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성사 ()

목차
관련 정보
서울 성균관 계성사 정측면
서울 성균관 계성사 정측면
유교
유적
조선후기 중국 5성(五聖)의 아버지를 모시기 위해 지은 사당.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후기 중국 5성(五聖)의 아버지를 모시기 위해 지은 사당.
내용

1574년(선조 7)조헌(趙憲)을 질정관(質正官)으로 중국에 보내어 규모와 제도를 조사시킨 다음, 1699년(숙종 25) 예조판서 김구(金構)와 대사헌 홍수헌(洪受瀗)을 시켜 성균관의 대성전 서북쪽에 터를 잡고 건축을 시작하여 2년 뒤인 1701년에 완공하였다.

규모는 사당이 3칸, 내외의 향청(香廳) 3칸, 전사청(典祀廳) 2칸, 집사청(執事廳) 2칸, 주소(廚所) 1칸, 고사(庫舍) 1칸, 수복청(守僕廳) 2칸이며, 건물 앞에는 삼문(三門)이 있고, 서쪽에 협문이 있다.

제향된 위패는 공자의 아버지 제국공 공숙량흘(齊國公孔叔樑紇), 안자의 아버지인 곡부후 안무유(曲阜侯顔無繇), 증자의 아버지 내무후 증점(萊蕪侯曾點), 자사의 아버지 사수후 공리(泗水侯孔鯉), 맹자의 아버지 주국공 맹격(邾國公孟激)이다.

1739년(영조 15) 모든 도와 큰 고을의 향교마다 계성사를 세울 것을 명령하였고, 20년 뒤인 1759년에 사액(賜額)하였다. 향사의(享祀儀)는 성균관의 예에 준하였으며, 그뒤 성균관유생 중에서 한 사람을 선발하여 관리를 명하였다.

서울에 있던 계성사는 광복 후 성균관대학교를 지으면서 헐렸고, 향사의 예도 폐하게 되었다. 지방에 세워졌던 계성사는 향교와 함께 보존되어 예를 올리는 곳도 있고, 그렇지 않은 곳도 있다.

참고문헌

『태학지(太學志)』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