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강도 ()

목차
관련 정보
인문지리
지명
우리나라 북부 내륙지대에 위치한 북한의 도.
내용 요약

양강도는 우리나라 북부 내륙지대에 위치한 북한의 도이다. 동쪽은 함경북도, 서쪽은 자강도, 남쪽은 함경남도, 북쪽은 압록강과 두만강을 사이에 두고 중국과 접하여 있다. 압록강과 두만강 상류지대에 속하는 고원지대이다. 백두산 천지를 비롯하여 삼지연·대택 같은 자연호와 수력발전과 관련된 인공호수가 많이 있다. 풍부한 임산자원을 기초로 원목 생산과 목재 가공업이 발달되었다. 개마고원과 백무고원 일대에는 고산지대에서 자라는 특이한 식물상으로 뒤덮여 있으며 희귀동·식물을 보호하기 위해 천연기념물보호구역으로 설정, 자연경관을 보존하고 있다.

목차
정의
우리나라 북부 내륙지대에 위치한 북한의 도.
내용

동쪽은 함경북도, 서쪽은 자강도, 남쪽은 함경남도, 북쪽은 압록강두만강을 사이에 두고 중국과 접하여 있다. 동경 126°56′∼129°03′, 북위 40°22′∼42°02′에 위치하며, 면적 13,733㎢, 인구는 73만 4000여 명(1996년 추정)이다. 1954년 10월 행정구역 개편시 함경남도의 혜산군 · 보천군 · 운흥군 · 갑산군 · 삼수군 · 신파군 · 풍산군 · 부전군 등 19개 군과 함경북도의 백암군과 무산군의 일부, 자강도 후창군의 일부지역이 분리되어 신설되었다.

1961년 3월 보천군과 무산군의 일부지역이 분리되어 삼지연군 신설되었으며, 1964년 10월 부전군은 함경남도로 이관되었다. 1978년 삼지연군의 7개 노동자구와 함경북도 연사군의 일부지역이 분리되어 대흥단군이 신설되었다. 1981년 신파군이 김정숙군으로, 1988년 후창군이 김형직군으로, 1990년 풍산군이 김형권군으로 각각 개칭되었다. 행정구역은 혜산시와 대홍단 · 삼지연 · 백암 · 보천 · 운흥 · 갑산 · 삼수 · 김정숙 · 김형직 · 김형권 · 풍서 등 11개 군으로 되어 있다. 도소재지는 혜산시이다.

이 도는 압록강과 두만강 상류지대에 속하는 고원지대로서, 도의 평균 높이는 1,339m이다. 북부를 제외한 삼면은 2,000m 이상의 높은 산들로 둘러싸여 있으며, 내륙사면은 경사가 느리고 북쪽으로 갈수록 점차 낮아진다. 동해사면은 주1의 전면으로서 급경사의 단층을 이루고 있다. 북동부는 백두산맥이 압록강 수계와 두만강 수계의 분수령을 이루면서 백두산(2,750m)을 정점으로 북포태산 · 남포태산 · 백사봉 · 두류산 등이 솟아 있으며, 함경북도와의 경계를 따라 대덕산 · 궤상봉 · 쾌상봉 · 만두산 등의 산줄기가 뻗으면서 북부에 백무고원과 백두고원을 이루고 있다.

서부에는 희색봉산맥이 김정숙군과 김형직군과의 경계를 따라 뻗어내렸고, 북수백산맥은 함경남도와의 경계를 이루면서 남북으로 뻗어내려 백설봉 · 두운봉 · 치일봉 · 북수백산 · 백산 등이 솟아 있다. 동남부 함경남도와의 경계에는 부전령산맥이 동해사면과의 분수령을 이루면서 내륙사면쪽에 광대한 개마고원을 이루고 있다. 이들 산줄기에는 쾌산령 · 후치령 · 불개미령 · 설린령 · 청산령 · 후주령 등의 고개가 놓여 있다.

압록강은 백두산 남서쪽 사면에서 발원한 보해천을 비롯하여 이명수 · 가림천 · 삼수천 · 허천강 · 장진강 · 후주천 · 후창강 등의 지류와 합류하면서 약 200㎞ 상류를 흐른다. 두만강은 백두산 동쪽으로 약 52㎞ 상류를 흐르며 소홍단수 등을 합류한다. 도내에는 백두산 천지를 비롯하여 삼지연 · 대택 같은 자연호와 수력발전과 관련된 풍서호 · 황수원저수지 · 내중저수지 · 양평저수지 · 연두평저수지 · 사초평저수지 등의 인공호수가 많으며, 배수조건이 나빠서 습한 땅이 많다.

