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척설화」는 문헌 기록과 구술 연행으로 전승되고 있다. 문헌에 기록된 이야기는 주로 이성계(李成桂)가 꿈에 금척을 받아 왕이 되었다는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고, 구전되는 이야기는 대체로 하층민이 문제를 해결하여 신분 상승을 이루는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성계의 왕권 획득에 관련된 금척 서사는 조선시대 문헌인 『태조실록』 · 『양촌집(陽村集)』 · 『삼봉집(三峯集)』 · 『용비어천가』 · 『대동운부군옥(大東韻府群玉)』 · 『목재집(木齋集)』 등에 실려 전한다. 여기서 '금척'은 하늘로부터 부여받은 신성한 통치와 지배의 권한 및 권위를 상징하며, '금척의 서사'는 왕권 획득을 정당화하는 효과를 만들어낸다. 이밖에도 금척의 서사는 『동경잡기(東京雜記)』에 수록된 '경주 금척원의 유래담'으로 전승되고 있는데, 여기서 '금척원'은 신라 왕권의 신성성을 상징하는 장소라고 할 수 있다.
금척의 서사는 「몽금척」과 같은 정재(呈才)나 금척무와 같은 무용의 형태로 전승되기도 한다. 그밖에 『용비어천가』와 같은 악장(樂章)이나 장편 서사시 「몽수금척송병서(夢授金尺頌幷序)」, 『죽지사』의 「몽금척」, 고종 때의 「금척대훈장」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양식과 갈래의 서사로 전승되고 있다.
구전되는 금척 이야기에는 ‘꿈을 잘 꾸어 임금의 사위가 된 머슴’ · ‘양국 부마가 된 머슴’ · ‘금대야 은대야’ 등의 작품이 있다. 이들 이야기는 대체로 머슴이 자를 받는 꿈을 꾼 후 부와 명예를 얻는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금척설화」는 전국에서 여러 유형의 이야기가 구전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는데, 채록된 각편의 수가 많은 것은 아니다. 다만 현재 구술 채록된 자료들을 살펴볼 때 문헌 설화와의 다양한 교섭 가능성을 추론할 수 있다.
문헌 설화는, 이성계가 조선을 건국하여 왕으로 등극하기 전에 꿈을 꾸었는데 그 꿈에서 신인(神人)이 내려와 "그대의 자질은 문무를 겸비했고 덕망과 식견이 있으며 백성이 촉망한 지 오래되었으니 이 자를 가지고 다스리라."며 금척을 주었다는 내용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금척의 서사는 조선시대 여러 양식의 문학 텍스트와 예술 장르에서 반복적으로 변용되어 재창조되었다.
구전 설화의 내용은 유형과 각편마다 다른데, 공통적으로 발견되는 서사적 패턴은 대략 다음과 같다. 조실부모하고 고생하며 자란 어떤 머슴이 어느 날 큰 꿈을 꾸었다. 꿈을 자랑하고 다니면서 꿈의 내용을 말하지도 않고 일도 하지 않자 화가 난 주인이 머슴을 관가에 고발했다. 머슴은 여러 관리들의 추궁을 받으면서도 꿈의 내용을 말하지 않다가, 결국 상급 관리와 왕 앞에까지 끌려간다. 그러나 그 앞에서도 꿈의 내용에 대해 발설하지 않았다. 이에 화가 난 왕이 그를 투옥시켜 머슴은 감옥에서 죽을 날만 기다리게 된다.
그러던 중 머슴은 우연히 감옥 안에 들락거리는 쥐를 죽이게 되었는데, 다른 쥐가 자 같은 것을 물고 와 죽은 쥐의 가로 세로를 재듯이 쥐의 몸에 자를 대고 나니 죽었던 쥐가 되살아났다. 이를 본 머슴이 쥐에게 자를 빼앗았다. 그때 마침 임금의 딸이 병에 걸렸는데 온갖 약이 효과가 없어 죽을 위기에 처했다. 머슴이 이 소문을 듣고 자청하여 그 자로 공주를 살려 부마가 된다.
중국의 천자가 이 소식을 듣고 자신의 딸도 살려달라 청하자 머슴이 천자의 딸도 살려준다. 이후 천자가 머슴을 부마로 삼아 머슴은 두 나라의 부마가 된다. 머슴은 두 부인의 시중을 받으면서 비로소 자기가 꾸었던 꿈의 내용을 이야기한다.
「금척설화」에서 금척은 왕권의 지배적 권위와 통치 정당성을 상징하는 것으로 서사화된다. '자'는 한자 문화권 내에서 흔히 지배와 통치의 상징물로 인식된다. 금으로 된 자를 신인이 내려주는 것은 지배 통치 행위의 정당성을 입증하는 것에 다름 아니며, 이로 인해 금척의 이야기는 지배층의 통치 행위를 정당화하면서 이에 대한 민중의 승인을 자발적으로 이끌어내는 정치적 서사로 기능하게 된다. 또한 문헌으로 전승되는 금척의 이야기는 때때로 공동체가 위기에 직면한 상황에서 공동체를 다시 결속하는 구심의 역할을 하거나, 특정 지배층 내부의 동질성과 정당성을 확인하게 해 주는 신화적 서사로 기능하기도 하였다.
구전 설화에서 금척은 통치권이나 지배적 권한의 상징이 아니라 치병과 치유의 생명력을 지닌 대상으로 그려진다. 여기서는 ‘자’, 혹은 그밖의 다른 사물로 그려지기도 하는데 어느 경우에나 재생과 치유의 힘을 지닌, 생명력으로 충만한 주술적 도구로 형상화되고 있다. ‘자’, 혹은 이와 유사한 형태의 사물은 흔히 창조와 재생의 중심이자 우주적인 생명력과 기원의 힘이 맨 처음 흘러 나가고 흘러 들어오는 '우주의 중심'을 상징한다. 이것은 세계 여러 문화권에서 전승되는 신화와 주술, 의례의 상징물들을 통해 확인된다. 또한 이 사물의 형태는 하늘과 땅을 잇는 상승과 하강의 사다리를 상징하는 것으로 인식되기도 한다. 문헌 설화와 구전 설화에서 통치권이나 지배권, 혹은 치유의 생명력을 가진 것으로 그려지는 까닭도 그 연원이 여기에 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최근에는 전통 연희와 문화 예술 분야에서 악장과 정재로서의 '몽금척'이나 '금척무'에 대한 연구가 전개되고 있다. 또한 분석심리학의 관점에서 구전 설화에 등장하는 머슴의 내면 심리와 '자'의 상징성을 연결지어 해석하는 연구 경향도 나타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