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립군가 ()

목차
관련 정보
현대음악
개념
일제강점기 조국의 독립과 광복을 위하여 조직된 독립군들이 지어서 불렀던 노래.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일제강점기 조국의 독립과 광복을 위하여 조직된 독립군들이 지어서 불렀던 노래.
내용

대한제국 말기의 의병과 대한민국 임시정부하의 광복군, 하와이에서 조직된 국민군에 의하여 불리던 곡들과 민족청년군가·학도군가 등을 포함한다.

1907년 우리 나라 군대가 일본에 의하여 강제해산되자 위정척사(衛正斥邪)와 창의구국(倡義救國)의 깃발로 일어선 의병들이 부른 민요 <새야 새야 파랑새야>의 가락에 맞추어 부른 <의병창의가 義兵倡義歌>와 <의병격중가 義兵激衆歌>가 그 효시이며, 이 무렵에 돌격대의 뜻을 지닌 <혈성대가 血誠隊歌>도 불렸다.

1910년 국권 상실 후에는 항일운동이 더욱 격해지면서 독립군가의 수도 따라서 더욱 늘어나게 되었다. 잘 알려진 <용진가>와 <독립군가>가 나오고, <신흥무관학교 교가>와 <영웅의 모범> 등의 노래가 불리었다. 1914년에 미국 하와이에서 국민군 군영 낙성식 때 부른 <국민군가>는 외국의 행진곡조에 맞추어 당시 국민군 단장인 박용만(朴容萬)이 가사를 지었다.

3·1독립운동 무렵에는 임시정부가 지정한 <독립운동가>를 비롯한 <항일전선가>·<우국지사의 노래>·<독립지사의 노래>·<독립군은 거름>·<최후의 결전> 등 15곡 정도의 독립군가가 국내와 망명지에서 불려졌다.

1936년 이후 대부분의 독립군이 해산되고 광복군이 이를 대신하게 되자, 독립군가의 대부분이 광복군가로 이름이 바뀌어 불리게 되었다. 이 무렵부터 광복까지는 <광복군 행진곡>·<광복군 항일공작대가>·<광복군 항일전투가>·<광야를 달리는 독립군>·<압록강 행진곡> 등 15곡 정도의 독립군가가 있었다.

최초의 독립군가가 나온 이후 해가 거듭될수록 곡과 내용이 다양해지고 그 수도 늘어났으며, 특히 1910년에서 1920년 전후에는 가장 많은 수의 독립군가가 나타났다. 노랫말은 독립과 광복 쟁취를 위한 항일투쟁정신과 애국심의 고취, 그리고 독립군의 사기를 높이기 위한 것을 주요내용으로 하였다.

노랫말은 지은이를 모르는 것과 안창호(安昌浩)·이청천(李靑天)·김좌진(金佐鎭)·이범석(李範奭)·박용만 등 독립투사들이 지은 것으로 나눌 수 있다. 곡의 선율은 새로 작곡된 것들과 기존의 전통민요와 중국 곡, 러시아 군가, 간단한 서양식 행진곡과 찬송가 또는 창가에서 차용하여 온 것들로 나눌 수 있다.

작곡은 이범석·한유한 등에 의하여 이루어지기도 하였고, 이상준(李尙俊)·김형준(金亨俊)·홍난파(洪蘭坡)·백우용(白禹鏞)·안익태(安益泰) 등의 곡들을 빌려오기도 하였다. 그러나 빌려온 곡 가운데는 러일전쟁 무렵의 일본 해군군가인 <군함행진곡>도 있어 음악적으로 혼란함을 보여주기도 하였다.

노랫말은 보편적으로 4·4·5조로 되어 있고, 4분의 2박자나 4분의 4박자의 행진곡조를 주로 빌려 썼다. 음의 영역은 넓지 않았으며, 간단한 리듬에 곡의 길이도 짧아 외워서 노래하기가 쉬웠다. 선율 기교도 단순하였고, 많은 곡들이 서양음악의 평균율 음계를 따른 것이었다. 지금은 불리지 않고 있으나 현재 우리 나라 군가의 모체구실을 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참고문헌

『광복의 메아리』(세계복음화운동본부 출판부, 198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