지질구조는 크게 시생대층 · 중생대층 · 신생대 제3기 말에서 제4기층에 해당하는 암석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토양은 백두산 및 북수백산 등 2,000m 이상의 고지대에서는 주2, 개마고원과 백무고원 등 1,500m 이하의 지역에는 갈색포드졸토, 700m 이하의 하천유역에는 주3가 분포되어 있다. 기후는 한반도에서 기온이 가장 낮고 강수량이 적은 지역에 속하며, 주4의 특성이 뚜렷하게 나타난다. 연평균기온 2∼3℃, 1월 평균기온 -7∼22℃, 8월 평균기온 18∼22℃이다. 연평균강수량은 650∼700㎜로 적은 편이나 강설량이 상당한 비중을 차지한다. 증발량이 적은데다 소나기와 안개현상이 빈번하여 습도가 높다.

산림지대는 도 면적의 90.8%로 92과 842종의 식물이 분포한다. 산업용 식물과 희귀식물이 많아 풍서군의 차일봉 일대와 갑산군의 북두백산 · 백두산 일원은 식물보호구로 지정되어 있다. 주요 수종은 침엽수 24종, 활엽수 52종이 분포되어 있으며, 이깔나무 · 가문비나무 · 잣나무 · 전나무 · 사스래나무 · 봇나무 · 황철나무 · 피나무 등이 울창한 숲을 이루고 있다. 그 밖에 무수해 · 청취 · 고사리 · 참나물 · 고비 · 도라지 등 100여 종의 산나물과 머루 · 다래 · 돌배 등 30여 종의 과일나무가 있으며, 오미자덩쿨 · 들쭉나무 · 편백 · 석송 · 속새 · 만삼 · 완대황 등이 많다.

표범 · 범 · 담비 · 노루 · 사슴 · 수달 등 50여 종의 희귀동물들이 서식하므로 백두산 일대의 삼지연시자연보호구로, 백암군 동계노동자구와 보천군 대흥리는 동물보호구로, 김형권군의 풍산개, 김형직군의 후창조릿대군락, 보천군의 보천보검은돈 · 연암산분화구, 삼지연시의 삼지연 · 백두산 천지 · 이명수폭포, 백암군의 간장늪 등은 천연기념물로 지정, 보호되고 있다.

산림자원 · 지하자원 · 수력자원이 풍부하여 임업과 광업이 산업의 주종을 이루고 고지대농업이 발달하였다. 경지면적은 도 면적의 6.2%를 차지한다. 논이 적고 밭이 97.5%로, 경작지의 90% 이상이 높이 800∼1,500m의 고지대에 있다. 주요 곡물은 밀 · 보리 · 옥수수 · 쌀 · 콩 등이고, 감자도 많이 심는다. 공예작물로 아마와 주5가 재배되고 있으며, 호프는 이 도의 특산물로 알려져 있다. 축산은 고원지대의 넓은 초지를 이용하여 소와 양이 방목되고 있다.

또한 풍부한 가둑나무림과 밀원을 이용하여 양잠업과 양봉업이 발달하여 가둑누에고치와 꿀이 많이 생산된다. 임업은 북한 전체 산림축적량의 30%를 점유하는 풍부한 임산자원을 기초로 원목생산과 목재가공업이 발달되었다. 광업은 구리 · 황화철 · 마그네사이트 · 납석 · 금 · 철 · 무연탄 · 갈탄 등의 지하자원이 풍부하게 매장되어 있으며, 갑산광산을 미롯한 신파청년광산 등 여러 광산에서 채굴되고 있다.

공업은 임산물가공공업을 위주로 혜산시에 임업기제 · 제재 · 합판 · 가구 · 화학섬유 · 제지 · 들쭉가공식품공장 등이 있으며, 강철 · 제약 · 통신기계 · 제화공장도 있다. 혜산아마방직공장에서는 연간 2,000여만m의 아마직물을 생산하여 국내 수요를 충당하고 해외에 수출도 한다. 그 밖에 백암군에는 시멘트공장, 운흥군에는 제련소가 있으며, 김형권군의 버들제품, 백암군의 가죽제품, 운흥군의 초물제품, 김형직군과 보천군의 기념공예품 등 특산물 생산공장들이 있다. 김형권군에 출력 1만 2000㎾의 내중리 수력발전소가 있으며, 대홍단군에는 서두수 수력발전소가 있다.

