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은암산성 ()

목차
건축
유적
충청북도 단양군 적성면에 있는 삼국시대 입보용으로 축성된 성곽. 산성.
목차
정의
충청북도 단양군 적성면에 있는 삼국시대 입보용으로 축성된 성곽. 산성.
내용

둘레 3,018척. 현재 문지(門址)·수구(水口)·건물지와 성벽이 부분적으로 남아 있다.

단양군과 제천시의 경계를 이루는 산맥의 남쪽 끝 부분에 위치하며, 남한강이 굽이쳐 흐르는 북쪽 강언덕의 험준한 암벽을 이용하여 북서쪽의 작은 계곡을 두른 입보용(入保用:안에 들어와 보호를 받음)산성이다.

《세종실록》 지리지에는 둘레가 419보이고 성안에 세 곳의 샘이 있는데, 이 샘들은 가뭄에 마른다고 하였고, 또 군창(軍倉)이 있다고 기록되어 있다.

고려말에는 왜구가 이곳까지 침입한 기록이 있고, 또 《신증동국여지승람》에는 이곳에서 단양·제천·청풍의 백성들이 피란했다는 기록이 있어서 조선시대 초기까지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성벽은 험준한 암벽을 그대로 이용한 곳이 많고 부분적인 성벽의 규모는 높이 1∼1.5m, 너비 1∼1.5m이며 비교적 큰 할석을 이용하여 쌓았다.

또한, 북문과 남문터가 개구부(開口部)의 모습을 남기고 있는데, 남문터는 문구(門口)의 바깥쪽 입면(立面)이 凹모양으로 된 다락문의 모습으로 정남향의 능선의 잘룩한 부분을 택하여, 10여평의 대지를 정지하고 석벽과 좌우의 성루(城壘 : 성 바깥 둘레의 흙담)를 쌓았다.

북문터는 북서쪽으로 낮아지는 수구 부근에 있는데, 출입구의 형식을 취하고 있는 점과 석벽으로써 문기둥을 삼고 할석으로 고루쌓기를 하는 등 남문과 형식이 같으며 그 안쪽에 약간의 평탄한 건물터가 있다.

서쪽으로는 작은 통로가 있고 흙으로 만든 성벽의 안쪽 벽 위에 냇자갈을 무더기로 쌓아놓은 것이 두 무더기 남아 있어서, 피란하던 주민들이 농성용으로 사용하기 위해 준비했던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 돌들은 대개 23×21㎝, 20×18㎝, 18×8㎝의 크기로서, 한 손으로 던져서 먼 거리의 적군에게 타격을 줄 수 있는 것으로, 길이 6.5m, 너비 3.3m 정도의 평평한 능선 주변에 수만 개씩 쌓아놓았다.

남한강을 이용하여 죽령(竹嶺)으로 통하는 길목에 위치하고 있어서 삼국시대부터 요새지로 축조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참고문헌

『세종실록지리지』
『신증동국여지승람』
『서애집』
「단양가은암산성에 대한 소고」(정영호, 『군사』 창간호, 1980)
『중원문화권유적정밀조사보고서』(충북대학교박물관, 1982)
『내고장전통가꾸기』(제원군, 1982)
집필자
차용걸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