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병헌 ()

유교
인물
일제강점기 때, 유교의 종교개혁운동인 공교운동을 전개하였으며, 「역사교리착종담」, 「오족당봉유교론」 등을 저술한 학자.
이칭
진암(眞菴), 백운산인(白雲山人)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870년(고종 7)
사망 연도
1940년
본관
합천(陜川)
출생지
경상남도 함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이병헌은 일제강점기 「역사교리착종담」, 「오족당봉유교론」 등을 저술한 유학자이다. 1870년(고종 7)에 출생하여 1940년에 사망하였다. 호는 진암, 백운산인으로, 유교개혁사상가, 공교운동지도자, 금문경학자로 활동하였다. 공교가 보편성, 현실성, 진보성의 현대적 가치가 있음을 강조하고, 향교식 유교가 아닌 교회식 유교의 건설을 주장하였다. 교당을 지어 공자를 섬기고 성경을 번역하여 천하에 배포해야 한다는 등 구체적 포교 방법까지 제시하였다. 이병헌의 공교 운동은 유림들의 강경한 항의에 부딪혀 실패하였다. 1926년 이후로는 공교 사상의 경학적 기초를 정비하는 데 힘썼다.

정의
일제강점기 때, 유교의 종교개혁운동인 공교운동을 전개하였으며, 「역사교리착종담」, 「오족당봉유교론」 등을 저술한 학자.
개설

경상남도 함양 출신. 본관은 합천(陜川). 호는 진암(眞菴) · 백운산인(白雲山人). 곽종석(郭鍾錫)의 문인이다.

중국의 강유위(康有爲)를 계승하여 금문경학 연구에 전력함으로써 우리나라에서 금문경학(今文經學) · 공양학(公羊學)의 독보적 인물이 되었으며, 유교개혁사상가 · 공교운동지도자 · 금문경학자로 활동하였다.

생애 및 활동사항

1903년( 고종 40) 서울에 올라와 시국의 변화에 접하면서 강유위의 변법설(變法說)과 세계정세에 관한 서적을 읽고 개화사상으로 전환하였다. 1914년 중국에 건너가 강유위를 처음 만났고, 이후 1925년까지 다섯 번을 방문하며 강유위의 지도와 영향 아래 공교사상가로 활동하였으며, 유교의 종교개혁운동으로서 공교운동을 전개하였다. 1926년 이후로는 공교사상의 경학적 기초를 정비하는 데 힘썼다.

학문세계와 저서

이병헌의 공교사상은 1914년 북경에서 저술한 「종교철학합일론(宗敎哲學合一論)」에서 싹트기 시작하였다. 여기에서는 서양은 철학과 종교가 진지(眞知)와 미신으로 구별되지만, 동양의 종교인 유교는 미신을 벗어남으로써 철학과 종교를 합일시킨다고 파악한다.

유교개혁론으로서 이병헌의 공교사상은 「유교복원론(儒敎復原論)」(1919)에서 체계화되었다. 또한 이병헌의 공교운동은 강한 민족의식과 결합됨으로써 유교사상과 자주적인 민족사를 결합시켜 「역사교리착종담(歷史敎理錯綜談)」(1921)과 「오족당봉유교론(吾族當奉儒敎論)」(1921)을 저술하였다.

이병헌은 공교가 보편성 · 현실성 · 진보성의 현대적 가치를 지니고 있음을 강조하고, 전통의 향교식(鄕校式) 유교가 아닌 교회식(敎會式) 유교의 건설을 주장하였다. 여기에서는 교당을 지어 공자를 섬기고 성경을 번역하여 천하에 배포하며, 교사(敎士)를 선정하여 천하에 경전을 강설하게 한다는 등의 구체적인 포교방법까지도 제시하고 있다.

이병헌은 그 실천으로서 산청군 단성면 배양마을에 배산서당(培山書堂)을 지어 최초의 민립문묘(民立文廟)를 세웠다. 그리고 중국 취푸[曲阜]의 공교회로부터 승인을 받은 한국공교회지부를 설치하고 공교운동의 기지로 삼고자 하였다.

결국 이병헌의 정열적인 공교운동은 보수적인 유림들의 강경한 항의에 부딪혀 실패하고 말았으며, 이에 따라 이병헌은 금문경학의 연구와 저술에 힘써 「공경대의고(孔經大義考)」(1924) · 「시경부주삼가설고(詩經附注三家說考)」(1926) · 「서경전주금문설고(書經傳注今文說考)」(1926) · 「예경금문설고(禮經今文說考)」(1927) · 「역경금문설고易經今文說考)」(1928) 등 금문경학의 체계적 주석을 남겼다.

이병헌의 문집은 중국과 국내에서 부분적으로 인쇄 · 간행되기도 하였으나, 대부분 친필 유고본으로 남아 있다. 1989년 아세아문화사에서 이를 『진암전서(眞菴典書)』라는 표제로 영인 · 간행하였다.

평가와 의의

이병헌은 국가적 권위로부터 독립된 유교의 종교적 교단을 수립하고 조직화하기를 추구하였던 유교개혁사상가로서 한국유교사에 독특한 자취를 남기고 있다. 또한 강유위의 금문경학을 우리나라에서 계승한 이병헌의 업적은 한국경학사에 새로운 경학 영역을 열어 주었다는 중대한 의미를 지닌다.

참고문헌

『한국근대의 유교사상』(금장태, 서울대학교출판부, 1990)
「한국공자교에 관한 연구」(김유택, 성균관대학교대학원석사학위논문, 1984)
「진암 이병헌의 유교개혁사상과 공자교운동에 관한 연구」(정규훈, 한국정신문화연구원부속대학원석사학위논문, 1984)
관련 미디어 (3)
집필자
금장태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