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립 ()

한문학
인물
조선시대, 동지중추부사, 강릉부사, 형조참판 등을 역임한 문신이자 문인.
이칭
입지(立之)
간이(簡易)ㅣ동고(東皐)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539년
사망 연도
1612년
본관
통천(通川)
출생지
개성
주요 저서
간이집(簡易集)|한사열전초(漢史列傳抄)|십가근체시(十家近體詩)
내용 요약

최립(崔岦)은 조선시대 동지중추부사, 강릉부사, 형조참판 등을 역임한 문신이자 문인이다. 시문집 『간이집(簡易集)』의 저자이다. 그의 본관은 통천(通川)이며, 자(字)는 입지(立之), 호는 동고(東皐)였다. 만년에는 당호(堂號)를 간이(簡易)라 하였다. 임진왜란과 광해군 즉위 무렵에 외교 문서를 담당하는 능문자(能文者)로서 활약하였다. 고문의 형식미를 추구하여 나름대로 ‘억세고 헌걸찬[悍杰]’ 풍격을 이루어 이전의 평담한 문풍을 변혁시켰다.

정의
조선시대, 동지중추부사, 강릉부사, 형조참판 등을 역임한 문신이자 문인.
가계 및 인적사항

그의 본관은 통천(通川)이며, 자는 입지(立之), 호는 동고(東皐)이다. 만년에 주1를 간이(簡易)라 하였다. 아버지는 진사를 지낸 최자양(崔自陽)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최립은 개성의 가난한 가문에서 태어나 문장가로서 인정을 받았다. 시의 오산(五山) 차천로(車天輅), 글씨의 석봉(石峯) 한호(韓濩)와 함께 송도삼절(松都三絶)로 일컬어졌다. 1555년(명종 10) 17세의 나이로 진사가 됐고 1559년(명종 14) 식년 문과에 장원으로 급제했다.

여러 주2을 지낸 뒤에 1577년(선조 10) 주청사(奏請使)질정관(質正官)으로 명나라에 다녀왔다. 1581년(선조 14) 재령 군수로 굶주린 백성들을 구제하는 것에 힘써 임금으로부터 옷감을 받았다. 그 해에 다시 주청사의 질정관이 되어 명나라에 다녀왔다.

최립은 1584년(선조 17)에 호군(護軍)으로 이문 주3에 장원을 했다. 1592년(선조 25)에 공주 목사가 되었으며 이듬해에 전주 부윤을 거쳐 승문원 제조를 지냈다. 그 해에 주청사의 질정관이 되었다. 1594년(선조 27)에 주4 부사(奏請副使)가 되어 명나라에 다녀왔다.

1601년(선조34)에는 평양(平壤)에 간이당(簡易堂)을 짓고 그곳에서 주5하였다. 최립이 간성군수로 있던 1603년 8월에 한호(韓濩)도 흡곡 현령(歙谷縣令)으로 나가 최립과 왕래하였다. 이때 최립은 금강산을 갔다와서 「유금강산기(遊金剛山記)」를 지었다. 그후 최립은 판결사(判決事)를 지냈고 1606년에는 동지중추부사가 되었다. 이듬해에 강릉부사를 지내고 형조 참판에 이르러 사직했다. 그리고 평양에 은거했다.

최립은 당대 일류의 문장가로 인정을 받아 중국과의 외교 문서를 많이 작성했다. 그리고 중국에 갔을 때에 중국 문단에 군림하고 있던 주6을 만나 문장을 논하였으며, 그곳의 학자들로부터 명문장가라는 격찬을 받았다.

작품의 특징과 저술

초(草) · 목(木) · 화(花) · 석(石)의 40여 종을 소재로 한 주7가 유명하다. 최립은 주8과 황산곡(黃山谷)에게 시를 배워 품격이 호걸스러우며 음색이 굳세어 금석에서 나오는 소리 같다는 평을 들었다.

역학(易學)에 심오하여 『주역본의구결부설(周易本義口訣附說)』 등의 2권의 저서가 있다. 사람들은 최립의 글과 차천로(車天輅)의 시와 한호(韓濩)의 글씨를 송도삼절(松都三絶)이라고 일컬었는데, 최립이 시보다 글로 이름이 높았음을 알 수 있다.

문장가로서 최립은 주9 문자(詞命文字)에 종사하는 일 외에도, 주10류(碑誌類)ㆍ전장류(傳狀類)ㆍ서발[^11]류(序跋類)ㆍ기서류(記序類)의 사사로운 문자를 요청받는 일이 많았다. 그는 초고를 서너 번씩 바꾸면서 ‘각의담사(刻意湛思)’를 하여 글을 내었는데, 그의 비지류 문장은 주12 주13 맛이 있다.

