원, 「대한제국의 성립과 '광무개혁', 독립협회에대한 연구성과와 과제 」(『한국사론』 25, 국사편찬위원회, 1995)
나애자, 「대한제국의 권력구조와 광무개혁」(『한국사 11-근대민족의 형성』 , 한길사, 1994)
주진오, 「독립협회와 대한제국의 경제정책 비교 연구」(『국사관논총』 41, 국사편찬위원회, 1993)
광무개혁연구반, 「광무개혁 연구의 현황과 과제」(『역사와현실』 8, 한국역사연구회, 1992)
이영학, 「광무양전사업 연구의 동향과 과제」(『역사와현실』 6, 한국역사연구회, 1991)
서영희, 「1894~1904년의 정치체제 변동과 궁내부」(『한국사론』 23,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1990)
강만길, 「대한제국의 성격」(『창작과 비평』 13, 창비, 1978)
신용하, 「‘광무개혁론’의 문제점」(『창작과 비평』 13-3, 창비, 1978)
김용섭, 「서평: 『독립협회연구』」(『한국사연구』 12, 한국사연구회, 1976)
송병기, 「광무개혁연구: 그 성격을 중심으로」(『사학지』 10, 단국사학회, 1976)
신용하, 「서평: 『한국근대농업사연구』」(『한국사연구』 13, 한국사연구회, 1976)
강만길, 「대한제국시기의 상공업문제」(『아세아연구』 16-2,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1973)
김용섭, 「광무연간의 양전사업에 관한 일연구」(『아세아연구』 11-3,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1968)
주석
주1

조선 후기 개화파에 의해 전개된 서양 문명의 수용 논리. 1897년에 대한 제국이 출범하면서 나타났으며, 동도서기론(東道西器論)에 뿌리를 두고 있다. 옛것을 근본으로 새로운 것을 참작 또는 참조한다는 뜻이다.    우리말샘

주2

임금이나 왕실을 위하여 충성을 다함.    우리말샘

주3

나라를 부유하게 만들고 군대를 강하게 함. 또는 그 나라나 군대.    우리말샘

주4

대한 제국 때에, 토지 소유권을 증명하던 문서.    우리말샘

주5

중앙의 한 점에서 사방으로 거미줄이나 바큇살처럼 뻗어 나간 모양.    우리말샘

주6

의학을 가르치는 학교.    우리말샘

주7

국가 기관에서 경영함.    우리말샘

주8

여러 가지 종이를 만들어 내는 산업.    우리말샘

주9

기계 따위로 벼를 찧어 입쌀을 만드는 영업.    우리말샘

주10

한 나라의 화폐 제도의 기초를 이루는 화폐. 화폐를 만드는 소재인 금속의 가치를 기준으로 하여 다른 재화들의 가치를 재는 척도가 된다.    우리말샘

주11

다른 국가들 사이에서 전쟁이 발생한 경우 자위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일시적으로 그 전쟁에 개입하거나 지원하는 등 일체의 행위를 하지 않을 것을 선언하는 제삼국의 국제법상의 행위.    우리말샘

주12

남의 물건, 영토, 권리 따위를 강제로 차지함.    우리말샘

주13

조선 시대에, 양반과 평민의 중간에 있던 신분 계층.    우리말샘

주14

역토(驛土)와 둔토(屯土)를 아울러 이르는 말.    우리말샘

집필자
서영희(한국산업기술대 교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