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조묵 ()

목차
회화
인물
조선후기 산수, 난초, 대나무 그림이 묘경에 이른 화가.
이칭
강다(絳茶)
육교(六橋)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792년(정조 16)
사망 연도
1840년(헌종 6)
본관
전주
목차
정의
조선후기 산수, 난초, 대나무 그림이 묘경에 이른 화가.
내용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강다(絳茶), 호는 육교(六橋). 우의정을 지낸 창의(昌誼)의 손자이며, 이조판서를 지낸 병정(秉鼎)의 아들이다.

일찍이 학문에 뜻을 두어 시는 당나라 이상은(李商隱)을 배우고 글씨는 왕희지(王羲之)를, 그림은 원나라의 대표적인 문인화가였던 황공망(黃公望)을 배웠다고 하며, 또한 금석고증(金石考證)을 즐겼다. 중국 청대의 화가 옹방강(翁方綱)과 친교가 두터웠다. 또한 중국의 글씨, 그림과 고완(古玩)을 국내에서 으뜸으로 수장하였다. 그림은 산수·난초·대나무가 묘경에 이르렀다.

참고문헌

『한국회화대관(韓國繪畵大觀)』(유복렬 편, 문교원, 1969)
『한국서화인명사서(韓國書畵人名辭書)』(김영윤, 예술춘추사, 1959)
『근역서화징(槿域書畵徵)』(오세창, 계명구락부, 1928)
『淸朝文化東傳の硏究』(藤塚鄰, 東京 國書刊行會, 1975)
집필자
유홍준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