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세신화 ()

목차
관련 정보
구비문학
개념
우주와 세상이 창조되고 만들어진 기원과 내력을 밝히는 내용의 신화적 서사.
이칭
이칭
천지창조신화, 우주창조신화
내용 요약

「창세신화」는 우주와 세상이 창조되고 만들어진 기원과 내력을 밝히는 내용의 신화적 서사다. 현재 연행되거나 전승되는 창세신화는 모두 굿에서 불리는 서사무가들이다. 현재까지 연행의 전통이 살아 있는 창세신화는 제주도 큰굿의 「초감제」에서 불리는 「천지왕본풀이」와 같은 것들이 있다. 그밖에 채록된 창세신화로 「창세가」, 「셍굿」, 「삼태자풀이」, 「시루말」, 「당금애기」 일부 자료, 「순산축원」 등이 있다. 연행되는 신화는 아니지만 우주 및 세상의 창조와 관련된 신화적 사건을 그리는 구술 서사도 창세신화의 흔적을 지닌 이야기들이다.

정의
우주와 세상이 창조되고 만들어진 기원과 내력을 밝히는 내용의 신화적 서사.
전승 및 채록

「창세신화」는 우주와 세상이 창조되고 만들어진 기원과 내력을 밝히는 내용의 신화적 서사다. 현재 연행되거나 전승되는 「창세신화」는 모두 굿에서 불리는 서사무가들이다. 현재까지 연행의 전통이 살아 있는 「창세신화」는 제주도 큰굿의 초감제에서 불리는 「천지왕본풀이」와 같은 것들이 있다. 그밖에 채록된 「창세신화」로 「창세가」, 「셍굿」, 「삼태자풀이」, 「시루말」, 「당금애기」 일부 자료, 「순산축원」 등이 있다. 연행되는 신화(神話)는 아니지만 우주 및 세상의 창조와 관련된 신화적 사건을 그리는 구술 서사도 「창세신화」의 흔적을 지닌 이야기들이다. 설문대할망 설화와 같은 창조 여신의 흔적을 지닌 거녀설화나 주7 부류의 이야기들, 홍수 설화(洪水 說話)나 남매혼 설화 등이 이와 같은 유형에 속한다.

내용

「창세신화」는 하늘과 땅, 우주 만물, 세상과 인간의 질서 및 이치가 어떻게 생겨났는지 그 기원과 내력을 설명하는 이야기다. 살아있는 신화로 기능하는 것들은 굿과 같은 의례(儀禮)에서 실제로 연행 · 전승된다. 현재 이러한 전승의 궤적을 보여 주는 대표적인 자료로는 제주도 큰굿의 초감제에서 연행되는 「천지왕본풀이」가 있다. 제주도에서는 신화를 신의 근본을 푼다는 의미에서 ‘본풀이’라고 부르는데, 초감제는 신을 불러들이기에 앞서 우주와 세상과 인간 질서가 어떻게 만들어졌는지, 그리고 어디서 누가 굿을 하는지를 알리는 제차의 굿이다. 이 과정에서 신이 내려올 굿청을 정화하고 신이 오실 곳을 신께 단계별로 알려 드린다. 이 초감제에서 하늘과 땅이 어떻게 생겨났는지에 관한 신화라고 할 수 있는 「천지왕본풀이」를 연행한다.

하늘과 땅이 어떻게 생겨났는지 설명한다는 점에서 「창세신화」는 ‘천지개벽신화(天地開闢神話)’라고도 할 수 있다. 제주도의 「천지왕본풀이」 외에 경기도 오산 열두 거리 주11 중 ‘시루말거리'에서 연행하는 「시루말」과 함경도 함흥의 「창세가」 등이 있다. 그 밖에도 창세신화의 신화적 주12를 포함하는 서사무가들이 다수 채록된 바 있는데 전국에서 채록된 「제석본풀이」의 일부 자료, 평안남도 평양의 「삼태자풀이」, 함경남도 함흥의 「셍굿」, 강원도 강릉의 「당고마기노래」, 경상북도 영덕의 「당금아기」 등이 바로 이런 자료에 해당한다. 또한 「제석굿」이나 「시준굿」에서 불리는 무가 자료에 창세신화의 모티프가 삽입되기도 한다.

