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차
의생활
개념
옷감에 그림을 그려 염문(染紋)한 직물.
목차
정의
옷감에 그림을 그려 염문(染紋)한 직물.
내용

동아시아지역에서는 일찍이 옷감에 그림을 그리는 염색법이 있었던 것이 특징이다. ≪석명 釋名≫에서도 “회는 그림이다(繪畫也).”라고 하여 일찍이 중국에서도 옷감에 그림을 그려 염문하여 사용하였음이 나타난다.

우리 나라의 경우는 ≪삼국지 三國志≫에 부여인들이 외국으로 나갈 때 회를 입었다는 기록이 있고, ≪구당서 舊唐書≫에 백제의 관인들은 옷에 비색(翡色)의 그림을 그려 입었다는 기록이 있는 것으로 미루어보아 삼국시대 이전부터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또, ≪일본서기 日本書紀≫에 의하면 일본의 유랴쿠왕(雄略王) 7년에 백제의 회공인 사라아(斯羅我)가 일본에 귀화하여 한회(韓繪)를 그렸다고 하며, 뒤에 도문사(挑文師)가 되어 직물의 문양사로 활동하였다고 한다. 이로써, 우리나라는 일찍부터 회의 제조법이 발달하였고, 한회의 전문인이 있어 일본에까지 그 기술을 전파하였음을 알 수 있다.

옷감에 그림을 그려서 옷을 지어입는 일은 오늘날까지 전하여져서 노방·공단 등의 비단에 각문·각색의 그림을 그려 호사스러운 한복을 지어입는다. 오늘날에는 비단 뿐만 아니라 합성섬유직물에도 그림을 그려 염문하여 많이 사용하고 있다.

참고문헌

『삼국지(三國志)』
『구당서(舊唐書)』
『일본서기(日本書紀)』
집필자
민길자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