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제상(朴堤上)의 이야기는 김부식의 『삼국사기(三國史記)』와 일연의 『삼국유사(三國遺事)』에 모두 실려 있다. 『삼국유사』에는 김제상(金堤上)으로 나오고, 『삼국사기』에는 박제상으로 나온다. 두 문헌에 실린 이야기가 조금씩 차이가 있지만 전반적인 내용은 유사한 구도로 전개된다.
구술 전승되는 이야기 중에는 박제상에 관한 것들보다 박제상의 부인에 관한 것들이 더 많다. 남편을 기다리다 돌이 된 여인의 이야기가 다양한 형태로 전승되고 있으며 박제상의 부인에 관한 이야기가 울주와 치술령 인근 지역에서 연행, 전승되고 있다. 특히 치술령 인근 지역에서는 치술령의 내력이나 망부석의 연원, 치술령 신모의 기원에 관한 이야기로 전승되고 있다.
「박제상 설화」는 신라 눌지왕 때 일본에 갔다가 돌아오지 못한 충신 박제상과 그를 기다리다 돌이 된 그의 부인에 관한 이야기다. 박제상 이야기로 널리 알려져 있지만 서사적으로 초점화된 것은 그만이 아니다. 박제상을 기다리다 돌이 된 그의 부인은 죽어서 치술령의 신모가 되었고 종교적 의례와 주술의 대상 신격으로 숭배되었다. 이야기에 따라 죽은 박제상의 부인과 그의 딸들이 새가 되었다는 내용이 나타나기도 한다.
「박제상 설화」는 고구려와 일본에 볼모로 잡혀간 왕자를 구하고 왜왕 앞에서 절의를 굽히지 않다가 결국 죽음을 당한 박제상에 관한 이야기라고 할 수 있는데, 한편으로는 그를 기다리다 돌이 된 아내의 이야기이기도 하다. 박제상 아내에게 초점을 둘 때 해당 이야기는 「망부석설화」로 불린다.
『삼국유사』에는 박제상이 아니라 김제상으로 나오는데 그 대략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제상은 신라 관리들의 추천을 받아 고구려에 볼모로 잡혀간 왕제 보해(寶海)를 구해 오라는 왕명을 수행하게 된다. 그는 변복을 하고 고구려로 들어가 도망쳐 나온 보해를 데리고 탈출하였다. 왕의 군사들이 뒤쫓아 왔으나 보해와 좋은 관계를 쌓아온 병사들이 화살촉을 빼고 활을 쏘아 두 사람 모두 무사히 돌아온다.
제상이 왕의 동생을 데리고 귀국하자마자 왕이 왜국에 볼모로 잡혀간 또다른 동생이 보고 싶다 하였다. 제상은 집에도 들르지 않고 왜국으로 떠났다. 뒤늦게 소식을 들은 그의 아내가 포구로 달려갔으나 그를 만날 수는 없었다. 제상은 왜국에 들어가 "계림의 왕이 내 부형을 죽여 그를 피해 도망왔다."고 말하고 왜왕을 속인 채 왕의 또다른 동생인 미해(美海)와 함께 해변에서 시간을 보내곤 하였다. 제상은 왕의 신임을 얻은 뒤에 미해를 탈출시키고 자기 혼자 왜 땅에 남았다.
화가 난 왜왕이 그를 붙잡아 문초를 하며 “왜 왕자를 보냈느냐.” 물으니 제상이 "나는 계림의 신하이지 왜국의 신하가 아니다."라고 대답하였다. 왜왕이 왜국의 신하라고 대답하면 높은 벼슬과 상을 주겠다고 했으나, 제상은 "계림의 개, 돼지가 될지언정 왜국의 신하는 될 수 없다."고 버텼다. 왜왕이 노하여 제상의 발바닥 가죽을 벗기게 하고 베어 낸 갈대 위를 달리게 하였다. 왜왕이 다시 "너는 어느 나라의 신하인가."라고 묻자 제상이 '계림의 신하'라고 대답하였다. 왜왕이 뜨겁게 달군 쇠 위에 그를 세우고 같은 질문을 했으나 제상은 역시 '계림의 신하'라고 대답하였다. 왜왕이 그를 굴복시킬 수 없음을 알고 그를 불태워 죽였다.