최립은 문장을 지을 때 ‘고문(古文)’의 격식을 따르고자 힘썼고, 그의 문장은 일시를 풍미했다. 윤근수와 함께 ‘고문’을 숭상하여, 당대 문단의 분위기를 바꾸었다는 평을 받는다. 고문의 형식미를 추구하여 나름대로 ‘억세고 주14[悍杰]’ 풍격을 이루어, 이전의 평담한 문풍을 변혁시켰다. 당대 명나라에서 유행하던 왕세정 일파의 문장을 따라 예스럽고 우아하며 간결하고 법도에 맞는 글이라는 칭찬을 받았다. 글씨에도 뛰어나 주15에 일가를 이루었다. 최립의 글에는 이러한 특징이 있어서, 사람들은 그를 고문사(古文詞)라고 불렀다.

문집으로는 『간이집』이 있고, 시학서(詩學書)로는 『십가근체시(十家近體詩)』와 『한사열전초(漢史列傳抄)』 등이 있다.

참고문헌

원전

『선조실록(宣祖實錄)』
『광해군일기(光海君日記)』
『간이집(簡易集)』
『율곡전서(栗谷全書)』
『기언(記言)』
『명곡집(明谷集)』

단행본

심경호, 『조선시대 한문학과 시경론』(일지사, 1999)
이가원, 『한국한문학사』(민중서관, 1979)

논문

박영호, 「조선중기 고문론 연구」(경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2)
송준호, 「고문(古文)의 성격(性格)과 전개양상」(『한국문학연구입문』, 지식산업사, 1982)
심경호, 「崔岦의 <文章之文>論과 古文詞( 『震檀學報』 65, 震檀學會, 1988)
심경호, 「선조ㆍ광해군조의 한유문과 사기 연찬에 관하여 : 韓愈文과 《史纂》의 懸吐와 註解를 중심으로」(『書誌學報』 17, 한국서지학회, 1996)

인터넷 자료

한국고전종합DB(https://db.itkc.or.kr)
/*집필 원고에서는 논문 자료로 "심경호, 「문집총간 간이집(簡易集) 해제」, 1999"를 제시하였습니다. 이를 인터넷 자료로 바로잡았는데 전문가 확인(또는 집필자 확인)이 필요합니다.
2차 작업자가 확인한 바로는, 한국고전번역원에서 발간한 『한국문집총간-간이집』의 해제 작성자는 '김기빈'입니다(한국고전종합DB에서 확인함). 본 원고에서 언급한 '심경호'의 해제는 한국고전종합DB에서 디지털 자료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주석
주1

집의 이름에서 따온 그 주인의 호. 우리말샘

주2

지방에 있는 감영(監營), 부(府), 목(牧), 군(郡), 현(縣)의 병영(兵營)과 수영(水營) 따위에 속한 문관과 무관을 통틀어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3

조선 시대에, 당하(堂下)의 문관이 보던, 이문(吏文)에 관한 시험. 우리말샘

주4

주청사(奏請使): 조선 시대에, 동지사(冬至使) 이외에 중국에 주청할 일이 있을 때 보내던 사절. 우리말샘

주5

아무런 속박을 받지 않고 마음껏 즐김. 우리말샘

주6

중국 명나라의 문학자(1526~1590). 자는 원미(元美). 호는 엄주산인(弇州山人). 고문 복고 운동의 중심인물로 격조를 소중히 여기는 의고주의를 주장하였다. 저서에 ≪예원치언(藝苑巵言≫, 소설 <<금병매>>, 희곡 <<명봉기(鳴鳳記)>>가 있다. 우리말샘

주7

시(詩)와 부(賦)를 아울러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8

중국 북송의 문인(1036~1101). 자는 자첨(子瞻). 호는 동파(東坡). 당송 팔대가의 한 사람으로, 구법파(舊法派)의 대표자이며, 서화에도 능하였다. 작품에 <<적벽부>>, 저서에 ≪동파전집(東坡全集)≫ 따위가 있다. 우리말샘

주9

사신이 명을 받아 외교적인 일을 할 때 하는 말. 우리말샘

주10

비석에 새긴 글. 우리말샘

주11

서문(序文)과 발문(跋文)을 아울러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12

예스럽고 아담하다. 우리말샘

주13

굳세고 튼튼하다. 우리말샘

주14

매우 풍채가 좋고 의기가 당당한 듯하다. 우리말샘

주15

원나라 초기의 조맹부의 서체.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3)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