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두 ()

금관총 출토 초두
금관총 출토 초두
공예
유물
경주 금관총에서 출토된 삼국시대의 초두.
이칭
이칭
자루솥, 조두(刁斗), 초호(鐎壺)
정의
경주 금관총에서 출토된 삼국시대의 초두.
개설

초두는 액체를 데우거나 끓일 때 사용하는 청동제 기물이다. 발이 세 개 달린 반원형 몸통에 손잡이가 있는 형태가 일반적이며, 다리가 없는 경우를 조두(刁斗)로 부르거나 뚜껑이 있는 것을 초호(鐎壺)라고 구분하지만 대체로 초두(鐎斗, 자루솥)라고 통칭한다. 신라 금관총에서 출토된 초두는 뚜껑 있는 기형이며, 균형 잡힌 몸체와 섬세한 장식으로 조형미가 돋보이는 유물이다.

내용

금관총의 초두는 구형(球形)의 솥에 말발굽 모양의 세 다리가 밖으로 시원스럽게 뻗어 있고 끝부분에 팔메트가 장식된 손잡이가 달려 있다. 뚜껑은 경첩으로 연결되었고 윗부분에는 8장의 연꽃잎이 중첩된 모양의 연판문이 장식되어 있다. 자루솥에는 모두 세 마리의 용이 있는데, 물이 나오는 주둥이[注口]와 손잡이 양쪽 끝에 등장한다. 입을 동그랗게 벌린 용머리로 주구를 만들고 손잡이 한쪽 부분에는 용이 몸체를 물고 있는 모습이며, 다른 쪽은 팔메트를 물고 있는 형상이다. 기형의 세부 기능에 따라 용문을 활용하는 감각이 뛰어나며, 여러 종류의 문양도 양감이 풍부하고 묘사도 정교하다. 뚜껑에 장식된 연판문 중앙에는 방형의 테두리가 구획되었고 중심에 구멍 흔적이 있다. 또한 안쪽에 못이 있는 것으로 보아 원래는 꼭지가 달려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특징

초두의 기형은 중국 한대(漢代)에 등장하였으며, 우리나라는 삼국시대에 크게 유행하였다. 평양 부근과 서울 풍납동에서 고구려와 백제의 초두가 출토된 바 있으며, 황남대총·서봉총·식리총·천마총 등 신라 고분에서도 다수 확인되었다. 금관총 유물과 비교할 수 있는 초두는 일본 도쿄[東京]국립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데, 경상남도 합천에서 발견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세부의 문양은 다소 차이가 있지만 뚜껑 달린 몸체와 용머리 장식을 활용한 기형에서 유사한 특징을 찾아볼 수 있다.

의의와 평가

금관총 출토품은 보존 상태가 양호하고 조형적인 아름다움을 갖추고 있어, 시대를 대표하는 유물로 평가된다. 삼국시대 초두의 제작과 변화 과정을 고찰하는 데 중요한 자료이다.

참고문헌

『경주 금관총』(국립경주박물관, 2016)
『금관총과 이사지왕』(국립중앙박물관, 2014)
「신라 고분 속 외래 문물의 조사와 연구」(이한상, 『중앙고고 연구』 6, 2010)
「풍납토성 출토 초두의 편년적 위치」(박보현, 『호서고고학』 12, 2005)
「초두, 초호 부장 고분의 성격」(박보현, 『백산학보』 37, 1990)
관련 미디어 (3)
집필자
신숙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