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도책판목록 ()

각도책판목록
각도책판목록
출판
문헌
1840년 전국 각지에 소장된 책판을 조사하여 편찬한 목록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1840년 전국 각지에 소장된 책판을 조사하여 편찬한 목록집.
서지적사항

1책 34장으로 구성되어 있는 필사본이다. 서문이나 발문이 남아 있지 않기 때문에 이 책의 편자 경위는 알 수 없다.

내용

수록 대상지는 북한(北漢)·남한(南漢)·화성부, 개성부, 강원도, 충청도, 황해도, 전라도, 경상도, 평안도의 순으로 되어 있다. 각도(各道)는 다시 강원도는 원주(原州)·영월(寧越)·철원(鐵原), 충청도는 문의(文義)·한산(韓山), 황해도는 병영(兵營)·해주(海州), 전라도는 전주(全州)·나주(羅州)·능주(綾州)·남한(南原)·순천(順天)·장성(長城)·영암(靈岩)·함평(昌平)·해남(海南)·태인(泰仁), 경상도는 경주(慶州)·안동(安東)·상주(尙州)·진주(晋州)·성주(星州)·대구(大邱)·울산(蔚山)·동래(東萊)·선산(善山)·인동(仁同)·칠곡(柒谷)·하동(河東)·거제(巨濟)·거창(居昌)·청도(淸道)·함창(咸陽)·영천(永川)·예천(醴泉)·풍기(豊基)·양산(梁山)·함안(咸安)·합천(陜川)·금산(金山)·경산(慶山)·지례(知禮)·고령(高靈)·현풍(玄風)·군위(軍威)·예안(禮安)·창녕(昌寧)·사천(泗川)·안의(安義), 평안도는 평앙(平壤)·영변(寧邊)·성천(成川)·강서(江西)로 구분되며, 모두 57곳에 이른다.

구성은 전국 각도에 산재한 491종의 책판이 일정한 체계 없이 각 지역별로 열거되어 있으며, 함경도의 것은 없다.

이 목록은 1796년(정조 20)에 서유구(徐有榘)가 편찬한 『누판고 (鏤板考)』와 같은 책판목록이면서도, 전국의 책판을 사부분류법(경·사·자·집)으로 편성하고 있는 점과는 다르다.

그 중에서 13곳이 10종 이상의 책판을 소장하고 있으며, 20종 이상을 소장한 곳은 전주(61종)·영변(42종)·안동(41종)·대구(40종)·남한산성(34종)·북한산성(26종)·경주(24종)·상주(21종) 등으로 나타난다. 각 도별 책판의 수는 경상도가 251종으로 가장 많다. 그 다음이 전라도(96종)·경기도(64종)·평안도(60종)의 순이며, 강원도(7종)·황해도(7종)와 충청도(6종)는 적다.

각 책판의 기술방법은 먼저 서명과 책수을 적고, 다음에 완(完)·완결(刓缺)·후상(朽傷)·간간결(間間缺) 등 책판의 상태, 구판(舊版)·신간(新刊)이나 사판(私版)·관판(官版) 등의 판종(版種)을 표시하고, 다음에 한 부에 소요되는 종이의 수를[容入紙] 자세히 기록하였다. 그리고 착란(錯亂)이 있어 상세하지 않은 곳은 공란으로 두고 끝에 ‘이상용입지착란불가상(以上容入紙錯亂不可詳)’이라고 주를 덧붙였다.

의의와 평가

조선 후기 전국의 전적 분포를 알아볼 수 있으므로 서지연구는 물론 문화사적인 연구에도 좋은 참고자료가 된다. 이 책은 유일본으로 규장각에 소장되어 있으며, 동국대학교에서 1962년에 유인본(油印本)으로 발행한 『고서목록집성』과 『한국의 책판목록』에 수록되어 있다.

참고문헌

『한국의 책판목록』(정형우, 윤병태, 보경문화사, 1995)
관련 미디어 (3)
집필자
김효경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