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상건 ()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후기에, 부교리, 교리, 이조좌랑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자이(子以)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672년(현종 13)
사망 연도
1721년(경종 1)
본관
풍양(豊壤)
주요 관직
교리|이조좌랑
정의
조선 후기에, 부교리, 교리, 이조좌랑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풍양(豊壤). 자는 자이(子以). 공조참판 조흡(趙潝)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조백운(趙伯耘)이고, 아버지는 조광보(趙光輔)이며, 어머니는 정태구(鄭泰耉)의 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문음으로 일찍 관직에 진출하여 현감으로 있던 1713년(숙종 39)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1714년 지평(持平)에 제수되었고, 이듬해 정언(正言)으로 재직시 인사의 불만으로 이조판서 송상기(宋相琦)를 헐뜯은 성천부사(成川府使) 한영휘(韓永徽)를 논핵하였다.

1716년에는 『가례원류』 사건에 얽힌 문제로 윤증(尹拯)을 배척하고 송시열(宋時烈)을 옹호하는 소를 올려 체차(遞差: 관직이 교체된 뒤 잠시동안 다른 관직을 받지 못한 상태)되었다가 이어 관작을 삭탈당하고 문외출송되었다.

그 뒤 울산부(蔚山府)로 귀양갔으나 그 해 7월에 방면되었다. 상소 당시 만류하는 사람이 많아 결단하지 못하였으나 어머니 정씨(鄭氏)의 영향으로 소를 올렸다. 이듬해 지평(持平)으로 복직되었고, 이어 홍문록(弘文錄)에도 선발되었다.

1719년 부수찬(副修撰)에 제수되어서는 단종복위와 김종서(金宗瑞)·황보 인(黃甫仁) 등의 신원(伸寃: 억울함을 풀어버림)에도 앞장섰으나 부교리 김운택(金雲澤)과 패초(牌招: 왕이 패를 내려 신하를 부르던 일)를 어겨 잠시 파직되었다가 곧 부교리(副校理)에 제수되었고, 이어 이조좌랑으로 옮겼다. 경종 즉위 후에도 부응교(副應敎)·교리 등을 역임했다.

참고문헌

『숙종실록(肅宗實錄)』
『경종실록(景宗實錄)』
『국조방목(國朝榜目)』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