흘승골성 ()

목차
고대사
지명
삼국시대 고구려 초기의 도성(都城).
목차
정의
삼국시대 고구려 초기의 도성(都城).
내용

『삼국사기(三國史記)』에 의하면 고구려 시조인 주몽왕이 졸본천(卒本川)에 나라를 세웠다고 하였다. 그런데 『위서(魏書)』에는 주몽왕이 부여에서 남하하여 흘승골성에 이르러 나라를 세웠다고 하였는데, 이곳은 곧 광개토왕릉비문에 보이는 ‘비류곡 홀본서성산(沸流谷 忽本西城山)’에 해당된다.

그러므로 고구려 최초의 도성인 홀승골성은 지금의 환인현(桓仁縣)인 졸본천유역에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나아가 이 성의 정확한 위치는 현재 부이강과 혼강(渾江)의 합류지점에 있는 요령성(遼寧省) 환인현의 오녀산성(五女山城)으로 비정되고 있다.

오녀산성은 해발 820m의 험준한 산 위에 자리잡고 있는데, 장방형의 형태로서 동서로 좁고 남북으로 긴 편이다. 산의 중간부분을 석재로 쌓았다. 성벽은 초기의 축조방식인 이른바 간타루법(干打壘法)으로 축조하였다. 성의 동서길이는 300m, 남북은 1㎞ 정도이다.

성문은 한 곳에 있는데 남쪽으로 나 있다. 성안은 넓고 평탄하며 중간에 샘이 있다. 샘 주위는 석판으로 네 벽을 쌓아 장방형의 연못을 형성하고 있는데, 성안의 식수원으로 사용되었다. 그 밖에 주몽왕 때 건립된 궁전과 신묘(神廟)도 있었을 것이다.

그런데 유리왕은 이 성이 험준한 산 위에 있어 불편함이 많음을 깨닫고 골천(鶻川)에 이궁(離宮)을 세우고 양곡(凉谷)에는 동서 두 궁실을 지었다. 이 성은 서기 3년(유리왕 22) 10월 국내성으로 천도할 때까지 모두 40년간 고구려 최초의 도성으로 기능하였다.

참고문헌

『삼국사기(三國史記)』
『위서(魏書)』
『광개토왕릉비문(廣開土王陵碑文)』
『高句麗簡史』(李殿福·孫玉養 共著, 강인구·김영주 공역, 삼성출판사, 1990)
집필자
이도학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