의의 및 평가

창세신화의 중요한 주13는 천지개벽, 해와 달의 조정(調整), 인간의 창조, 국가의 시조의 탄생, 통치권 다툼 등이다. 이들 신화소를 두루 갖춘 자료 가운데 대표적인 것은 함경남도 함흥의 「창세가」이다. 제주도의 「천지왕본풀이」는 천지개벽과 인간 창조의 신화소가 빠져 있다. 그밖에 「제석본풀이」에 삽입된 신화소는 대체로 통치권 다툼에 관한 것이다.

신화소별 내용과 의미는 다음과 같다.

(1) 천지개벽

천지개벽이 창조주에 의해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나는 각편(各篇)은 「창세가」뿐이다. 그밖에 다른 각편에서는 하늘과 땅이 저절로 이루어진 것으로 되어 있다. 「창세가」에서는 미륵(彌勒)이 하늘과 땅이 분리되기 이전의 상태에서 탄생하여, 하늘과 땅을 분리한 뒤 땅 네 귀에 구리기둥을 세운 것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내용은 중국의 「반고신화(盤固神話)」에 등장하는 모티프와 유사하다. 다른 각편에서는 하늘이 주17으로 열리고 땅이 주18으로 열렸다는 기술이 덧붙어 있다.

(2) 인간의 창조

인간 창조에 관한 신화소는 「창세가」와 「셍굿」에서만 나타나는데 두 자료의 내용이 서로 다르다. 「창세가」에서는 미륵이 금쟁반과 은쟁반을 양손에 들고 하늘에 기도하여 금벌레 · 은벌레를 5마리씩 받는다. 이 벌레들이 자라서 금벌레는 남자가 되고 은벌레는 여자가 되는데, 이 5쌍의 남녀가 서로 부부가 됨으로써 뒤에 인류가 번성하는 것으로 설정되어 있다. 「셍굿」에서는 황토로 남자와 여자를 만들었다고 나올 뿐, 누가 인간을 창조한 것인지는 밝히지 않았다. 한편 「창세가」에서는 인간이 처음 생겨 난 근원이 하늘에 있는 데 비해, 「셍굿」에서는 인간이 처음 생겨 난 근원을 흙에 두고 있다.

인류가 처음 생겨 난 근원을 하늘로 보는 사고방식은 「단군 신화(檀君 神話)」 등을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 그런데 황토로 인류를 만든다[黃土造人]는 내용의 신화소의 경우, 한국에서 전승되는 다른 신화 텍스트에서는 발견되지 않으며, 오히려 중국 주20의 고사(故事)에서 그 흔적을 찾을 수 있다.

(3) 해와 달의 조정

창세신화의 중요한 신화소 중 하나가 해와 달의 수를 조정하는 것이다. 신화의 주인공이 인간 세상을 차지할 당시, 하늘에는 해도 둘, 달도 둘이 돋았다. 이 때문에 인간 세상은 낮에는 석 자 세 치씩 타들어 가고, 밤에는 석 자 세 치씩 얼어 인간이 살 수가 없었다. 이 때문에 인간 세상을 차지한 주인공이 해와 달을 하나씩 쏘아 없애고 살기 좋은 세상을 만들었다는 내용으로 기술된다. 활을 쏘아 해를 떨어뜨리는 것은 가까운 중국의 신화나 아시아 일대 다른 문화권의 신화에서도 종종 발견할 수 있는 모티프다. 『삼국유사(三國遺事)』에 수록된 「도솔가」 관련 설화에서도 이와 같은 내용이 등장한다.

생태적(生態的) 측면에서 태양의 수를 조절한다는 것은 더위와 가뭄을 방지하려는 것이고, 달의 수를 조절한다는 것은 추위와 홍수를 막으려 한다는 의미가 있다. 즉, 기후를 조절하고자 했던 의례와 주술적 행위에서 태양과 달을 활로 쏘는 연행이 행해진 것을 짐작할 수 있다. 그런데 정치적으로 해나 달은 세상의 중심이면서 유일한 위치를 상징하는 왕을 표상하기도 한다. 해나 달이 2개 이상이라는 것은 왕의 권위와 통치권에 대한 도전이 나타났다는 것을 암시하기도 한다. 활을 쏘아 1개 이상의 해와 달을 떨어뜨리는 것은 이와 같은 정치적 위기를 극복했음을 의미한다.

