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산문집(素山文集)
7권 3책. 석인본. 1959년에 아들 양화(養和)와 조카 구화(久和)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김형모(金瀅模)의 서문, 권말에 이환구(李烜久)·정치우(鄭致祐) 등의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과 고려대학교 도서관 등에 있다. 권1∼3에 시 228수, 권4∼6에 서(書) 50편, 소(疏) 1편, 서(序) 9편, 기(記) 6편, 발(跋) 4편, 명(銘) 1편, 상량문 6편, 제문 9편, 묘지명 2편, 잡저 19편, 권7에 부록 8편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잡저인 「유석변(儒釋辨)」에서는 유교와 불교의 차이를 음과 양, 사(邪)와 정, 낮과 밤, 강과 유 등에 비유해 설명하였다. 또한, 야소교(耶蘇敎)는 불교보다 비루해 가정과 나라를 해치는 폐단이 몇 갑절 더하며 인륜 및 궁실·의복·음식에 이르기까지 어지럽혔으므로 불교를 마을에 있는 도적이라 한다면 야소교는 집안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