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기섭 ()

윤기섭
윤기섭
정치
인물
일제강점기 때, 신흥무관학교 교장, 임시정부 군무차장 등으로 활동하며 항일투쟁을 전개하였고, 해방 이후, 민족혁명당 중앙집행위원, 남조선과도입법의원 부의장 등을 역임한 교육자 · 정치인 · 독립운동가.
이칭
이칭
윤중규(尹仲珪)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887년(고종 24) 4월 4일
사망 연도
1959년
출생지
경기도 장단
정의
일제강점기 때, 신흥무관학교 교장, 임시정부 군무차장 등으로 활동하며 항일투쟁을 전개하였고, 해방 이후, 민족혁명당 중앙집행위원, 남조선과도입법의원 부의장 등을 역임한 교육자 · 정치인 · 독립운동가.
개설

경기도 장단 출신으로, 호는 완운(蜿雲), 이명은 윤중규(尹仲珪)이다. 보성전문학교를 졸업한 뒤 한동안 평북 정주의 오산학교(五山學校) 교사로 재직했다. 1908년 안창호(安昌浩) 등과 청년학우회를 조직해 활동하다가 중국 만주로 망명한 후 신흥무관학교 교사 · 교장으로 10여 년간 독립군 양성에 힘썼다.

생애 및 활동사항

1912년 부민단(扶民團)에 가입하고, 1919년 4월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요청에 따라 부민단 대표로 임시정부에 파견되었다. 1920년 육군무관학교 교관, 상해거류민단 위원 등을 지냈고, 1921년 5월 중한국민호조사(中韓國民互助社) 결성에 참여했다. 같은 해 11월 대한민국임시의정원 의원 25명과 함께 태평양회의의 각국 대표에게 한국의 독립을 청원하는 서한을 제출했다.

1923년 임시의정원에서 이승만 대통령을 지지했고, 1924년 2월 임시의정원 의장에 선출되었으며, 1926∼1932년 임시정부 국무원(군무장), 1927년 개헌안 기초위원을 지냈다. 이 과정에서 1924년 군사교육서인 『보병조전(步兵操典)』을 저술했다.

1920년대 중반 이후 민족유일당운동에 동참하여 1929년 신익희(申翼熙) 등과 한국혁명당, 1930년 임시정부를 비롯한 민족주의계열 인사들과 한국독립당을 창당하였다.

1932년 10월 12일 한국혁명당 대표로 민족운동단체 통합을 추진해 각단체연합주비위원회를 결성하였다. 10월 23일 열린 회의에서 연합체 명칭을 한국대일전선통일동맹으로 결의하였고 중앙집행위원으로 선임되어 활동하였다. 1935년 7월 민족혁명당 창당에 참여했다. 이어 1936년 민족혁명당 당보부책임자, 1943년 대한민국임시정부 군무차장을 지내는 등 대한민국임시정부 및 임시의정원의 법무 · 군사 · 교육부문 요직을 두루 거쳤다.

해방이 되자 1946년 2월 귀국하여 민족혁명당 중앙집행위원으로 당기관지인 『앞길』의 사장이 되었고, 같은 달 좌익세력의 연합체인 민주주의민족전선(민전) 부의장 및 상임위원을 지냈다. 1946년 남조선과도입법의원조선민족혁명당 대표로 관선의원에 선출되어 부의장을 지냈고, 1948년 국학대학 학장을 지냈다.

1950년 한국전쟁 때 납북되었고, 1956년 7월 안재홍(安在鴻) 등 납북인사를 중심으로 결성된 재북평화통일촉진협의회 집행위원에 선임되었다. 1959년 반혁명분자혐의로 구속되어 숙청되었다.

상훈과 추모

1989년 건국훈장 대통령장에 추서되었다.

참고문헌

『독립유공자공훈록』8 (국가보훈처, 1990)
『독립운동사』4 (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1972)
『조선연감』(조선통신사, 1948)
「윤기섭의 대한민국임시의정원 참여와 활동」(이재호, 『한국독립운동사연구』39, 2011)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서동일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