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학(法學)
이때는 이미 을사조약 이후 기울어져 가는 국운을 문화와 교육을 통해 중흥시키려는 이른바 애국계몽운동이 활발히 전개되던 시기였다. 그리하여 법학을 수립하는 것이 민족의 자강과 애국의 길이라고 생각하고, 법학서들과 논문들을 많이 발표하였다. 법학 교과서로 나온 것은 ≪법학통론≫(유성준), ≪법학통론≫(주정균), ≪헌법≫(유치형), ≪헌법≫(조성구), ≪헌법≫ · ≪국가학≫(김상연), ≪행정법대의≫(장헌식), ≪지방행정론≫(조성구), ≪민법총론≫(신우선), ≪물권법 1·2부≫(유치형), ≪물권법 2부≫(박만서), ≪물권법≫(유동작), ≪채권법 1부≫(석진형), ≪채권법 2부≫(조성구), ≪민사소송법≫(홍재기), ≪상속법≫(박만서), ≪상법총론≫(주정균), ≪상법요의≫(김상연), ≪회사법≫(이면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