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7년 중요무형문화재(현, 국가무형유산)로 지정되었다. <동래야류>는 <수영야류 水營野遊>를 보고 시작한 것으로 1870년대에 형성된 것으로 추정되며, 1937년 중일전쟁이 난 해까지 연희되다가 중단되었다. 그 뒤 재연되어 1967년에 중요무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이 놀음은 세시민속놀이로 연희되었다. 연희시기는 음력 정월보름에 행해지는데, 준비과정은 야류 탈놀음 계원(契員)들이 음력 정월 초사흗날부터 동네 각 집을 돌며 ‘지신밟기’를 하여 비용을 마련한다. 음력 정월보름날 동부 · 서부간의 줄다리기가 끝난 이튿날 밤에 동래 중앙통 광장 패문리(牌門里)에 무대를 가설해놓고 놀았다.
무대는 목재를 사용하여 관중보다 약간 높게 만들고 관중은 삼면에서 볼 수 있게 되어 있으며, 악사석은 무대를 향해서 왼쪽에 있다. 무대 뒷면은 개복청으로 흰 포장(布帳)으로 가려져 있다.
이 놀음은 밤에 연희되므로 연희 때는 무대 좌우 적당한 곳에 불을 밝히고 놀음판을 좀 더 화려하게 하기 위하여 제등(提燈)을 공중에 달았다. 연희자들은 가무(歌舞)에 소양이 있는 평민 남자들로, 대개는 일정한 직업이 없었으며 그 가운데 연장자가 지휘한다.
놀음의 내용은 앞뒤 둘로 구별되는데, 앞은 길놀이와 군무 및 잡희로 이루어지고 뒤는 탈놀음이다. 들놀음을 하는 날 해가 지면 먼저 길놀이를 한다. 그리하여 놀음판에 도착하면 길놀이에 참가하였던 사람들이 모두 함께 춤을 춘 뒤 탈놀음이 시작된다. 탈놀음은 모두 4과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첫째과장은 문둥이가 나와 미쳐 날뛰다가 딩굴면서 춤을 춘다. 이것은 문둥이의 원한을 보여주는 것이다. 둘째과장은 양반들에게 하인 말뚝이가 불평불만을 토로하면서 양반을 모욕하는가 하면 때로는 곁말로 조롱하기도 한다. 나중에는 샌님의 대부인과 사통(私通)하였다고 하며 양반의 체면을 여지없이 손상시킨다.
셋째과장은 영노라는 괴물이 등장하여 양반을 한층 신랄하게 모욕하는데, 양반은 자신을 양반이 아니라고 부인하고 나아가서는 사람이 아닌 짐승 · 똥 등 온갖 것이라고 한다. 넷째과장은 영감이 첩을 얻자 본처의 시기와 질투로 인하여 본처와 첩 사이에 싸움이 벌어지고 영감은 화병으로 죽고 만다.
사용되는 등장인물의 탈은 원양반 · 차양반 · 셋째양반 · 넷째양반 · 종가집도령 · 말뚝이 · 문둥이 · 할미 · 제대각시 등이고, 탈의 재료는 ‘두룽다리(셋째양반)’처럼 털가죽으로 만든 것도 있으나 대개는 바가지로 만든다.
가면 좌우에 송곳으로 구멍을 내고 굵은 노끈을 꿰어서 붙잡아매게 되어 있다. 그리고 원양반 · 차양반 · 넷째양반 · 종가집도령 가면은 입술과 턱부분이 윗부분과 분리되어 노끈으로 연결되었기 때문에 연희자가 재담을 할 때마다 마치 산 사람의 얼굴처럼 턱이 움직여서 자연스럽게 느껴진다.
놀이가 끝난 뒤에는 탈을 마을의 동사(洞舍)나 공청(公廳)에 보관했는데, 이는 탈에 악귀가 붙는다고 생각하여 집에 보관하기를 꺼렸기 때문이다. 반주악기는 북 · 장구 · 해금 · 젓대 · 피리 · 꽹과리 · 징 등을 사용하였으나 요즈음은 주로 타악기만을 사용한다.
연희자들이 부르는 노래는 대부분 조선시대에 만들어진 것들로 무가(巫歌) · 상도군(喪徒軍)소리 등을 부른다. 춤은 ‘덧보기장단’이라 부르는 굿거리장단에 맞추어 추는 ‘덧뵈기춤’이 대부분이다.
역대 기능보유자로는 박덕업(朴德業:말뚝이) · 신우언(辛祐彦:제대각시) 등이고, 현재는 문장환(文章垣:원양반) · 양극수(梁克銖:할미) · 천재동(千在東:가면제작) · 변동식(邊同植:악사) 등이 기능보유자로 지정돼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