(4) 인세(인간 세상)의 통치권 경쟁

인간 세상의 통치권을 둘러싸고 겨루고 다투는 이야기는 창세신화의 핵심이 되는 신화소로서, 전국에서 전승되는 여러 유형의 신화 자료에 두루 나타난다. 한반도 동북부 지역에서는 미륵과 석가(釋迦)가 대결의 주인공으로 등장하고, 제주도에서는 대별왕과 소별왕이 대결의 주역으로 등장한다.

전자의 자료에서는 미륵이 먼저 세상을 차지하여 평화롭게 다스리는데 석가가 등장하여 세상을 내놓으라고 요구하면서 다툼이 시작된다. 미륵과 석가는 내기를 정하고 이기는 편에서 세상을 경영하기로 약속한다. 두 번이나 진 석가는 세 번째 도전을 감행하는데, 이때 잠을 자면서 무릎에 꽃을 피우는 내기를 한다. 석가는 미륵이 잠든 사이에 미륵의 꽃을 훔쳐 내기에 이긴다. 미륵은 이 사실을 알지만, 석가에게 세상을 내주고 세상에 악이 횡행하리라는 저주를 남긴 채 사라진다. 미륵의 말대로 석가가 차지한 세상에는 악이 성행한다.

제주도의 「천지왕본풀이」에서는 본래 대별왕이 이승 세계를 차지하게 되었는데, 소별왕이 자기가 차지한 저승 세계와 대별왕의 이승 세계를 바꾸자고 요청하여 수수께끼 겨룸을 시작한다. 소별왕은 여러 번 대별왕에게 졌으나 다시 도전하여 대별왕을 속인다. 대별왕이 자면서 피워 낸 꽃송이를 몰래 꺾어 자기의 것으로 만든 것이다. 이에, 대별왕은 소별왕에게 이승 세계를 내주고 저승 세계를 차지한다. 이런 까닭에 저승의 법도는 맑고 정직한 데 반해 이승의 법도는 문란하고 어지럽다.

이와 같은 인세 다툼은 신적인 존재가 모두 인간 세상에 뜻을 두고 있음을 드러낸다. 그리고 신들의 다툼에서 겨루는 역량의 내용이 지혜와 속임수라는 사실은 이들의 문화적 연원(淵源)에 주25의 흔적이 남아 있음을 암시한다. 이들이 다투고 겨루는 지혜는 후천적으로 습득된 것이 아니라 타고난 것이며, 이 타고난 지혜는 주26의 맥락에서 ‘알고 태어난 자’ · ‘우주의 비밀을 알고 거듭난 자’ · ‘인식한 자로 거듭난 존재’의 표상을 드러낸다.

(5) 시조(始祖)의 출생 과정

인간 세상 통치자의 시조가 출생하는 과정이 자세히 기술되어 있는 자료는 경기도 오산의 「시루말」과 제주도의 「천지왕본풀이」다. 두 자료에서 등장하는 존재의 이름은 다르나 출생 과정의 내용은 유사하다. 그 내용은 하늘로부터 내려온 남신(男神)이 지상의 여신(女神)과 인연을 맺어 아들 형제를 낳았다는 것인데, 이 두 형제가 하늘로 아버지를 찾아가 인세를 다스리는 직책을 부여받게 된다는 것이. 이와 같은 천부(天父)와 지모(地母)의 결합은 한국에서 전승되는 국가 시조 탄생의 신화적 서사에서 흔히 발견되는 모티프다. 문헌에 기록된 단군(檀君) · 주몽(朱蒙) 등의 국가 시조의 출생 서사에서 이와 같은 예를 발견할 수 있다.

