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측체의 ()

신기통
신기통
유교
문헌
조선후기 실학자 최한기가 유학사상을 실증적 · 과학적 관점에서 분석하여 1836년에 간행한 유학서.
정의
조선후기 실학자 최한기가 유학사상을 실증적 · 과학적 관점에서 분석하여 1836년에 간행한 유학서.
개설

사물에 대한 사고를 과학적인 방법으로 해야 한다는 것을 인간의 신체를 분석하여 비유한 책이다.

편찬/발간 경위

원래는 『신기통(神氣通)』과 『추측록(推測錄)』으로 나누었다가 이것을 합쳐서 『기측체의』로 이름을 붙여 1836년(헌종 2) 간행하였다. 권두에 저자의 서문이 있다.

서지적 사항

9권 5책. 필사본. 국립중앙도서관과 규장각 도서에 있다.

내용

권1∼3은 『신기통』으로 체통(體通) 68편, 목통(目通) 13편, 비통(鼻通) 5편, 구통(口通) 14편, 생통(生通) 9편, 족통(足通) 3편, 주통(周通) 7편, 변통(變通) 16편, 권4∼9는 『추측록』으로 추측제강(推測提綱) 83편, 추기측리(推氣測理) 59편, 추정측성(推情測性) 23편, 추동측정(推動測靜) 30편, 추기측인(推己測人) 71편, 추물측사(推物測事) 95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신기통』은 기(氣)의 체(體)를 밝혔고, 『추측록』은 기의 용(用)을 밝혀서 기의 운용을 해석하였다. 「체통」에서는 하늘과 인간의 기가 같음을 밝히고, 기를 효과적으로 쓰는 방법 등을 비롯해 심성과 이기의 구분, 신과 기가 서로 감각하는 작용, 신과 기가 장부(臟腑)의 작용에 따라 운용이 달라진다는 것을 밝히고 있다.

「목통」에서는 사물이 눈에 비쳐서 신경계통에 미치는 영향, 시선의 경계는 진심의 경계보다 작은 점을 설명하고, 사람을 보는 방법과 치료하는 방법을 밝혔다. 「이통」에서는 하늘과 땅과 사람과 사물이 모두 소리가 있다고 지적하고, 소리의 원근과 말을 듣는 조리 등을 밝히고 있다.

「구통」에서는 말하고 먹는 입의 작용에서부터 혀가 맛을 구분하는 원리, 싫어하고 좋아하는 것이 있는 미각(味覺)의 향배 등에 대해 설명하였다. 「변통」에서는 변통 가능한 조목과 남과 나의 신기의 변통이 때와 장소와 상대에 따라서 항상 변할 수 있음을 지적하였다.

「추측제강」은 추측하는 데 기본이 되는 추측의 요소를 설명한 것이고, 「추기측리」는 사물의 변화를 보고 이 원리를 연구하는 방법을 설명한 것이며, 「추정측성」은 그 정황에 따라 그 본질을 추측하는 방법을 설명한 것이다.

「추동측정」은 동하는 때의 향방의 추이와 작용을 보고 가만히 있을 때의 모습을 추측하는 방법을 열거한 것이고, 「추기측인」은 자기의 처지와 형편과 마음의 변화를 분석해 다른 사람을 이해하는 방법을 설명한 것이며, 「추물측사」는 사물의 연관성과 동이성을 구분하는 방법을 밝힌 것이다.

의의와 평가

이 책은 한말에 재래의 학문과 신학문의 전래 속에서 갈등을 느끼던 선비들의 돌파구를 찾는 모습을 엿보게 하는 저술이다.

관련 미디어 (6)
집필자
권영창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