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하 ()

이동하
이동하
근대사
인물
대한제국기 때, 이강년 의진의 참모장으로 활동하다가 국권 피탈 이후, 민단조합을 결성하여 군자금 모금 활동을 전개한 의병 · 독립운동가.
이칭
이칭
정래(淨來)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856년(철종 7)
사망 연도
1919년
본관
광주(廣州)
출생지
경상북도 문경
정의
대한제국기 때, 이강년 의진의 참모장으로 활동하다가 국권 피탈 이후, 민단조합을 결성하여 군자금 모금 활동을 전개한 의병 · 독립운동가.
생애 및 활동사항

본관은 광주(廣州). 일명 정래(淨來). 경상북도 문경 출신. 참봉을 지냈다. 1907년 9월 이강년의진(李康䄵義陣)의 참모로 임명되어 활발하게 의병투쟁을 하였다.

의진이 노고성(老姑城)에 주둔할 때 좌익장(左翼將) 김영식(金永軾)과 함께 정예의병 20여 명을 이끌고 이화령(梨花嶺)을 철통같이 지켰다. 1908년 이강년의진의 참모장으로서 경상북도·충청북도·강원도 등지에서 활동하였으며, 이 해 6월 이강년 의병장이 까치성에서 부상당한 뒤 붙잡히자 잠시 강원도 영월로 피신하였다.

그후 의병투쟁을 계속할 수 없다고 판단, 권병을(權秉乙)·김성추(金聲秋)·조용필(趙鏞弼)과 함께 만주로 망명하였다. 1914년 9월 귀국한 뒤 옛 의병동지인 이은영(李殷榮)·김낙문(金洛文)·최욱영(崔旭永)·이제재(李提宰)와 새로운 독립운동조직 결성을 논의하였다.

그 결과 1915년 국권회복을 목적으로 하는 민단조합(民團組合)을 결성, 충청남도 지부장이 되어 격문을 배포하고 군자금을 모금하는 등의 활동을 하였다. 1916년 8월 경상북도 예천의 박심수(朴尋洙), 안동의 김숙헌(金叔憲) 등으로부터 군자금을 받은 것이 그것이다.

앞서 1915년 경상남도 하동군 하동면의 김병두(金炳斗), 병천리의 박종식(朴宗湜), 충청북도 영동군 황간면 금계리의 이종면(李鍾冕) 등을 항일지하조직인 조선독립의군부에 동참하도록 하였다.

같은 해 4월 박종식이 군자금 250원을 가지고 충청남도 성환역에서 잡히자 위험을 느껴 피신하였으나, 1916년 8월에 붙잡혀 1918년 5월 30일 공주지방법원에서 징역 1년을 선고받았다.

청주감옥에서 복역중 일본 경찰로부터 모진 고문을 받아 의식불명 상태가 되었다. 가족에게 인계되었으나 들것에 실려 고향으로 돌아가던 중 소리구재에서 순국하였다.

상훈과 추모

1986년 건국포장, 1990년 애국장이 추서되었다.

참고문헌

『운강선생창의록(雲崗先生倡義錄)』
『독립운동사자료집』1(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1972)
『고등경찰요사(高等警察要史)』(경상북도경찰부, 1934)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강진갑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