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택길흉법 ()

목차
도교
개념
풍수지리설에 따라 가택의 길흉을 판단하는 법을 뜻하는 도교용어.
목차
정의
풍수지리설에 따라 가택의 길흉을 판단하는 법을 뜻하는 도교용어.
내용

이 법은 묘지에 대한 길흉을 보는 법에 따라 상대적으로 생겨났다. 풍수지리설은 중국에서 ≪주역≫의 음양설에 근거하여 발달해 왔다.

당나라 초기에 음양가로 유명하였던 원천강(袁天罡)·이순풍(李淳風)·곽박(郭朴)에 이르러 전성하였고, 우리 나라에서도 신라 말에 도선(道詵)을 시초로 전파되어 고려 건국의 중심사상이 되었고, 조선시대에 들어와서 남사고(南師古)·이지함(李之菡)·두사충(杜師忠)·유운룡(柳雲龍) 등 많은 인물이 나와서 한때를 풍미하였다.

가택의 길흉을 판단하는 데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지형으로, 묘지에서의 용절(龍折)과 같다. 묘지는 용(龍)의 기복과 형상의 사활에 따라 길흉이 결정되었지만, 가택은 용의 기복과는 관계없이 지형의 광협과 지세의 형성에 따라 길흉이 결정되고, 수국(水局)의 개폐와 안산(案山)의 생김새에도 많은 영향을 받는다고 했다.

어떤 지가서(地家書)에는 살아서는 안대(案對)가 좋은 곳이 길지이고, 죽어서는 주룡이 좋아야 상혈(上穴)이라고 할 만큼 가택의 앞산은 중요시되었다.

다음에는 양택과 주거인과의 관계에서 길흉을 판단하려 했다. 아무리 길지에 맞추어서 집을 지었다 하더라도 그 집에 사는 사람과 맞지 않으면 길은 성립되지 않고 흉은 강해진다고 했다.

이 방법으로는 용천법(龍天法)이라는 것이 있어 용(龍)·천(天)·파(破)·인(人)·귀(鬼)·지(地)·생(生)·절(絶)의 길흉을 가지고 생년에 따라 배치시켜 길흉을 보는 방법이다.

좌향을 보는 방법은 여러 가지로 구분되어 있으나 중요한 것을 열거하면, 팔괘상배(八卦相配)·오행상생(五行相生)·오행상극(五行相克)의 방법을 들 수 있다. 음양설에 의하여 서로가 상생하는 것을 길이라 하고 상극하는 것은 흉이라 하며, 서사택(西四宅)과 동사택(東四宅)이 있는데 서사택은 건(乾)·곤(坤)·간(艮)·태(兌)이고, 동사택은 감(坎)·이(離)·진(震)·손(巽)으로 서방의 건·곤·간·태는 자기들의 만남이 배합되어 길하나 동방의 감·이·진·손을 만나서는 흉하다는 주장이다.

또한, 가택의 길흉을 정하는 것은 좌향뿐만 아니라 문(門)·주(主)·두(灶)의 배치도 중요하다고 ≪양택요결 陽宅要訣≫에서는 지적하고 있다. 그리고 아무리 지형이 좋고 터가 좋다고 하더라도 문과 거실과 부엌의 위치가 제대로 배치되지 못하면 흉하다고 하여, 가옥의 구조가 집의 길흉을 결정함을 지적하였다.

탐랑(貪狼)·거문(巨門)·무곡(武曲)·녹존(祿存)·문곡(文曲)·염정(廉貞)·파군(破軍)·보필(輔弼)·화해(禍害)를 구성(九星)이라 하며, 이 구성이 각각 길과 흉을 간직하고 있어 길성과 길성이 상생하면 대길하고, 흉성과 길성이 상생 또는 상극하면 반은 흉하고 반은 길하며, 흉성과 흉성이 상극하면 대흉하다고 했다. 이 구성의 생사는 자손·부귀·멸망 등의 주요한 원인으로 등장하기 때문에 가장 중요시되었다.

또한, 문로(門路)에는 32문법이 있고 기소(基所)에는 32주법(三十二柱法)이 있는데, 거실 하나에 문 하나씩 내는 데 따라 배팔두길흉화복단험법(配八灶吉凶禍福斷驗法)이 적용되어서 길흉을 판단하게 되며, ≪주역≫의 64괘의 안배에 따라 길흉법이 설정된다고 한다. 이 밖에도 오귀천궁(五鬼穿宮)·오행질병(五行疾病)·지운정국(地運定局) 등의 설이 있어 길흉을 판단하는 참고로 쓰이고 있다.

참고문헌

『양택요결(陽宅要訣)』
『양택대전(陽宅大典)』
집필자
권영창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