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마총 금제 허리띠 ( 허리띠)

천마총 금제 허리띠
천마총 금제 허리띠
공예
유물
문화재
신라 천마총의 피장자 허리 부근에서 수습된 금제 허리띠.
내용 요약

천마총 금제 허리띠는 신라 천마총의 피장자 허리 부근에서 수습된 금제 허리띠이다. 전형적인 신라의 허리띠로, 1978년 국보로 지정되었다. 얇은 금판으로 만든 띠꾸미개 44매, 13줄의 금제, 2줄의 금동제 허리 장식이 있다. 허리띠에는 작은 칼·끌·향낭 같은 실용 기물이나 물고기 등의 상징물을 매달아 늘어뜨렸다. 이렇게 허리띠에 매달아 늘어뜨리는 것을 수하식이라고 한다. 천마총 금제 허리띠는 고구려와 중국 진대 조형의 영향을 받았다. 여기에 변용을 가해 수하식의 장식을 화려하게 첨가해 신라 고유의 특징을 나타낸 것이다.

키워드
정의
신라 천마총의 피장자 허리 부근에서 수습된 금제 허리띠.
개설

1978년 국보로 지정되었다. 천마총은 대형 돌무지덧널무덤으로 관모 이외에도 금관, 관장식, 허리띠, 귀걸이 등의 금제 꾸미개와 자루솥, 다리미, 솥 등의 청동용기류, 합, 굽다리접시 등의 금동 용기류, 말갖춤류, 무기류, 토기, 유리배, 각종 구슬 등과 함께 출토되었다.

구성 및 형식

천마총의 과대는 얇은 금판으로 만든 띠꾸미개 44매에 13줄의 금제, 2줄의 금동제 허리장식을 드리운 전형적인 신라 허리띠이다. 사각형의 띠꾸미개는 삼엽문을 이중으로 교차 장식해 투조하였고 아래에는 하트모양의 심엽형 장식이 거꾸로 매달려 있다. 작은 원판의 금제 영락은 일부에만 달려 장식되었다. 심엽형 장식판 아래로는 타원형과 사각형의 금판을 연결해 허리장식을 드리웠는데 아래에는 곱은 옥, 원통 두겁, 유리구슬, 모자 곡옥, 주머니, 물고기 등과 같은 형상이 매달려 있다.

내용

본래 금속제 허리띠를 착용하는 것은 북방 유목민족들이 허리띠에 손칼, 숫돌 등을 매달고 다니던 풍습에서 비롯된 것이다. 우리나라에서 유물로 처음 발견된 예는 낙랑 정백동 37호, 2호, 92호묘와 석암리 219호에서 출토된 은제 타출 동물문 대구로 볼 수 있다. 특히 신라 허리띠의 계보는 고구려 더 나아가 중국 진(晋)에서 찾을 수 있는데 진대 허리띠의 특징을 고찰해보면, 띠고리와 띠끝 장식, 띠꾸미개가 갖추어진 것이 확인되며 투조나 선각으로 용문 · 삼엽문 등이 띠꾸미개에 장식되어 신라의 허리띠와 유사한 점을 찾을 수 있다. 진대 허리띠는 동아시아의 허리띠 전형이 되었는데, 고구려의 집안(集安) 우산전산자(禹山轉山子) 152 · 2159호묘, 집안 장천 4호분 등에 표현된 투각무늬나 띠꾸미개의 연결 방식과 비교된다. 또한 357년 명문이 있는 안악 3호분의 서쪽 측실에 그려진 무사계급 장하독(長下督)의 허리에서 삼엽문(三葉文) 수식이 늘어진 진대식 과대를 패용한 예도 관찰된다.

각 요패에 연결된 타원형의 금판은 안으로 갈수록 둥글게 때려 입체감을 주었는데, 이와 같은 기법은 금령총과 천마총의 가장 긴 수식에서 확인된다. 또한 띠고리와 연결되는 길고 세장한 띠끝꾸미개의 테두리에는 금관의 대륜에서 볼 수 있는 것과 같은 점문으로 파상문이 장식되었다. 또한 요패 장식으로 매달린 물고기의 몸체에는 타출기법으로 어린문이 장식되었고 꼬리 부분에는 장인의 날렵한 정을 치는 동작을 상기시키는 점문으로 지느러미가 여러 줄 표현되었다. 신라의 허리띠에는 도자(刀子), , 족집게, 숫돌, 향낭 등 일상생활의 실용물이나 곡옥, 물고기 등과 같은 상징물이 수하식으로 사용되었다. 황남대총 남분의 금제 끌, 황남대총 북분의 금제 도자집, 천마총의 금제 족집게와 같은 예는 실용기물과 관계있는 지물이라고 할 수 있다.

의의와 평가

천마총 금제 허리띠는 전형적인 신라의 허리띠로 고구려, 중국 진대(晋代)의 조형을 받았으나 변용을 가해 수하식의 장식을 화려하게 첨가해 발전시킨 신라 고유의 특징을 나타낸다.

참고문헌

『신라 금속공예 연구』(이송란, 일지사, 2004)
『신라황금』(국립경주박물관, 2001)
『신라고분연구』(최병현, 일지사, 1992)
『천마총』(문화재관리국, 1974)
「집안시 발굴 고구려 허리띠꾸미개(대식) 연구」(장설암, 『고구려발해연구』제12집, 고구려발해연구회, 2001)
「5∼6세기 신라의 변경지배방식」(이한상, 『한국사론』33, 서울대학교, 1995)
『蒙古ノイン∙ウラの遺物』(梅原末治, 東京:東洋文庫, 1960)
「大正十三年度古蹟調査事務報告第一五慶尙北道慶州於古墳分布圖調成」(田中十藏, 『朝鮮』大正十四年七月號, 1925)
A Bronze Belt Plaque from the Dyrestuy Burial Ground(Sergey Minyaev, Orientations Vol.29, July/August, 1998)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이송란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