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현보 ()

고려시대사
인물
고려후기 최우의 심복으로 상장군을 역임한 관리. 무신.
이칭
이칭
김현보(金鉉寶)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미상
본관
미상
출생지
미상
주요 관직
상장군
목차
정의
고려후기 최우의 심복으로 상장군을 역임한 관리. 무신.
생애 및 활동사항

일명 김현보(金鉉寶)라고도 한다. 본관, 출신과 가계 등은 기록에 전하지 않아 자세히 알 수 없다. 1229년(고종 16) 상장군 김현보(金鉉甫)가 불법적으로 백성의 토지를 점탈하여 농장을 넓혔는데, 임피현령(臨陂縣令) 전승우(田承雨)는 김현보가 점탈한 토지의 전조(田租)를 거둬 관아에 납입하고, 그 밭을 백성에게 돌려주었다. 그러나 김현보가 안찰사(按察使) 최종유(崔宗裕)에게 청탁하여 그 전조를 다시 징수하자 전승우가 법사(法司)에 보고하였다. 법사에서 김현보와 최종유를 탄핵하자 최우가 탄핵한 문건을 빼았고 사건을 종결시켰다.

1232년(고종 19) 6월 최우가 재추(宰樞) 대신들을 불러모아 강화천도(江華遷都)를 논의할 당시 야별초(夜別抄) 지유(指諭) 김세충(金世冲)은 ‘개경고수론(開京固守論)’을 고집하며 강화천도에 대해 강렬히 항의했다. 이 때 어사대부(御史大夫) 대집성(大集成)은 최우에게 김세충의 처벌을 요구했고, 응양군(鷹揚軍) 상호군(上護軍: 上將軍)이었던 김현보(金鉉寶)도 그러한 주장에 찬동했다. 결국 김세충은 참형에 처해졌고 강화천도가 단행됨으로써 최씨정권에 의한 천도항쟁의 시대가 개막되었다.

이러한 김현보의 역할과 위상을 통해서 볼 때, 김현보는 최우의 심복이자 반주(班主: 2군6위의 수장)로서 군부와 도방(都房)에서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하던 인물로 볼 수 있다.

참고문헌

『고려사(高麗史)』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몽고침입에 대한 최씨정권의 외교적 대응』(강재광, 경인문화사, 2011)
『고려의 무인정권』(김당택, 국학자료원, 1999)
『고려무인정권연구』(홍승기 편, 서강대학교 출판부, 1995)
『고려대몽항쟁사연구』(윤용혁, 일지사, 1991)
「고려시대 강화도읍사 연구의 쟁점」(김기덕, 『사학연구』61, 2000)
「최우정권에 관한 소고」(박종익, 조선대학교 사학과 석사학위논문, 1988)
「고려의 대몽항쟁과 강도: 강화천도(1232)와 강도 경영을 중심으로」(윤용혁, 『고려사의 제문제』, 삼영사, 1986)
집필자
김인호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