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속사 ()

산청 단속사지 당간지주 후측면
산청 단속사지 당간지주 후측면
불교
유적
경상남도 산청군 단성면 지리산(智異山)에 있었던 남북국시대 통일신라의 제35대 경덕왕 당시 창건한 사찰.
목차
정의
경상남도 산청군 단성면 지리산(智異山)에 있었던 남북국시대 통일신라의 제35대 경덕왕 당시 창건한 사찰.
역사적 변천

748년(경덕왕 7) 대내마 이순(李純)이 창건하였다는 설과 763년 신충(信忠)이 창건하였다는 설이 있다.

경덕왕 때 직장(直長) 이순이 일찍부터 발원하기를 나이 50세가 되면 출가하여 절을 짓겠다고 하였다. 748년 마침 그의 나이가 50세가 되었으므로 조연(槽淵)의 작은 절을 중창하여 단속사라 하고, 스스로 삭발하여 법명을 공굉장로(孔宏長老)라 하였다 한다.

또, 763년 신충이 두 친구와 관을 벗어 걸고 지리산으로 들어갔는데, 왕이 두 번이나 불러도 나오지 않고, 머리를 깎고 사문이 되어 왕을 위하여 단속사를 짓고 죽을 때까지 대왕의 복을 빌겠다고 하니, 왕이 허락하였다고 한다.

내용

조선 초기 선종(禪宗)에 속하였으며, 폐사 연대는 전해지지 않고 있다. 현재 절터에는 1963년 보물로 지정된 단속사지 동 삼층석탑과 단속사지 서 삼층석탑이 원위치에 있으며, 주변에는 금당지를 비롯하여 강당지 등의 초석이 그대로 남아 있어 신라시대의 가람배치를 짐작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 금당지에는 민가가 있어서 정확한 규모는 확인할 수 없다.

원래 위치에 건립되어 있는 동 · 서 삼층석탑은 전형적인 신라 석탑으로서, 삼국통일 이후 이와 같은 쌍탑 가람의 형식이 경주를 떠나 지방의 깊은 산골에까지 전파되었음을 살필 수 있다. 이밖에도 절터에서는 통일신라시대의 와당을 위시하여 비 조각이 출토되고 있으며, 근처에는 최치원(崔致遠)이 쓴 ‘廣濟嵒門(광제암문)’ 각석(刻石)이 있다.

경내에는 신라 병부령 김헌정(金獻貞)이 지어 813년(헌덕왕 5)에 세운 신행선사비(神行禪師碑), 1148년(의종 2) 이 절에 들어와 1159년에 입적한 탄연(坦然: 大鑑國師)의 영당(影堂)과 비, 그리고 최치원의 독서당이 있었다. 현재 신행선사비편의 일부는 동국대학교 박물관에, 그리고 대감국사비편은 숙명여자대학교 박물관에 보존되어 있다.

고려 말의 강회백(姜淮伯)은 과거하기 전에 이 절에서 글을 읽으면서 매화 한 그루를 손수 심었는데, 그 뒤에 벼슬이 정당문학(政堂文學)에 이르렀으므로, 그 매화나무를 정당매(政堂梅)라 하였다. 또, 이 절에는 솔거(率居)가 그린 유마상(維摩像)이 있었는데, 세상에서 전하기를 신화(神畫)라고 하였다. 한편, 이 절에서 1226년(고종 13)에 간행한 『선문염송집(禪門拈頌集)』이 있다.

참고문헌

『삼국유사(三國遺事)』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한국사찰전서(韓國寺刹全書)』(권상로, 동국대학교출판부, 1979)
『문화유적총람(文化遺蹟總覽)』(문화재관리국, 1977)
집필자
장충식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