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자우 ()

고려시대사
인물
고려후기 검교첨의평리 행상주목사, 복주목사 등을 역임한 관리.
이칭
이칭
유서(庾瑞)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260년(원종 1)
사망 연도
1313년(충선왕 5)
본관
무송(茂松)
출생지
미상
주요 관직
충주목부사|삼사우윤지통례문사|판통례문사 선운별감사|검교첨의평리 행상주목사 겸 상락성산도전민계점사|복주목사
정의
고려후기 검교첨의평리 행상주목사, 복주목사 등을 역임한 관리.
개설

본관은 무송(茂松)이며, 초명은 유서(庾瑞)이다. 삼한공신 유검필(庾黔弼)의 후손으로, 아버지는 추밀원부사(樞密院副使) 좌산기상시(左散騎常侍)를 지낸 유해(庾垓)이다. 처는 조충(趙冲)의 손자로서 충렬왕 때 지밀직사사를 지낸 조변(趙抃)의 딸이며, 3남 5녀를 두었다. 사위로는 이승휴(李承休)의 아들 이임종(李林宗)과 찬성사 정인경(鄭仁卿)의 아들 정신수(鄭信綏) 등이 있다.

생애 및 활동사항

1276년(충렬왕 2) 서재장판관(西材場判官)으로 관직을 시작해 1280년 권도평의녹사(權都評議錄事)가 되었다. 이후 9년 동안 7·8품에 머물다가 1288년 신호위보승낭장(神虎衛保勝郎將)에 초수(超授)되었으며, 이듬해 감찰어사를 겸하였다.

1290년 인물추고도감(人物推考都監), 구급도감(救急都監), 염세도감(鹽稅都監)의 별감(別監)으로 충청도에 파견되었고, 이듬해 서해도안렴사(西海道按廉使)에 임명되었다. 1297년 감찰시사(監察侍史)를 거쳐 동계교주도안렴사(東界交州道按廉使)가 되었는데, 이 때 삼척현에 은거하고 있던 이승휴를 방문해 충선왕의 명에 따라 초치하였다.

1301년 권신의 미움을 받아 강화군부사(江華郡副使)로 좌천되었다가 곧 군부좌랑(軍簿佐郎)에 올랐다. 계속해서 예빈령(禮賓令)·삼사총랑(三司摠郎)·충주목부사(忠州牧副使), 1307년 판도총랑(版圖摠郞) 지통례문사(知通禮門事), 삼사우윤, 판통례문사에 이르렀고, 또 선군별감사(選軍別監使)가 되었다.

이듬해(충선 즉위)에는 검교첨의평리 행상주목사 겸 상락성산도전민계점사(檢校僉議評理行尙州牧使兼上落星山道田民計點使)에 제수되고, 이후 복주목사를 거쳐 해주목사가 되었지만, 병으로 관직에서 물러났으며, 1313년(충숙 즉위년) 10월 세상을 떠났다.

참고문헌

『고려사(高麗史)』
『한국금석문추보(韓國金石文追補)』
「고려시대의 무송유씨가문 분석」(박용운, 『두계이병도박사구순기념한국사학논총』, 지식산업사, 1987)
집필자
박옥걸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