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선 ()

고려시대사
인물
고려 후기에, 우정언, 시어사 등을 역임한 문신.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1250년(고종 37)
본관
미상
출생지
미상
주요 관직
우정언|시어사
목차
정의
고려 후기에, 우정언, 시어사 등을 역임한 문신.
생애 및 활동사항

본관, 출신과 가계 등은 기록에 전하지 않아 자세히 알 수 없다. 이선(李僐)은 1244년(고종 31) 우정언(右正言)으로 있던 때, 당시 무신집권자 최우(崔怡)가 낭장(郎將) 신착(申着)을 안찰사(按察使)로 임명하자, 신착은 무신이라서 안찰사로 적절치 않다고 탄핵했다. 최우는 분노하여 이선의 관직을 낮추어 평안도의 연주부사(延州副使)로 좌천시켰다.

1250년(고종 37) 12월 최우의 뒤를 이어 집권한 최항(崔沆)은 당시 시어사(侍御史)였던 이선 등 4명을 제거하였다. 그 배경은 다음과 같다. 최항이 아직 승려 만전(萬全)으로 지내던 시절, 보주부사(甫州副使) 조염우(趙廉右), 도강감무(道康監務) 박장원(朴長原) 등과 사이가 좋지 않았다. 조염우와 박장원은 자신이 관할하던 지역에서 소란을 피우던 최항을 제지했던 것으로 보인다. 결국 최항은 권력을 잡은 이후 두 사람을 섬으로 유배보냈다. 그런데 이선은 원래 조염우 등과 가까웠다. 이선이 경상도 안찰사가 되어 고성현(固城縣)을 방문했을 때, 이 사람들을 불러서 잔치를 베풀었다. 당시 잔치에는 현령(縣令) 권신유(權信由)도 참석했다. 뒤에 어느 승려가 이선이 권신유, 조염우, 박장원과 함께 반란을 모의했다고 무고하자, 최항이 이들을 모두 살해했던 것이다.

이선이 우정언과 시어사를 지내면서 최씨집정에게 거침없이 직언을 한 것으로 보아 무신집권기 최씨정권에 비판적인 간관(諫官)이었다고 판단된다.

참고문헌

『고려사(高麗史)』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고려 무인정권기 문사 연구』(황병성, 경인문화사, 2008)
『고려의 무인정권』(김당택, 국학자료원, 1999)
『고려무인정권연구』(홍승기 편, 서강대학교 출판부, 1995)
「고려무인정권기 문사의 정치활동」(김의규, 『한우근박사 정년기념 사학논총』, 지식산업사, 1981)
집필자
김인호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