볼모로 떠났던 두 아우를 모두 만난 신라의 왕이 기뻐하며 제상의 아내를 국대부인으로 삼고, 그 딸을 자신의 아우인 미해 공의 부인으로 삼게 하였다. 제상의 부인이 그가 떠날 때 만나지 못해 엎드려 울었던 모래밭을 '장사'라고 부르고, 그의 부인이 다리를 뻗대고 일어나지 않은 곳을 '벌지지'라고 부른다. 제상의 부인은 남편을 잊지 못해 세 딸을 데리고 치술령에 올라가 왜국을 바라보며 통곡하며 울다 죽었다. 제상의 부인이 죽은 후에 치술 신모가 되었으며, 지금 그곳에 당집(사당)이 있다.
위의 이야기를 『삼국사기』의 기록과 비교해 보면 우선 이야기 속 인물들의 이름이 조금씩 다르지만 사건의 전개 과정은 거의 동일하다. 박제상이 왕의 아우인 볼모를 구하러 왜로 떠나던 때 떠나는 배를 바라보며 통곡하는 박제상의 아내를 향해 제상은 적국을 향해 가니 자신을 다시 만나겠다는 기약을 할 수 없다 말한다.
왜왕을 만난 박제상은 신라를 배신한 듯 행동하며 왜왕을 속였다. 박제상이 신라가 고구려와 더불어 왜를 침공하려 한다는 거짓을 말하고 신라 본국에서도 미사흔과 제상의 가족이 모두 갇혔다는 소식이 들려오니 왜왕은 제상을 믿게 되었다. 왜왕이 신라를 공격하여 미사흔과 제상의 처자를 구하겠다 하자 제상이 미사흔을 먼저 본국으로 보내 소식을 알리고자 하였다. 왜왕이 이를 알게 되어 박제상을 가두고 나중에 유배를 보낸 뒤 불태워 참(斬)하였다.
신라의 왕이 이 소식을 듣고 애통해 하며 그의 직급을 추증하고 가족에게 후한 보상을 하였으며 제상의 둘째 딸을 미사흔의 아내로 삼게 하였다. 볼모로 갔던 동생들을 모두 만난 왕이 기뻐하며 스스로 가무를 지어 불렀는데 지금 향악의 '우식곡(憂息曲)'이 바로 이것이다.
『삼국사기』에 수록된 이야기에서는 박제상의 기지와 계략, 언변 등이 뛰어난 역량으로 강조되어 그려진다. 또한 『삼국유사』에 비해 왕을 속이는 과정이 상세하고 미사흔을 먼저 고국으로 돌려보낸 이유와 맥락도 선명하다. 그러나 『삼국유사』에 비해 박제상 부인의 비중이 적고, 박제상 부인이 돌이 되거나 치술 신모가 되는 등의 내용이 빠져 있다.
구술 전승되는 이야기에서는 박제상보다 박제상의 아내가 더욱 강조된다. 박제상의 아내가 남편을 기다리다 망부석이 되는 모티프나 죽은 박제상의 부인이 새가 되는 모티프 등이 강조된다. 이들 구전이야기에서는 박제상의 아내가 죽어 ‘치’라는 새가 되고 같이 기다리던 세 딸이 죽어 ‘술’이라는 새가 되었다는 말이 나온다. 또한 이들은 치술령 고개 아래로 떨어져 죽은 것으로 그려지는데, 이 고개 밑에 은을암(隱乙庵)이라는 암자가 있다는 말이 전한다. 이 암자의 이름은 부인과 딸들이 절벽에서 죽을 때 ‘새[乙]가 되어 숨었다[隱]’ 뜻을 내포하고 있다.
「박제상 설화」는 지략가의 면모를 지닌 박제상이 기개도 있을 뿐 아니라, 절의를 지켜 죽음으로 맞선 장면을 서사적으로 부각시켜 보여 준다. 문헌에 수록된 이야기가 박제상을 중심으로 서사화되어 있다면 구전되는 이야기에서 초점화된 것은 그의 아내다. 그의 아내가 남편을 기다리다 돌이 되거나 죽었다는 내용의 이야기에서 강조되는 것은 남편을 기다리는 아내의 간절함과 한결같음이다. 그리고 바로 이것이 망부석과 같은 바위의 이미지나 치술령과 같은 산봉우리 고개의 이미지로 표상되었다. 특히 치술 신모, 혹은 새가 된 박제상의 부인과 그 딸들은 초월적이거나 신성한 존재가 되어 의례의 대상 신격으로 기능하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