참고문헌

원전

손진태, 「창세가」(『조선신가유편』, 향토문화사, 1930)
임석재·장주근, 『관서지방무가』(문화재관리국, 1966)
임석재·장주근, 『관북지방무가』(문화재관리국, 1966)
『한국구비문학대계』 1~82권(한국학중앙연구원, 1980~1988)
현용준, 『제주도무속자료사전』(신구문화사, 1980)
진성기, 『제주도 무가본풀이사전』(민속원, 1991)

단행본

김헌선, 『한국의 창세신화』(길벗, 1994)

논문

서대석, 「창세시조신화의 변이와 의미」(『구비문학』 4,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어문연구실, 1980)
신동흔, 「창세신화의 연장으로 본 <세민황제본풀이> 연구」(『구비문학연구』 41, 한국구비문학회, 2015)
신연우, 「한국 창세신화, 대보름 민속, 일광놀이의 비교 고찰(『비교민속학』 52, 비교민속학회, 2013)
신연우, 「한국 창세신화의 ”속이기“ 모티프를 통한 트릭스터의 이해」(『고전문학연구』 44, 한국고전문학회, 2013)
심재숙, 「<창세가>에 나타난 미륵의 창조여신적 성격과 ‘미륵-석가' 대결의 의미」(『돈암어문학』 33, 돈암어문학회, 2018)
임석재, 「우리나라의 천지개벽신화」(『경학김영돈박사화갑기념 교육학논총』, 논총간행위원회, 1977)
최원오, 「창세신화에 나타난 신화적 사유의 재현과 변주―창세, 홍수, 문화의 신화적 연관성을 통해―」(『국어교육』 111, 국어교육학회, 2003)
허남춘, 「설문대할망의 창세신적 특성과 변모양상 -주변민족 여성신화와의 비교를 중심으로」(『반교어문연구』 38, 반교어문학회, 2014)
주석
주4

크고 성대하게 차리고 하는 굿. 우리말샘

주6

입으로 말함. 우리말샘

주7

전설에 나오는 신선 할미. 새의 발톱같이 긴 손톱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 우리말샘

주9

본(本)을 푼다는 뜻으로, 신의 일대기나 근본에 대한 풀이를 이르는 말. 굿에서 제의(祭儀)를 받는 신에 대한 해설인 동시에 신이 내리기를 비는 노래이기도 하다. 우리말샘

주10

굿을 할 때에 총본부가 되는 곳. 우리말샘

주11

열두 거리로 이루어진 중부 지방의 굿. 여러 신을 모셔다 두루 보호를 받자는 데서 나온 굿으로, 굿의 순서가 일정하게 고정되어 있지는 않으나 대개 부정풀이로 시작하여 뒷전풀이로 끝난다. 우리말샘

주12

반복하여 나타나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낱말ㆍ문구ㆍ내용을 이르는 말. 설화에서 반복하여 등장하는 이별한 임이나 서양 동화의 요술 할머니 또는 미녀 따위를 예로 들 수 있다. 우리말샘

주13

신화를 구성하는 여러 요소들. 신화로 채택되기 전 평범했던 자연물이나 사물이 신화 속으로 들어오면 그것은 곧 강한 힘을 가지거나 독특한 의미를 띠게 되어 후손에게 전달된다. 우리말샘

주14

어떤 기준이나 실정에 맞게 정돈함. 우리말샘

주17

이십사방위의 하나. 정북(正北)을 중심으로 한 15도 각도 안의 방향이다. 우리말샘

주18

이십사방위의 하나. 정북(正北)에서 동으로 30도 방위를 중심으로 한 15도 각도 안의 방향이다. 우리말샘

주20

중국의 천지 창조 신화에 나오는 여신. 오색 돌을 빚어서 하늘의 갈라진 곳을 메우고 큰 거북의 다리를 잘라 하늘을 떠받치고 갈짚의 재로 물을 빨아들이게 하였다고 한다. 사람의 얼굴과 뱀의 몸을 한 여신으로 알려졌다. 우리말샘

주25

문화 인류학에서, 도덕과 관습을 무시하고 사회 질서를 어지럽히는 신화 속의 인물이나 동물 따위를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26

신화의 기원, 성립, 발전, 분포, 기능 및 그 의의 따위를 연구하는 학문. 한 민족의 신화를 대상으로 하는 민족 신화학과 여러 민족의 신화를 비교ㆍ연구하는 비교 신화학이 있다. 우리말샘

집필자
김영희(연세대학교 교수, 구비문학)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