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기선 ()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후기에, 우부빈객, 예조판서, 대사헌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원백(元伯)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784년(정조 8)
사망 연도
1839년(헌종 5)
본관
동래(東萊)
출생지
한양(漢陽)
주요 관직
대사헌
정의
조선 후기에, 우부빈객, 예조판서, 대사헌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동래(東萊). 자는 원백(元伯). 호는 수석(脩石). 한양 출신. 정치검(鄭致儉)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정동윤(鄭東倫)이고, 아버지는 정지용(鄭持容)이며, 어머니는 이창중(李昌中)의 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812년(순조 12) 생원으로 정시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였다.

1815년(순조 15) 다시 한림소시(翰林召試)에 선발된 뒤 함경도암행어사로 발탁되어 문란한 지방행정을 바로잡기 위하여 활약하였다. 예를 들면 영흥부의 부사였던 엄기(嚴耆) 등의 잘못을 적발하여 논죄하는 한편, 각 고을 창고에 보관하고 있는 곡식과 장부를 조사하여 허류(虛留) 등 부정행위를 단속하고, 아울러 제진(諸鎭)의 봉수대와 목장 및 일로(馹路)의 폐단을 제거하도록 하였다.

1817년(순조 17) 홍문록에서 4점을 얻은 뒤 직각·검상·이조참의 등을 지내고 부제학을 거쳐, 1827년(순조 27)에는 경상도관찰사가 되어 왜관소통사(倭館小通事) 배말돈(裵末敦)이 왜인들로부터 피해를 당한 것을 계기로 하여 동래부사와 부산첨사를 문책하는 한편, 왜인들을 방어하는 대책을 수립함과 아울러 국가에서도 강경책을 쓰도록 건의하여 이를 성사시켰다.

이듬해 그는 경상도관찰사로서 도내에 극심한 재해를 극복하기 위하여 중앙에 구원을 요청하였는데 이때 왕은 특별히 내탕금(內帑金) 1만냥을 하사하였으므로 이것을 바탕으로 하여 기민(飢民)을 구제하는 데 성공하였다. 그 뒤 우부빈객(右副賓客)을 거쳐 1833년(순조 33)에는 드디어 예조판서에 올랐고 그 이듬해는 다시 대사헌이 되었다.

참고문헌

『순조실록(純祖實錄)』
『헌종실록(憲宗實錄)』
『국조방목(國朝榜目)』
『임하필기(林下筆記)』
집필자
김호종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