교통수단은 주로 산업 및 관광목적으로 이용되고 있으며, 수송량의 약70%를 철도가 담당하고 있다. 백두산청년선(혜산∼길주)은 양강도와 함경북도 동해안 지역을 연결하는 총연장 141.7㎞의 기간 본선으로 1978년 전기철도화 되었다. 1988년 개통한 북부내륙선(만포∼혜산)은 총연장 252㎞의 전기철도로 압록강 연안의 국경지대를 연결하면서 개마고원지대의 산업개발에 이용되고 있다.

백무선(백암∼무산)은 총연장 187.4㎞의 주6로 이 일대에서 생산되는 지하자원과 임산물 수송에 이용되고 있다. 삼지연선(혜산∼삼지연)은 총연장 80㎞의 전기철도로 북부내륙선과 연결되어 임산물 수송 및 백두산 관광용으로 이용되고 있다. 보천과 대평 사이에도 임산물 수송을 위한 협궤철도가 놓여 있다. 도로는 혜산∼북청, 혜산∼부전, 혜산-삼수-김정숙읍-김형직읍, 혜산-삼지연-대홍단 등 도내 각 군 소재지와 자강도 및 함경남도 · 함경북도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압록강 · 허천강 · 장진강 등을 이용한 뗏목수송이 이루어지고 있다.

우리나라 북방의 방위와 관련된 유적들이 있다. 1413년(태종 13) 갑산군을 설치하면서 쌓은 갑산읍성과 1441년(세종 23) 건립된 삼수읍성의 4개 성문루 가운데 하나인 조일문, 김형직군의 망화루가 있으며, 1631년(인조 9) 개축된 혜산시의 괘궁정과 1570년(선조 3)에 건립된 삼수군의 중흥사는 보물급으로 지정되어 있다.

이 도에는 백두산 일대의 삼지연을 비롯하여 삼지연시의 이명수폭포, 보천군의 연암산분화구와 내곡온천, 백암군의 간장늪 등의 명승지가 많다. 압록강 및 두만강의 상류로 흘러드는 지류와 고원지대에 분포된 호수 및 저수지 등으로 빼어난 자연경관을 이루고 있다. 개마고원과 백무고원 일대에는 고산지대에서 자라는 특이한 식물상으로 뒤덮여 있어 사계절 내내 아름다우며, 희귀동 · 식물을 보호하기 위해 천연기념물보호구역으로 설정, 자연경관을 보존하고 있다.

김정숙사범대학 · 양강대학 · 삼지연대학 · 공산대학 · 가림천대학 · 보천공업대학이 있으며, 농업과학원 혜산분원 · 임업과학연구소 등의 연구기관이 있다. 전문교육기관으로는 혜산시에 예술전문학교 · 체육전문학교 · 외국어학교 · 고등의학전문학교 · 고등화학전문학교 · 고등경공업전문학교와 삼수고등농업전문학교 · 감산고등농업전문학교 · 삼지연고등임업전문학교 · 포평학원 등이 있다. 문화시설로는 혜산예술극장 · 혜산경기장이 있으며, 삼지연에는 국제규격을 갖춘 스키장이 있다. 그 밖에 김형직인민병원 · 삼지연휴게소 · 보천야영소 등이 있다.

참고문헌

『인물의 고향-북한편-』(중앙일보사, 1991)
『북한지지요람』(통일원, 1993)
주석
주1

경동으로 한쪽은 가파른 단층이 되고, 다른 쪽은 완만하게 기울어진 땅덩어리. 우리말샘

주2

온대나 냉량한 아습윤 기후에서 석회화 작용으로 생성된 흑색의 토양. 주로 넓은 초원에서 생성되며 매우 비옥하다. ⇒규범 표기는 미확정이다. 우리말샘

주3

흙이나 모래가 물에 흘러 내려와 범람원이나 삼각주 따위의 낮은 지역에 쌓여 생긴 토양. 우리말샘

주4

대륙의 영향을 강하게 받는 기후. 맑은 날이 많고 강수량이 적으며, 기온의 일교차 및 연교차가 심하다. 우리말샘

주5

뽕나뭇과의 여러해살이 덩굴풀. 길이는 6~12m이며 잎은 마주나고 3~5갈래로 갈라지며 톱니와 잔가시가 있다. 여름에 노란색을 띤 녹색 꽃이 피고 솔방울 비슷한 열매가 열린다. 열매는 맛이 쓰고 방향이 있어 약재나 맥주의 원료로 쓴다. 유럽이 원산지로 유럽, 아메리카, 아시아 등지에 분포한다. ⇒규범 표기는 ‘홉’이다. 우리말샘

주6

궤간의 폭이 표준 궤간인 1,435mm보다 좁은 철도. 우리말샘

집필자
한일연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