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륭59년5월3일 군호 재가 문서 ( )

건륭 59년 5월 3일 군호 재가문서
건륭 59년 5월 3일 군호 재가문서
출판
문헌
국가유산
1794년 동궁(훗날의 순조)이 임금을 대신하여 군호를 재가한 문서. 관문서.
시도문화유산
지정 명칭
건륭59년5월3일군호재가문서(乾隆59年5月3日軍號裁可文書)
분류
기록유산/문서류/관부문서
지정기관
경기도
종목
경기도 시도유형문화유산(1994년 10월 29일 지정)
소재지
경기도 안양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1794년 동궁(훗날의 순조)이 임금을 대신하여 군호를 재가한 문서. 관문서.
서지적 사항

1994년 경기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크기는 가로 62.4cm, 세로 82.2cm이다. 문서의 앞면에는 병조 관인(官印)이 7군데 날인되어 있고, 그 중 한 곳에 ‘尹(윤)’이란 담당자 즉 윤장렬(尹長烈)의 성이 적혀 있다. 문서 하단에는 윤장렬의 아들 윤치영(尹致永)이 문서의 유래 등에 대해 상세히 기록한 것이 있다.

내용

군호란 군중(軍中)에서 쓰는 암호로 매일 밤 병조(兵曹)의 참의(參議)나 참지(參知) 중 한 사람이 3자 이내의 암호를 비봉(秘封)하여 임금에게 올리면, 임금은 이를 비밀히 각 경수소(警守所) 및 군문에 내리어 이로써 그날 밤의 군호로 삼았다.

임금이 교외로 동가(動駕: 거둥)하고 동궁이 따라가지 않았을 때는 동궁에게 이를 재가받게 되어 있는데, 이 문서는 바로 이러한 상황에서 병조시랑(兵曹侍郞) 윤장렬이 ‘長養(장양)’ 두 글자를 써서 당시 5세인 동궁에게 품(稟)하자 동궁이 그 옆에 ‘太平(태평)’이란 두 글자를 쓰고 수결(手決)을 한 뒤 ‘可(가)’자를 써서 재가한 것이다.

이 문서는 경기도 안양시 동안구 비산동에 살고 있는 후손 윤창로가 소장하고 있고, 1994년 경기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의의와 평가

이 문서는 당시병조에서 야간경비 때 사용하던 군호의 성격을 알 수 있는 자료로 평가된다.

참고문헌

『대전회통(大典會通)』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김효경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